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사복시” 에 대한 검색결과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 [내용] 고려시대에 내구(內廄) 관리는 상승국(尙乘局)의 여러 기능 중에 하나였으나, 조선 건국 후 의 전담기능으로 독립되었다. 관원으로는 내승(內乘) 3인이 있었는데, 1인은 사복시정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복시(司僕寺), 외시(外寺) 덕응방(德應房) 내시(內寺), 내구(內廐) 태복사(太僕司)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병로 사복시(司僕寺) [정의...
    상위어사복시(司僕寺), 외시(外寺) | 하위어덕응방(德應房) | 동의어내시(內寺), 내구(內廐) | 관련어태복사(太僕司)
  • 내구마(內廐馬)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구마 내구마 內廐馬 내구(內廐), 전곶목장(箭串牧場), 어승마(御乘馬), 전마(戰馬), () 경제교통/마정 개념용어 조선 남상호 [정의] 조선시대에 에서 기르던
    관련어내구(內廐), 전곶목장(箭串牧場), 어승마(御乘馬), 전마(戰馬), 내사복시(內司僕寺)
  • 덕응방(德應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덕응방 덕응방 德應房 () 경복궁(景福宮), 광청문(廣淸門), 봉의문(奉宜門), 용성문(用成門), 창경궁(昌慶宮), 협생문(協生門)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건축·능 원 묘 대한민국 조선 고종 이혜원...
    상위어내사복시(內司僕寺) | 관련어경복궁(景福宮), 광청문(廣淸門), 봉의문(奉宜門), 용성문(用成門), 창경궁(昌慶宮), 협생문(協生門)
  • 내승(內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승 내승 內乘 겸사복(兼司僕), 사복시(司僕寺), (), 제용원(濟用院), 태복시(太僕寺), 태복사(太僕司) 정치행정/관청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사복시(司僕寺),...
    관련어겸사복(兼司僕), 사복시(司僕寺), 내사복시(內司僕寺), 제용원(濟用院), 태복시(太僕寺), 태복사(太僕司)

고서·고문서(7)

  • 1302 B001302 가리포 加里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6月 29日_020 ○啓曰, 內乘爲任, 不但爲直宿而已。 必得知馬之人而後, 方可責其擧職, 前內乘閔碩才, 素有知馬之名, 當初差換, 實非偶然矣。 未滿一朔, 移拜加里浦僉使, 殊非擇差之本意, 閔碩才內...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羅州智島, 亦是海路要衝, 而此牧場也。 金錫胄, 以其提調之故, 詳知其形勢之便宜, 曾與臣相議, 欲爲建請設鎭, 而至今未果, 此外諸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羅州智島, 亦是海路要衝, 而此牧場也。 金錫胄, 以其提調之故, 詳知其形勢之便宜, 曾與臣相議, 欲爲建請設鎭, 而至今未果, 此外諸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축시(丑時)오전 1시에서 3시 사이에 한식제(寒食祭)를 지내고 겸하여 망제(望祭)를 지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망제(望祭)를 지냈다. ○()로 들어가 한참 있으니 백윤(伯胤)이 왔고 극기(克己)가 왔고 응명(應明)도 왔다. 3경5점(三更五點)새벽 1시에 외위(外位)로 나왔고, 반열에 들어 무릎을 꿇고 곡을 했다. 4경(四更) 초에 제사가 끝나 파하고 나와 다시 사...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축시(丑時)오전 1시에서 3시 사이에 사우제(四虞祭)를 행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 씨가 초헌(初獻)을 했다고 한다. ○궐문에 들어서니 3경3점(三更三點)밤 12시경이었다. 행랑 아래에 앉아 있으니, 백윤(白胤)이 왔고 태용(太容)이 왔고 극기(克己)도 왔다. 3경5점(三更五點)새벽 1시경에 함께 바깥의 자리로 나왔다. 나는 대립(大立)...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 고려시대에 내구(內廄) 관리는 상승국(尙乘局)의 여러 기능 중에 하나였으나, 조선 건국 후 의 전담기능으로 독립되었다. 관원으로는 내승(內乘) 3인이 있었는데, 1인은 사복시정이 겸임하였고, 나머지 인원도 다른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