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금위취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2)
- 내금위취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면서 내금위취재도 금군취재로 개편되었는데, 1710년(숙종 36)부터 시행되었다. 금군취재는 내금위취재와 유사하였으나, 응시자의 신분 및 말의 헌납 여부에 따라 채점기준을 달리하였다. 내금위는 특수병종으로서 승진과 보수에서 여러가지 특혜가 있었고, 그 정예성을...
- 내금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1407년(태종 7)에 임금의 호위와 궁중을 지키기 위해 설치된 군대 조직. [내용] 유명 무실한 궁중 숙위를 담당했던 내상직(內上直)을 정리, 개편하여 조직한 왕의 친위군 혹은 금군이다. 처음에는 태종의 신임을 받는 수하병들...
고서·고문서(6)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忠元, 宜寧閑良李必榮, 講入格尙州閑良鄭命桓·張光麟等, 六人皆已上來矣。 昨年別試武士入格人上來後, 因傳敎, 宣薦內禁衛取才時, 以其該道入格技藝, 更試草記矣。 今此上來六人, 依昨年例, 今日宣薦內禁衛取才時, 試取,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臺啓與情犯甚重, 深係國家, 强盜贓汚及承傳定配外, 徒流以下定配罪人, 特爲放送事, 命下矣。 取考徒流案, 則長興李恩植, 和奸村婢, 以致其舅之自裁罪, 機張閔禧哲, 宣薦內禁衛取才時, 代射罪, 丹城金承業, 宮奴擊鼓, 常有不飭罪, 軍威金U+28A7F陳疏投畀罪, 載寧曺錫龜, 科擧外塲...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857 B07085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9年 7月 16日_021 ○李勉兢, 以兵曹言啓曰, ?因慶尙前監司趙鎭宅狀啓, 本道別試武士鐵箭三矢, 過一百五十步者三人, 騎芻四中者一人, 武經中通三, 書者一人, 通二書者一人, 今日宣薦內禁衛取才時, 以其本道入格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盧禛歷話, 以內禁衛取才試取事到州云云, 久坐而歸。○呂孺來見, 近日欲往維新云, 卽去。○李格妻簡求蘇合丸。與四丸。○令香卜去琴塵, 擊落三棵。○呂安逢打內傷, 不食云。○梅花開, 蜜蜂來, 萱草生, 菊苖出。○虞候夜入州。○京人朴文昌送書問。 1554년 1월 30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伽川末丁妹也。末貞處書牌字, 使之備上, 飯送之。○价川姉氏送簡, 求還檢山田云云。答以決得後可還之意。文應亦送簡問。答送。○朴文昌奴來受答。○夜, 州吏書示“虞候、知禮縣監、鎭海縣監到州, 內禁衛取才試取”云云。又示“道內等第, 丹城、彦陽下等, 昌原、居昌、晉判、眞寶、省峴、幽谷中等”云。○...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1)
-
내금위취재 / 內禁衛取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무관 채용시험. 정예근위부대의 하나였던 내금위의 군관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이다. 병조에서 도총부·훈련원의 당상관 각 1인과 함께 시험을 보아 선발하였다. 내금위에 결원이 있을 때마다 수시로 행하였다. 시험과목은 목전·철전·기사와 기창의 기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