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사문하성”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최고 중앙의정관청인 중서문하성의 전신. [내용] 『고려사』 백관지(百官志)에 의하면 국초에 내의성(內議省)이라 칭하던 것을 982년(성종 1) 이라 고치고, 1061년(문종 15) 6월에 중서문하성이라 고쳤다고 되어 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전기 최고 중앙 의정 기관. 982년에 설치되어 1061년에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바뀜.
    정의고려 전기 최고 중앙 의정 기관. 982년에 설치되어 1061년에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바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Naesa Munhaseong | MR표기Naesa Munha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내사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전기의 ()의 종7품 관직. [내용] 고려초의 내의성(內議省)이 으로 개편된 시기가 982년(성종 1)이므로 이 때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는 않으며, 목종 때에 비로소 그 존재가 확인된다.
  • 우보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전기 ()의 관직. [내용] 성종 때 이미 좌보궐(左補闕)과 짝지어 설치되어 있었으며, 1061년(문종 15) 이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되자 그 속관으로 존속하였다. 그 뒤 예종 때 우사간으로...
  • 내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사성은 문하성ㆍ상서성과 함께 삼성제의 한 관부로 성립되었으나 실제로는 문하성의 기능과 서로 밀접하여 단일정사기관, 즉 으로 1성과 같은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내사성은 1061년(문종 15) 6월에 중서성이라 개칭되었고, 따라서 도 중서문하성이라 개...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최고 중앙의정관청인 중서문하성의 전신. ≪고려사≫ 백관지에 의하면 국초에 내의성(內議省)이라 칭하던 것을 982년(성종 1) 이라 고치고, 1061년(문종 15) 6월에 중서문하성이라 고쳤다고 되어 있다. 이는 내사성과 문하성의 기능이 서로 밀접하

  • 내사주서 / 內史注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의 의 종7품 관직. 고려초의 내의성(內議省)이 으로 개편된 시기가 982년(성종 1)이므로 이 때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는 않으며, 목종 때에 비로소 그 존재가 확인된다. 그 뒤 1061년(문종 15) 이 중서문하성

  • 낭사 / 郎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에 소속된 정3품 이하의 관원에 대한 총칭. 중서문하성의 명칭 변경에 따라 성종 때에는 낭사, 문종 때에는 중서문하성낭사, 1369년(공민왕 18) 이후에는 문하부낭사로 불렀다. 낭사는 이 발족된 982년(성종 1)에 처음 설치되

  • 내사령 / 內史令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왕명출납을 담당하던 내사성의 장관. 내사령은 문하성의 장관인 문하시중과 품질이 같지만 격이 높으므로, 마땅히 내사성과 문하성을 합친 의 장관이 되어야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였다. 그것은 내사령이 상설 관직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인원에 구애됨이

  • 보궐 / 補闕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중서문하성의 관직. 목종 때 이미 의 관속으로 좌보궐과 우보궐이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관제에서는 정원이 좌·우 각1인, 품계는 정6품이었다. 예종 때 사간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보간으로 개칭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즉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