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급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
사전(48)
- 내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위를 받아 관제를 개혁할 때 종정시로 고쳤다. 그 뒤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종부시로 개칭하였다. 내급사는 종5품의 승(丞)과 더불어 전중성 내지 종정시의 실무를 맡고 있었다. 『고려사(高麗史)』
- 내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56년(공민왕 5) 7월에 설치한 환관직(宦官職). [내용] 품질(品秩)은 기록이 없어서 알 수 없으나 이때 환관직으로 내첨사(內詹事)에서 해관령(奚官令)에 이르는 7직을 두게 되었다. 이러한 조처는 충렬왕 이후 원나라와의...
- 승경궁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承慶宮主)에 책봉되었으며, 종실(宗室)인 전중내급사(殿中內給使)공화후(恭化侯)영(瑛)에게 출가하였다. 소생으로 상주국(上柱國)광릉후(廣陵侯)면(沔)이 있다. 『고려사(高麗史)』
- 유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094(선종 11)∼1155(의종 9).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백주(白州)이다.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를 지낸 한영(漢英)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사재주부(司宰主簿)를 지냈다. 성품은 온량공검(溫良恭儉)하였으며 학문을 좋아...
- 왕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생이다. 성품이 침착하고 욕심이 적었으며, 학문에 뜻이 돈독하였다. 의종 초년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가 되어 과거에 응시하기를 청하니, 왕이 그 뜻을 가상히 여겼으나, 종실로 과거에 응시함은 관례가 아니라 하여 허락하지 않았다. 인종 때 공화백(恭化伯)에...이칭별칭 현허(玄虛)| 정의(定懿)
고서·고문서(10)
- 《續大典》曰:“凡田每歲九月望前,守令審定年分等第,【邑內及四面,各分等第】 觀察使更審啓聞,議政府ㆍ六曹同議更啓,收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120 經世遺表 卷七 ITKC_MP_0597A_1120_010_0010 《續大典》曰:“凡田每歲九月望前,守令審定年分等第,【邑內及四面,各分等第】 觀察使更審啓聞,議政府ㆍ六曹同議更啓,收稅。”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권차명經世遺表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요사휘편_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4 太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380 중국 총서 요사휘편 247 문종(文宗) 29 1075 4 5 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4 太康元年乙卯 [熙寧八年] 夏四月丙寅 高麗遣刑部侍郞崔奭 來賀天安節 遣殿中內給事全咸正 來賀坤寧節 遣殿中侍御史許忠 來進方物 사신...국가중국 | 서명요사휘편 | 왕대문종(文宗) 29
- 도서(島嶼)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3456 B063456 도서 島嶼 도서 도서(島嶼) 肅宗實錄 三十六年(1710) 十一月 숙종실록_13611024_002 ... , 何能及事?” 臣又以爲不然也。 臣意蓋欲因此機會, 修繕都城, 以爲日後萬全之圖, 非爲防備海賊計也。 至於海賊, 則恐無可憂者。 何以言之, 環海而...출처전거肅宗實錄 | 지역분류도서(島嶼)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감물도(甘勿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93 B002793 감물도 甘勿島 도서 경상남도 高麗史 97卷 列傳10 [列傳10] 韓安仁 知其謀銜之 及睿宗薨安仁公美以*大醫崔思全視疾不謹欲置於法以故思全頗怨之 且資謙以崔惟迪爲給事中物議紛然內給事張應樞好干時附勢聞惟迪以奴婢二十口賂資謙得是職密語安仁安仁颺言于省中惟迪聞之訴於資...출처전거高麗史 97卷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감물도(甘勿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94 B002794 감물도 甘勿島 도서 경상남도 高麗史節要 卷之八 睿宗 十七年 十二月 十二月 會 資謙 以崔惟迪 爲給事中 物議紛然 有內給事張應樞者 好干時附勢 聞惟迪 以奴婢二十口賂資謙 得是職 密語安仁 安仁 颶言于省中 惟迪 愬於資謙 資謙 大怒 請辨于御史臺 安仁 慚恐 告...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八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내급사 / 內給事 [정치·법제/법제·행정]
뒤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종부시로 개칭하였다. 내급사는 종5품의 승(丞)과 더불어 전중성 내지 종정시의 실무를 맡고 있었다.
-
알자 / 謁者 [정치·법제]
의전 행사에서 집전 담당자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집사 중의 하나. 대관전에서 옥책을 올리는 의식에 임금이 대관전에 나올 무렵에 집례관ㆍ내급사ㆍ내시ㆍ내상시ㆍ알자ㆍ내알자ㆍ전알ㆍ전의ㆍ찬자 등이 먼저 전정으로 들어가 좌우로 갈라선다고 한 기록이 보인다.
-
혁련정 / 赫連挺 [문학/고전시가]
고려전기 장락전학사, 판제학원사 등을 역임한 학자.문인. 1075년(문종 29) 진사로서 광종 때의 고승 균여(均如)의 전기인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균여전(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을 썼다. 전중성(殿中省)의 내급사(內給事)로 있던 강유현(康惟顯)이 실제 사실 중
-
종정시 / 宗正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 종정시로 개칭되었다. 직제는 판사(정3품) 1인, 경(종3품) 1인, 소경(종4품) 1인, 승(종5품) 2인, 내급사(종6품) 1인, 주부(종7품) 1인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