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방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8)
- 내방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뒤 1325년(충숙왕 12) 내방고로 고쳤다가 1330년 의성창으로 다시 고쳤으며 1355년(공민왕 4) 내방고로 환원하였다. 주요기능으로 왕실의 재정을 담당하였음은 왕실의 연회경비를 전담하였음에서 알 수 있으며, 태후궁과 공주궁의 상공(上供)도 전담하였다. 그...이칭별칭왕실재정|재정기관|운진창|부흥창|의성창|물가조절|빈민구제활동|제거별감
- 방고감전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부인데, 특히 내방고(內房庫) 및 내장택(內莊宅)과도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관원으로서는 내시참상(內侍參上)‧내시참외(內侍參外) 각 2인이다. 이 관부의 설치 이유는 1273년 내장택이 궤핍(匱乏 : 다 없어짐)되어 하루저녁 어반미(御飯米)를 대지 못하...
- 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였다. 충렬왕 때에는 내고에 내방고(內房庫)를 별도로 설치해 몰락한 무신들이 소유했던 토지는 물론이고 공사양전(公私良田)까지도 탈점하였다. 탈점된 토지는 주로 처간(處干)이라 불리는 농민을 시켜 경작했는데, 이들에게는 각종의 공부(貢賦)를 면제시켜주었다....이칭별칭대영창|대영고
- 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러나 같은 해에 영조국‧잡작국‧직염국이 각각 장야서(掌冶署)‧도교서(都校署)‧도염서(都染署)로 개편됨과 동시에 폐지되었다. 1325년(충숙왕 12)에도 의성창‧덕천창이 내방고(內房庫)‧덕천고로 바뀌면서 폐지되었으며, 공민왕 때에는 장흥고‧상만고의...이칭별칭부령|부제거
- 종육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繕工寺)ㆍ사재시 등에 종6품의 승이 다시 두어지고, 상약국 시의와 내알사 직장은 혁파되었다. 1325년(충숙왕 12) 의성창ㆍ덕천창이 내방고(內房庫)ㆍ덕천고로 개편되면서 부사가 혁파되었다가 1330년 다시 복구되었다. 이듬해에는 위위시ㆍ내부감의 승이...
고서·고문서(15)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945 B064945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孝宗 1年 3月 10日_014 ○又啓曰, 此逃倭事, 臣翼曾見本道狀啓中, 歷擧本倭及各人招辭, 似是分明我國之人。 幼時入島中, 壯大之後, 來訪故土親戚, 爲仍留不還之計, 逃匿如此, 以爲實然, 心其惻然, 故前日回啓, 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尹无咎宥還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or.kr/inLink?DCI=ITKC_MP_0597A_1600_000_0340_2015_035_XML 035 無心列鼎与鳴鍾,江北靑山自萬重。 草澤只堪隨麋鹿,鳳池須許集夔龍。 臨濠勑訪枯魚肆,小魯思登辨馬峰。 得醉便忘忘便臥,滿庭花木午陰濃。 自笑爰居得饗鍾,一身覊緤却重重。...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竹欄遺蛻集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陳規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納陳智等三百餘人皆執本府文榜前來投首乞下諸路有盗賊州軍准此施行從之 公奏本鎭屯營田畫一事件自中原失守諸重鎭多失惟公與羣盗屢戰自楊進之徒皆不能犯由是德安獨存牢城卒方壽等嘗謀亂公方會食有告變者公捕而詰之問從謀者幾壽曰一城之軍公之左右皆是今夕擧事矣公命誅壽餘不問一府皆服之 公以境内多官田荒田乃倣古屯田之制...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계륵집_雞肋集62 資政殿大學士李公行狀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書爲近乃倣古立言所以導事者詞灝噩竒甚其載上訓之略曰五教未訓五法亟下是曰暴民治用弗格以成上徳意先教後法之序旣進上曰卿文逼近經誥所増三十四字非不完也崔台符等願挂名其間耳旣命撰修都城記公又變其體以進詞尤宏放上益喜曰與大理記文頓異自成一家假龍圖閣直學士使大遼㑹御史獄簿責公唱和詩事甚急且辭上曰卿朕所自知遠行無...국가중국 | 서명계륵집 | 왕대숙종(肅宗) 7
- 小學萬國地誌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蘭河라 ᄒᆞ니라 此國은 温熱二帶에 跨호ᄃᆡ 東西에 海灣을 擁ᄒᆞᆷ으로ᄡᅥ 氣候ᄂᆞᆫ 大槩 温和ᄒᆞ니라 人種은 印度人이 過半을 占ᄒᆞ고 其餘ᄂᆞᆫ 西班牙人과 混種이라 首府 墨西哥ᄂᆞᆫ 內房高原 中에 有ᄒᆞ야 四方에 山巒이 繞回ᄒᆞ니 眺望은 絶佳ㅣ라 市街에도 ᄯᅩ한 華麗...서명小學萬國地誌 | 자료명第四篇 北亞米利加洲
주제어사전(2)
-
내방고 / 內房庫 [경제·산업/경제]
고려 후기의 재정기관. 왕실의 재정을 관장하던 것으로 보이는 관서이다. 관제개혁을 시도한 충선왕이 광흥창·풍저창·덕천고의 개편과 아울러 종래의 운진창(雲臻倉)과 부흥창(富興倉)을 병합, 의성창(義成倉)을 설치하였다. 그 뒤 1325년(충숙왕 12) 내방고로 고쳤다가
-
방고감전별감 / 房庫監傳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1273년(원종 14)에 설치된 전지공안과 별고노비의 천적을 담당하던 기관. 정규의 중추관부로서 노비의 부적(장부와 문서)과 결송을 관장하는 도관의 관련 관부인데, 특히 내방고(內房庫) 및 내장택(內莊宅)과도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관원으로서는 내시참상(內侍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