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사사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25)
- 내사사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내의성(內議省)의 종4품 관직. [내용] 930년(태조 13) 내의성에 내의사인(內議舍人)을 두었던 것이 982년(성종 1)에 삼성을 설치하면서 내의성은 내사성(內史省)으로, 내의사인은 내사사인으로 그 명칭이 바뀌었...
- 내사사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사문하성의 종사품 벼슬정의내사문하성의 종사품 벼슬 | 문광부표기Naesa Sain | MR표기Naesa Sa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내의사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이에 신설되었다고 추측된다. 내의사인은 성종 때의 내사문하성제(內史門下省制)에서는 내사사인(內史舍人)으로, 문종 때의 중서문하성제에서는 다시 중서사인으로 바뀌어 간쟁(諫諍)‧봉박(封駁)권을 가지는 성랑(省郎, 郎舍)의 한 구성원으로서 간관의 구실을 담당하게 된...
- 최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1056년(문종 10) 예부낭중으로 칠도순무사(七道巡撫使)가 되어 진주ㆍ나주ㆍ전주ㆍ청주ㆍ광주(廣州)ㆍ공주ㆍ홍주 등을 순시하고, 1057년 내사사인 지동궁시독사(內史舍人知...
- 郞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540 郞舍 관직 詞臣, 敎令, 獻可替否, 麗制, 諫官, 門下府, 左右散騎, 左右諫議, 補闕, 拾遺, 內史舍人 本史, 徐居正諫院記 D_16_06_35 대동운부군옥 16권 6장 3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6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8)
- 牛家莊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인조실록 49권, 인조 26년 12월 9일 기해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인조실록 인조 26년 12월 9일 기해(1648) 1648 牛家莊 牛家庄 외교 冬至使吳竣馳啓曰"行到牛家庄,得聞勑使四人出來云."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人事篇六]治道門三_其人之役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憫: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에는 ‘悶’으로 되어 있다. .’ 內史舍人崔尙奏: ‘燈燭亦民膏血, 費用太多, 恐虧儉德. 今動駕時, 列植大炬, 遠近洞明? 惟前後照, 燭足 足: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可’로 되어 있다. 矣, 何必如此? 丹使之言 言: 규...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4_其人列炬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高麗》文宗十二年: “契丹使王宗亮夜至, 見列炬, 曰: ‘然炬徒隷衣單, 可憫.’ 內史舍人崔尙奏: ‘燈燭亦民膏血, 費用太多, 恐虧儉德. 昔陳敬仲辭桓公火繼之命, 曰: 「臣卜其晝, 未卜其夜.」 乞自今, 宴好之禮, 止令卜晝.’ 從之.” 夫宴好之禮, 不過庭燎, 其費不多, 猶云如此...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契丹侵高麗三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平府】七年正月契丹耶律世良蕭屈烈侵郭州殺數萬人獲輜重而歸甲寅丹使十人到鴨綠江不納八年八月契丹蕭合卓攻興化鎭九日不克將軍堅一等出戰大敗之九年十二月契丹蕭排押帥兵來侵號十萬王以平章事姜邯贊爲上元帥大將軍姜民瞻副之內史舍人朴從儉兵部郎中柳參爲判官帥兵二十萬八千三百屯寧州至興化鎭選騎兵一萬二千伏山谷中又以大...서명東國兵鑑 | 저자문종(文宗, 朝鮮) 命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고종 상_007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다. 또 묻기를 “隋 때에는 호수가 어느 정도였고, 지금 호수는 어느 정도인가?"라고 하니, 고이행이 아뢰기를 “수의 開皇 연간(581∼600)에는 870만이었고, 바로 지금은 380만 호입니다"라고 하였다. 9월 정사일 太子中允을 內允으로, 中書捨人을 內史捨人으로 고...권수구당서 권4 | 편명본기4 | 대표표제어고종 상_007
주제어사전(2)
-
내사사인 / 內史舍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내의성의 종4품 관직. 930년(태조 13) 내의성에 내의사인을 두었던 것이 982년(성종 1)에 삼성을 설치하면서 내의성은 내사성, 내의사인은 내사사인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061년(문종 15) 내사성이 중서성(中書省)으로 되면서 종4품의 중서사인으로
-
맹사성 / 孟思誠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38(세종 20).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고려 수문전제학 희도, 최영의 손서이다. 1386년(우왕 12)에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춘추관검열, 내사사인, 이조참의, 사헌부대사헌, 예조참판,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