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노비” 에 대한 검색결과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

사전(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비라고 부르게 하였다. 이로써 일반적으로 라 하면 내수사 노비를 가리킨다. 이는 궁중에서 쓰는 미곡‧포목‧잡화와 더불어 궁 소속의 노비 등을 내수사에서 맡았기 때문이었다. 본래 궁내의 수용(需用)을 조달하던 내수별좌(內需別坐)가 1430년(세종 12) 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상에 대한 보고를 보면, 신공이 과중하므로 그 면포의 승척(升尺)을 감하거나 필수를 줄여야 한다는 의론이 빠지지 않고 있다.이와 같이 공이 일반 공노비, 특히 시노비(寺奴婢)에 비하여 과도한 것은 소속 관청인 내수사의 압력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
  • 선두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수사(內需司)에 속한 () 또는 궁노비(宮奴婢)를 등록한 기본 대장. [내용 조선시대 왕실 직속의 재정 기관인 내수사는 왕실의 노비를 확인하기 위해 20년마다 소속된 노비들을 선두안에 등록하였다. 반면 역(驛)이나
  • 내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내수사(內需司)에 딸린 노비. . 궁노비. 今進內奴九還者內事書役時使喚人 而無所託 來寓其父家 情事甚切 今以內事還向治下 伏乞饋酒常常 饌物特惠 發輝萬萬, 한호(韓濩), 5-2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박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부(士夫)의 풍습을 잃었다는 탄핵을 받았으나 왕의 비호로 무사하였다. 여러 관직을 거쳐 1681년(숙종 7) 사간이 되어서 대사간 윤계(尹堦), 헌납 오도일(吳道一), 정언 이세백(李世白) 등과 함께 관서 지방의 진보(鎭堡)에 소속된 ()들의 신역(身役)...

고서·고문서(23)

  • 1852년 명서암(冥棲庵) 명서암전래노비안(冥棲庵傳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신분-노비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노비안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65309 B065309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肅宗 40年 8月 5日_015 ○又所啓, 濟州民人等, 呈于備邊司, 以爲朝家軫念島中飢饉, 移粟賑救, 又減進上, 凡干民役, 亦皆蠲免, 而貢膳, 獨未蒙蠲減之惠, 實涉冤閔。 粘移內司, 則內司, 以爲不可以一張報狀聽...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5452 B065452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肅宗 40年 8月 5日_015 ○又所啓, 濟州民人等, 呈于備邊司, 以爲朝家軫念島中飢饉, 移粟賑救, 又減進上, 凡干民役, 亦皆蠲免, 而貢膳, 獨未蒙蠲減之惠, 實涉冤閔。 粘移內司, 則內司, 以爲不可以一張報狀聽...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324 B048324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2年 6月 23日_014 ○又以備邊司言啓曰, 卽見濟州監賑御史韓億增狀啓, 則備陳本島牟麥凶歉, 民間飢困之狀。 而仍請前狀所請二千石穀, 以種牟劃給濟州判官·大靜縣監, 催促下送, 身貢, 依前例量減矣。 從...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2240 B052240 도민 島民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22年 6月 23日_014 濟州判官·大靜縣監, 催促下送, 身貢, 依前例量減矣。 從前朝家之優恤此島者, 不與他等, 而繡衣之目見民憂, 論列狀請又如此。 毋論羅里舖與附近他邑, 還牟之可合種子者, 限二千石特爲劃給...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수사 및 각 궁 소속의 노비. 왕실의 노비라는 뜻에서 궁노비라고도 하였다. 원래 본궁노비라 부르던 것을 1471년(성종 2)부터 내수사 노비라고 부르게 하였다. 이로써 일반적으로 라 하면 내수사 노비를 가리킨다. 이는 궁중에서 쓰는 미곡·포목·잡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