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사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40)
- 내사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 왕명출납을 담당하던 내사성(內史省)의 장관. [내용] 『고려사』 백관지에는 국초에 내의령(內議令)을 두었다가 982년(성종 1) 당나라 제도를 본받아 삼성(三省)을 설치하면서 내사성의 장관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내사령이
- 내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문하성(門下省)의 전신. [내용] 언제 설치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단지 976년(경종 1)에 내사성의 최고관직인 내사령(內史令)이 임명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늦어도 이때에는 직제로서 확립을 보았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 崔知夢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791 崔知夢 인물 三不允, 內史令, 上表, 乞骸, 朝參 麗本史 D_10_05_41 대동운부군옥 10권 5장 4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5장 4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荀質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566 荀質 인물 姓氏, 荀姓 高麗景宗 湖西 內史令 D_04_01_77 대동운부군옥 4권 1장 7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1장 7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內議令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600 內議令 관직 中書令, 內使令, 從一品 麗初 成宗 百官志 D_17_02_30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3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0)
- 강화현(江華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307 B017307 강화현 江華縣 정치행정 高麗史 94卷 列傳7 列傳7 韋壽餘 韋壽餘沁州江華縣人端*慤守法自光宗朝在司膳久不調穆宗時累遷爲門下侍郞平章事顯宗初請老不許賜几杖王以壽餘於朝臣最老欲大用 其明年授門下侍中上柱國江華縣開國子食邑五百戶卒謚安恭贈內史令출처전거高麗史 94卷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현(江華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308 B017308 강화현 江華縣 정치행정 高麗史 94卷 列傳7 列傳7 韋壽餘 韋壽餘沁州江華縣人端*慤守法自光宗朝在司膳久不調穆宗時累遷爲門下侍郞平章事顯宗初請老不許賜几杖王以壽餘於朝臣最老欲大用 其明年授門下侍中上柱國江華縣開國子食邑五百戶卒謚安恭贈內史令출처전거高麗史 94卷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067 B034067 남산 南山 산악 輿地圖書 慶尙道 慶州 人物 美風儀少精敏入唐學問無怠一擧及第黃巢之亂高駢爲諸道兵馬都統辟爲從事委以書記表狀書啓徵兵告檄皆出其手高麗顯宗時贈內史令文昌侯從祀扎子廟庭新唐書藝文志載崔致遠四六集一卷桂苑茟耕二十卷又有崔氏文集三十卷致遠年二十八歲有歸寧之志唐...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答韓霽園【在濂】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nLink?DCI=ITKC_MP_0597A_0190_010_0280_2014_004_XML 004 苦雨去,華翰來,鄙懷欣爽。鏞近不向《大酉齋》校書,卻自在《與猷堂》鈔書,如風磑水碓,有粟亦磨,無粟亦磨,何時不勞動?但頭不帽,腰不鞓,差快活耳。《奎章全韻》,立來使另走人買來,第初...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謀逆伏誅賜御衣金帶⁄成宗元年加左執政守內史令上柱國賜弘文崇化致理功臣號爵其父母⁄(成宗)三年知夢年七十八三上表乞骸不允 又上書固請乃命除朝叅赴內史房視事如舊⁄(成宗)六年知夢疾病成宗命醫賜藥親臨問疾以馬二匹施歸法海安二寺飯僧三千以禱凡可以已疾者靡所不爲 卒年八十一訃聞震悼賻布千匹米三百碩麥二百碩茶...출처전거高麗史 권9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내사령 / 內史令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왕명출납을 담당하던 내사성의 장관. 내사령은 문하성의 장관인 문하시중과 품질이 같지만 격이 높으므로, 마땅히 내사성과 문하성을 합친 내사문하성의 장관이 되어야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였다. 그것은 내사령이 상설 관직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인원에 구애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