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사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2)
- 내사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수사(內需司)에 관련된 죄인을 수감하던 감옥. [내용] ‘내수사옥’의 약칭이다. 모든 업무는 내시들이 관장하였다. 초기에는 내수사에 직접 관련된 죄인을 처리하기 위한 감옥이었으나 궁궐내의 옥사라는 특수성으로 궁중의 유죄자는 모두...이칭별칭내수사옥
- 내수사(內需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帑), 본궁(本宮) 내수별좌(內需別坐), 일사칠궁(一司七宮), 내노비(內奴婢), 내노비공(內奴婢貢), 내사옥(內司獄), 내수사장리(內需司長利), 내수사전(內需司田), 내수소(內需所), 내장원(內藏院), 내탕고(內帑庫), 잠저(潛邸), 선두안(宣頭案), 이왕직(李王職...상위어정오품(正五品) 아문(衙門), 궁내부 | 하위어내농포(內農圃), 부전수(副典需), 전곡(典穀), 전수(典需), 전화(典貨), 전회(典會), 별좌(別坐), 별제(別提), 서제(書題), 서제체아직(書題遞兒職) | 동의어내사(內司), 내탕(內帑), 본궁(本宮) | 관련어내수별좌(內需別坐), 일사칠궁(一司七宮), 내노비(內奴婢), 내노비공(內奴婢貢), 내사옥(內司獄), 내수사장리(內需司長利), 내수사전(內需司田), 내수소(內需所), 내장원(內藏院), 내탕고(內帑庫), 잠저(潛邸), 선두안(宣頭案), 이왕직(李王職) 회계계(會計係), 내장원(內藏院), 공노비(公奴婢) 혁파(革罷)
고서·고문서(7)
- 고이도(古耳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707 B025707 고이도 古耳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英祖 9年 3月 17日_016 擧條 命均曰, 太僕馬政, 國家所重, 故牧場或有宮家折受而遠給者多矣。 曾在先朝辛卯年, 自上以梨峴宮, 太爲闊大, 特令還給內司, 內司獄亦命罷, 其時先臣, 適在相職, 陳箚仰贊盛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이도(古耳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709 B025709 고이도 古耳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英祖 9年 3月 17日_016 擧條 命均曰, 太僕馬政, 國家所重, 故牧場或有宮家折受而遠給者多矣。 曾在先朝辛卯年, 自上以梨峴宮, 太爲闊大, 特令還給內司, 內司獄亦命罷, 其時先臣, 適在相職, 陳箚仰贊盛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사_金史1 本紀1 世紀 (康宗 烏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756 중국 정사 금사 본기 005 예종(睿宗) 1 1106 6 金史1 本紀1 世紀 (康宗 烏雅束) 四年丙戌 高麗遣黑歡方石來賀襲位 遣盃魯報之 高麗約還諸亡在彼者 乃使阿聒勝昆往受之 高麗背約 殺二使 築九城於曷懶甸 以兵數萬來攻 斡賽敗...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예종(睿宗) 1
- 고이도(古耳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708 B025708 고이도 古耳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英祖 9年 3月 17日_016 ... 內司獄亦命罷, 其時先臣, 適在相職, 陳箚仰贊盛德。 仍以爲推此聖心, 至於王子第宅, 亦令悉邊舊制, 務爲節損, 宮差作弊, 亦爲禁斷事上達, 而特敎兪允, 丙寅以後, 諸處牧場宮...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이도(古耳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710 B025710 고이도 古耳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英祖 9年 3月 17日_016 ... 內司獄亦命罷, 其時先臣, 適在相職, 陳箚仰贊盛德。 仍以爲推此聖心, 至於王子第宅, 亦令悉邊舊制, 務爲節損, 宮差作弊, 亦爲禁斷事上達, 而特敎兪允, 丙寅以後, 諸處牧場宮...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내사옥 / 內司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수사에 관련된 죄인을 수감하던 감옥. 모든 업무는 내시들이 관장하였다. 초기에는 내수사에 직접 관련된 죄인을 처리하기 위한 감옥이었으나 궁궐내의 옥사라는 특수성으로 궁중의 유죄자는 모두 수금하였으며, 때로는 형조의 영역을 침범하기도 하였다. 1711년(숙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