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금위장” 에 대한 검색결과 1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8)

사전(43)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금장(內禁將) 금군장(禁軍將), 금군청(禁軍廳), 내금위(內禁衛), 용호영(龍虎營)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59년(세조 5) ...
    동의어내금장(內禁將) | 관련어금군장(禁軍將), 금군청(禁軍廳), 내금위(內禁衛), 용호영(龍虎營)
  • 금군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의 내금위(內禁衛)ㆍ겸사복(兼司僕)ㆍ우림위(羽林衛) 등 금군삼위를 지휘하던 정3품의 장수. [내용] 『경국대전』에는 3인, 겸사복장 3인으로 규정되었으나, 성종 때 우림위가 설치된 뒤 다시 조정되어 그 뒤로는 계속 ...
  • 이병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1(철종 2)∼? 조선 말기의 관리. [내용] 본관은 광주(廣州). 1883년(고종 20) 선공감감역관(繕工監監役官)으로 관직에 들어가, 1886년 별군직, 1888년 진해현감을 거쳐 1889년 ()을 역임하였다.
  • 문홍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운데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함에 광해군의 신변보호를 맡아 ()으로서 3개월 동안 직접 숙위(宿衛)하여 그 공으로 가선대부에 올랐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격문을 돌려 동지들을 규합, 아들 정로(廷老)로 하여금 이를 지휘하게 하여 적침...
    이칭별칭 여의(汝毅)| 모두헌(慕杜軒)
  • 천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內外將)을 거친 자로 임명되고, 임기는 1년이었으며, () 등의 금군장(禁軍將)이 옮겨오는 경우가 많았다. 법전상으로 천총이 있던 군영을 보면,『속대전』에 훈련도감 2인, 금위영 4인, 어영청 5인, 수어청 2인, 총융청 2인이 있었고,『대전통편(...

고서·고문서(95)

  • 1645년 박성오(朴省吾)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45년(인조23)12월 26일에 인조가 박성오를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겸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죽정서원
  • 1646년 박성오(朴省吾)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46년(인조24)8월 16일에 인조가 박성오를 절충장군훈련원도정겸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죽정서원
  • 1629년 오신남(吳信男)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29년(인조7) 3월에 인조가 해주오씨 오신남을 가의대부행용위사과겸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강진 덕호사
  • 1629년 오신남(吳信男)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29년(인조7) 3월에 인조가 해주오씨 오신남을 가의대부동지중추부사겸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강진 덕호사
  • 1629년 박세중(朴世重)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29년 12월 25일에 인조가 박세중에게 가선대부 행호분위부사맹겸의 관직을 내리는 교지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국방]

    내금위에 소속된 종2품 관직. 정원은 3인이고 타관이 겸하였다. 세조 3년(1457) 내금위절제사 6인을 두어 이라 하고 그 대우를 오위장과 같이 하여, 매번마다 2장씩 궁중에 직숙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완전히 시행되지는 않은 듯 하며, 세조 5년(14

  • 금군장 / 禁軍將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의 내금위·겸사복·우림위 등 금군삼위를 지휘하던 정3품의 장수. ≪경국대전≫에는 3인, 겸사복장 3인으로 규정되었으나, 성종 때 우림위가 설치된 뒤 다시 조정되어 그 뒤로는 계속 3인, 겸사복장·우림위장 각 2인을 두었다. 당시 금군장은 정

  • 정수번 / 鄭守藩 [종교·철학/유학]

    1580년(선조 13)~1621년(광해군 13). 조선 중기 무신. 고조는 정이휘, 부친은 정세아이다. 부인은 조희익의 딸이다. 형은 정의번‧정유번‧정안번이다.1598년(선조 31) 무과 급제 후 ‧감포만호‧재포만호,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슬

  • 입직 / 入直 [정치·법제/법제·행정]

    공문서의 역할 수행을 맡은 오위도총부에 이첩한다. 이때 위장도 왕의 낙점을 받아 군사를 1부씩 분령하게 되는데, 겸사복장··수문장 등도 똑같이 왕의 낙점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