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사고” 에 대한 검색결과 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한성(漢城)에 설치되어 있던 실록보관 창고. [내용] 사마천(司馬遷)의 “원본은 명산에, 부본은 서울에 보관한다.”라는 서적보관법에서 연원하여, 고려시대 이래 서울에 , 지방에 외사고를 두어 실록을 보관하였다. 조선...
  • 춘추관사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경중(京中)의 춘추관에 설치했던 사고. [내용] 고려는 초기부터 춘추관에 를 둔 것 같으나 언제부터 설치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고려에서는 춘추관에 보존해오던 역사 서적이 거란의 2차 침입이 있던 현종 초기에
  • 실록각(實錄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록각 실록각 實錄閣 사고(史庫) 강화사고(江華史庫), (), 선원각(璿源閣), 선원록각(璿源錄閣), 선원보각(璿源寶閣), 『실록(實錄)』,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 외사고(外史庫),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 족보(族譜),...
    상위어사고(史庫) | 관련어강화사고(江華史庫), 내사고(內史庫), 선원각(璿源閣), 선원록각(璿源錄閣), 선원보각(璿源寶閣), 『실록(實錄)』,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 외사고(外史庫),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 족보(族譜), 춘추관(春秋館),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
  • 실록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찍어냈는데, 이들 활자를 실록자라고 부른다. 조선왕조는 초기부터 ()인 춘추관과 충주‧전주‧성주에 외사고(外史庫)를 두어 역대 왕의 실록을 간직해 왔는데, 그것이 임진왜란을 겪는 사이에 전주사고의 것을 제외하고 모두 소실되었다. 그리하여 난...
  • 사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별칭)과 사고를 그대로 계승하여, 세종 때 ≪태종실록≫을 편찬하기까지 ()가 개경에서 한양으로 이동되었을 뿐이고, 1429년(세종 10)에 태종과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상장의궤(喪葬儀軌)를 충주사고(忠州史庫)에 보관하게 했던 것으로 보아 외사고(外史庫)는 충...

고서·고문서(31)

  • 出用於陸地, 則年年增備, 果似無益。 宜令限三年停止月課, 專意修補舊件。 內需司船隻, 旣無其船, 而尙徵其稅, 殊可寒心。 宜令實減免。 濟州之人, 居在大靜者, 宜令移屬大靜, 俾應本縣之役。 其出陸 ...
    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6418 B076418 동래 東萊 정치행정 肅宗實錄 元年(1675) 二月 숙종실록_10102006_002 ○許積請對奏曰: “承旨權大載欲陳東, 與之偕入矣。” 大載曰: “萊府距倭館十五里許, 館倭多至千餘, 少不下五六百, 而本府束伍, 只是伍哨。 別武士軍官, 前則六七百...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32 중국 정사 원사 본기 131 충렬왕(忠烈王) 2 1276 1 20 元史9 本紀9 世祖6 至元十三年正月 洪君祥偕使餘慶復往易之 몽고정세, 至元 13년은 충렬왕 2년(1275)에 해당한다. 본 기사는 『원사』...
    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2
  • 廟(在小林果園中) 廣壤堂(在州南三里漢拏護國神祠諺傳漢拏山神之弟生有聖德歿爲神高麗時宋胡宗朝來壓此土浮海而返神化爲鷹飛上檣頭俄而北風大吹擊碎宗朝之丹沒于西境飛揚島巖石間朝廷褒其靈異賜之食邑封爲廣壤王歲降香幣以祭李朝令本邑致祭 ○按胡宗朝麗官至起居舍人而卒則來壓溺丹之說恐不可信) 遮歸祠 .....
    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專意修補舊件。 內需司船隻, 旣無其船, 而尙徵其稅, 殊可寒心。 宜令實減免。 濟州之人, 居在大靜者, 宜令移屬大靜, 俾應本縣之役。 其出陸奴婢, 則出來未久者, 依法刷還, 若其居陸已久, 難於刷還者, 宜令所在官收貢直納。”○上從之。 其後內司官, 白上曰: “濟州三十二船, 自是見...
    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4)

  • 왜의 장수들이 백제를 방문하고 돌아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치 카시마다노무라(蚊嶋田邑)의 야케히토라(家人部)가 이들이다. (『日本書紀』 14 雄略紀) 【원문】 夏五月 紀大磐宿禰 聞父旣薨 乃向新羅 執小鹿火宿禰所掌兵馬船官及諸小官 專用威命 於是 小鹿火宿禰 深怨乎大磐宿禰 於韓子宿禰曰 大磐宿禰謂僕曰 我當復執韓子宿禰所掌之官不久也 願...
    대표표제어왜의 장수들이 백제를 방문하고 돌아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65년(乙巳/신라 자비마립간 8/고구려 장수왕 53/백제 개로왕 11/劉宋 永和 1, 景和 1, 泰始 1/倭 雄略 9)
  • 왜의 장수들이 백제를 방문하고 돌아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略紀) 【원문】 夏五月 紀大磐宿禰 聞父旣薨 乃向新羅 執小鹿火宿禰所掌兵馬船官及諸小官 專用威命 於是 小鹿火宿禰 深怨乎大磐宿禰 於韓子宿禰曰 大磐宿禰謂僕曰 我當復執韓子宿禰所掌之官不久也 願固守之 由是 韓子宿禰與大磐宿禰有隙 於是 百濟王 聞日本諸將 緣小事有隙 乃使人於韓子宿禰等...
    대표표제어왜의 장수들이 백제를 방문하고 돌아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465년(乙巳/신라 자비마립간 8/고구려 장수왕 53/백제 개로왕 11/劉宋 前廢帝 永光 1, 景和 1, 明帝 泰始 1/倭 雄略天皇 9)
  • 신라 진성왕이 당 太師侍中에게 보내는 狀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오기이다 至儀鳳三年 徙其人於河南·隴右 高句麗殘孽類聚 北依太白山下 國號爲渤海 開元二十年 怨恨天朝 將兵掩襲登州 殺刺史韋俊 於是 明皇帝大怒 命品·何行成·太僕卿金思蘭 發兵過海攻討 仍就加我王金某 爲正太尉·持節·充寧海軍事·雞林州大都督 以冬深雪厚 蕃·漢苦寒 勑命迴軍 至今三百餘...
    대표표제어신라 진성왕이 당 太師侍中에게 보내는 狀 | 주제분류외교문서
  • 당이 신라에 김사란을 보내어 발해를 공격하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怒 命品·何行成·大僕卿金思蘭 發兵過海攻討 仍就加我王金某 爲正大尉·持節·充寧海軍事·雞林州大都督 以冬深雪厚 蕃·漢苦寒 勑命迴軍 至今三百餘年 一方無事 滄海晏然 此乃我武烈大王之功也 (󰡔三國史記󰡕 46 列傳 6 崔致遠) 【원문】 開元二十一年癸酉 唐人欲征北犾 請兵新羅...
    대표표제어당이 신라에 김사란을 보내어 발해를 공격하게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에 설치되어 있던 실록보관 창고. 조선시대 의 기능은 춘추관에서 겸임하였으므로 춘추관고가 곧 이다. 에는 실록과 <선원록>이 필수적으로 보관되는 외에 일반 시·문집류들도 상당수 보관되었다. 외사고의 경우는 조선 초기 충주·성주·전주 세

  • 고려실록 / 高麗實錄 [역사/고려시대사]

    하였다.아마 이전의 실록 한 부를 필사한 듯하다. 왜냐하면, 이후 사관이 포쇄(曝曬)해 해인사에 갈 때 역대 23왕의 실록이 보관되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의 실록은 1232년(고종 19) 몽고의 난을 피해 강화도에 옮겨졌다가, 1270년(원종 11)개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