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사주서”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전기의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종7품 관직. [내용] 고려초의 내의성(內議省)이 내사문하성으로 개편된 시기가 982년(성종 1)이므로 이 때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는 않으며, 목종 때에 비로소 그 존재가 확인된다. ...
  • 문하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7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 품계는 종7품이었다. 중서주서(中書注書)의 후신이다. 국초의 내의성이 내사성‧중서성‧도첨의부‧문하부로 개정될 때마다 ‧중서주서‧도첨의주서‧문하주서로 여러 번 바뀌었다. 그
  • 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관직. [내용] 목종 때는 ()라 하였고 문종 때에는 종7품의 중서주서(中書注書)로 개칭하였으며 정원은 1인이었다. 1298년(충렬왕 24) 도첨의주서(都僉議注書)로 고치고 정7품으로 품계를 올렸다.
  • 중서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7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품계는 종7품. 목종 때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가 1061년(문종 15)에 중서문하성이 두어지면서 개정된 것이다. 1298년(충렬왕...
  • 강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龍泉驛)에 이르렀을 때 () 위종정(魏從正)과 최창회(崔昌會)가 거짓으로 전한 개경의 소식을 듣고, 자신이 천추태후의 함정에 빠졌다고 생각해 다시 본영(本營)으로 되돌아갔다. 한편 천추태후는 군사들이 오는 것을 꺼려 내신을 보내어 절령(岊嶺: 현...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의 내사문하성의 종7품 관직. 고려초의 내의성(內議省)이 내사문하성으로 개편된 시기가 982년(성종 1)이므로 이 때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는 않으며, 목종 때에 비로소 그 존재가 확인된다. 그 뒤 1061년(문종 15) 내사문하성이 중서문하성으

  • 문하주서 / 門下注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7품 관직. 정원은 1인, 품계는 종7품이었다. 중서주서(中書注書)의 후신이다. 국초의 내의성이 내사성·중서성·도첨의부·문하부로 개정될 때마다 ·중서주서·도첨의주서·문하주서로 여러 번 바뀌었다. 그 직임은 문하부의 문서 또는 기록을 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