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사문하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33)
- 내사문하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최고 중앙의정관청인 중서문하성의 전신. [내용] 『고려사』 백관지(百官志)에 의하면 국초에 내의성(內議省)이라 칭하던 것을 982년(성종 1) 내사문하성이라 고치고, 1061년(문종 15) 6월에 중서문하성이라 고쳤다고 되어 있...
- 내사문하성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전기 최고 중앙 의정 기관. 982년에 설치되어 1061년에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바뀜.정의고려 전기 최고 중앙 의정 기관. 982년에 설치되어 1061년에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바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Naesa Munhaseong | MR표기Naesa Munha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내사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의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종7품 관직. [내용] 고려초의 내의성(內議省)이 내사문하성으로 개편된 시기가 982년(성종 1)이므로 이 때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는 않으며, 목종 때에 비로소 그 존재가 확인된다.
- 우보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관직. [내용] 성종 때 이미 좌보궐(左補闕)과 짝지어 설치되어 있었으며, 1061년(문종 15) 내사문하성이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되자 그 속관으로 존속하였다. 그 뒤 예종 때 우사간으로...
- 내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사성은 문하성ㆍ상서성과 함께 삼성제의 한 관부로 성립되었으나 실제로는 문하성의 기능과 서로 밀접하여 단일정사기관, 즉 내사문하성으로 1성과 같은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내사성은 1061년(문종 15) 6월에 중서성이라 개칭되었고, 따라서 내사문하성도 중서문하성이라 개...
고서·고문서(3)
- 東國歷代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景祐四年○日皇後朱雀元年○西歷紀元後一千三十七年]秋七月元城太后諱辰百官詣乾德殿上表陳慰諱辰陳慰始此 冬十二月遣使復修好于契丹以丹有責言也 四年[宋仁宗寶元元年○日皇後朱雀二年○西歷紀元後一千三十八年]秋八月復行契丹年號 冬十一月內史門下省奏東池白鶴鵝鴨山羊之類日飼稻梁爲費甚多乞放海島從之 五年[宋...서명東國歷代史略 | 자료명靖宗容惠王
- 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置ᄒᆞ니 此ᄂᆞᆫ 唐制ᄅᆞᆯ 仿ᄒᆞᆷ이오 成宗은 制作이 一新ᄒᆞ야 官에 常守가 有ᄒᆞ고 位에 定員이 有ᄒᆞ야 制度가 大備ᄒᆞ니,곳 內史門下省,御事都省,三司,中樞院,吏部,兵部,戶部,刑部,禮部,工部,御史臺,國子監等이라 後에 文宗,睿宗이 稍히 增損ᄒᆞ나 大抵成宗의 舊制ᄅᆞᆯ...서명中等敎科東國史略 | 자료명制度
- 歷史輯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史門下省奏東池白鶴鵝鴨山羊之類, 日飼稻粱爲費, 甚多乞放海島從之 [辛巳]七年[宋仁宗慶曆元年]秋九月兵部奏選軍別監, 選取文武官七品以上員子弟, 除業文赴擧外並充軍伍, 此雖安不忘危之意, 累世勛舊子孫, 故祖宗以來不與于役請勿充隊伍從之 [甲申]十年[宋仁宗慶曆四年]是時東女眞酋長冬弗老等率化...서명歷史輯略 | 자료명高麗紀
주제어사전(5)
-
내사문하성 / 內史門下省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최고 중앙의정관청인 중서문하성의 전신. ≪고려사≫ 백관지에 의하면 국초에 내의성(內議省)이라 칭하던 것을 982년(성종 1) 내사문하성이라 고치고, 1061년(문종 15) 6월에 중서문하성이라 고쳤다고 되어 있다. 이는 내사성과 문하성의 기능이 서로 밀접하
-
내사주서 / 內史注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의 내사문하성의 종7품 관직. 고려초의 내의성(內議省)이 내사문하성으로 개편된 시기가 982년(성종 1)이므로 이 때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는 않으며, 목종 때에 비로소 그 존재가 확인된다. 그 뒤 1061년(문종 15) 내사문하성이 중서문하성
-
낭사 / 郎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에 소속된 정3품 이하의 관원에 대한 총칭. 중서문하성의 명칭 변경에 따라 성종 때에는 내사문하성낭사, 문종 때에는 중서문하성낭사, 1369년(공민왕 18) 이후에는 문하부낭사로 불렀다. 낭사는 내사문하성이 발족된 982년(성종 1)에 처음 설치되
-
내사령 / 內史令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왕명출납을 담당하던 내사성의 장관. 내사령은 문하성의 장관인 문하시중과 품질이 같지만 격이 높으므로, 마땅히 내사성과 문하성을 합친 내사문하성의 장관이 되어야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였다. 그것은 내사령이 상설 관직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인원에 구애됨이
-
보궐 / 補闕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중서문하성의 관직. 목종 때 이미 내사문하성의 관속으로 좌보궐과 우보궐이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관제에서는 정원이 좌·우 각1인, 품계는 정6품이었다. 예종 때 사간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보간으로 개칭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즉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