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금위” 에 대한 검색결과 49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4)

사전(20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그 수가 불과 60∼90인에 지나지 않는 정예 부대로서, 절제사(節制使)에 의해 영솔되었다. 그 뒤 국가의 기틀이 잡히고 왕권이 강화되면서 1424년(세종 6) 와 같은 임무를 띠고 있던 내시위(內侍衛)를 통합해 그 수가 20...
  • 장(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將 내금장(內禁將) 금군장(禁軍將), 금군청(禁軍廳), (), 용호영(龍虎營)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59년(세조 5) ...
    동의어내금장(內禁將) | 관련어금군장(禁軍將), 금군청(禁軍廳), 내금위(內禁衛), 용호영(龍虎營)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갑사(甲士), 겸사복(兼司僕), 궁궐(宮闕), 근시정병(近侍精兵), 금군(禁軍), 금여(禁旅), 금영(禁營), (), 삼번(三番), 내삼청(內三廳), 내상직(內上直), 내시위(內侍衛),
    관련어갑사(甲士), 겸사복(兼司僕), 궁궐(宮闕), 근시정병(近侍精兵), 금군(禁軍), 금여(禁旅), 금영(禁營), 내금위(內禁衛), 내금위 삼번(內禁衛三番), 내삼청(內三廳), 내상직(內上直), 내시위(內侍衛), 내취(內吹), 대호군(大護軍), 별시위(別侍衛), 별패(別牌), 상호군(上護軍), 생기(省記), 시위패(侍衛牌), 우림위(羽林衛), 예차내금위(預差內禁衛), 응양위(鷹揚衛), 행행(幸行)
  • 취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무관 채용시험. [내용] 정예근위부대의 하나였던 의 군관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이다. 병조에서 도총부‧훈련원의 당상관 각 1인과 함께 시험을 보아 선발하였다. 에 결원이 있을 때마다 수시로 행하였다. 시험과목은...
  • 내시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궁궐의 경비와 왕의 신변보호를 맡아보던 시위군. [내용] 동일한 성격의 ()가 먼저 설치되어 있었으나, 인원이 부족하다 하여 1409년(태종 9)에 새로 내시위가 구성된 것이다. 이들은 모두 120인으로 40...

고서·고문서(280)

  • 京畿道庄土文績_제19책 : 京城中部貞善坊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70. 庚寅十二月二十二日財主李壽巖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8985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19책 : 京城中部貞善坊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19-071 70. 庚寅十二月二十二日財主李壽巖 초사 1 68-73 26.2x22.1cm 한지, 관인, 당상의 押 1장, 26...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88책 : 京畿道安山郡又糸江廣州郡諸浦口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18. 西部麻浦契居梁時興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8120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88책 : 京畿道安山郡又糸江廣州郡諸浦口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88-018 18. 西部麻浦契居梁時興 소지 1 88-014~021 45.3x50.3 한지, 관인, 한성부 당상의 押과...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574년 이계정(李繼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574년(선조7)6월에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분순부위이계정을 병절교위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영산사
  • 1606년 윤안중(尹安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06년정월에 선조가 예차윤안중을 소위장군행충좌위부사용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1606년 윤안중(尹安中)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06년4월 16일에 병조에서 선조의 명을 받들어 해남에 사는 예차근력부위윤안중을 효력부위행충좌위부사용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주제어사전(15)

  • / [정치·법제/국방]

    조선 1407년(태종 7)에 임금의 호위와 궁중을 지키기 위해 설치된 군대 조직. 유명 무실한 궁중 숙위를 담당했던 내상직(內上直)을 정리, 개편하여 조직한 왕의 친위군 혹은 금군이다.

  • 장 / [정치·법제/국방]

    에 소속된 종2품 관직. 정원은 3인이고 타관이 겸하였다. 세조 3년(1457) 절제사 6인을 두어 장이라 하고 그 대우를 오위장과 같이 하여, 매번마다 2장씩 궁중에 직숙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완전히 시행되지는 않은 듯 하며, 세조 5년(14

  • 취재 / 取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무관 채용시험. 정예근위부대의 하나였던 의 군관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이다. 병조에서 도총부·훈련원의 당상관 각 1인과 함께 시험을 보아 선발하였다. 에 결원이 있을 때마다 수시로 행하였다. 시험과목은 목전·철전·기사와 기창의 기술이었다.

  • 금군장 / 禁軍將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의 ·겸사복·우림위 등 금군삼위를 지휘하던 정3품의 장수. ≪경국대전≫에는 장 3인, 겸사복장 3인으로 규정되었으나, 성종 때 우림위가 설치된 뒤 다시 조정되어 그 뒤로는 계속 장 3인, 겸사복장·우림위장 각 2인을 두었다. 당시 금군장은 정

  • 금군 / 禁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국왕의 친위군. 조선시대 금군으로는 1407년(태종 7) 10월 종래의 내상직을 내시위(內侍衛)로 고쳤다가 다시 ()로 고쳤는데, 오위와는 별도로 무예가 특이한 자 190인으로 편성하였다. 왕과 가장 가까이에서 입직·시립·호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