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4)
사전(144)
- 내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의장(儀仗)과 병기류를 관장하던 관서. [내용] 918년(태조 1)에 내군경(內軍卿)을 두었다. 태조 때의 내군은 태조가 즉위한 직후의 인사내용에 내군의 차관직인 경으로 능혜(能惠)와 희필(羲弼)이 기재되어 있다. ...
- 천내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천내군
- 이내군대관(伊奈郡代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내군대관 이내군대관 伊奈郡代官 이내군수(伊奈郡守) 대마도(對馬島), 종성홍(宗盛弘), 종성차(宗盛次), 종자무(宗資茂) 정치외교 직역 일본 조선 세종~중종 한문종 [정의] 실정시대(室町時代...동의어이내군수(伊奈郡守) | 관련어대마도(對馬島), 종성홍(宗盛弘), 종성차(宗盛次), 종자무(宗資茂)
- 선래군관(先來軍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319 제도 선래군관(先來軍官) 선래군관 先來軍官 사행 때 보고를 위하여 사신보다 앞서서 돌아오는 군관. 한양에 먼저 도착해야 되기 때문에 선래(先來)라고 하였고, 그 기한을 정하여 기일을 어기면 죄에 저촉되기 때문에 주야로 쉬...유형분류제도
- 장위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에 의물(儀物)ㆍ기계(器械) 등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918년(태조 1)에 설치되었던 내군(內軍)이 960년(광종 11)에 개편된 것이다. 관속의 구성은 알 수가 없다. 뒤에 사위시(司尉寺)로 바뀌었다가 995...
논문(1)
- 연행록을 통해 본 先來軍官의 운용 양상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Ⅱ) - 19세기 연행록 148종을 대상으로 -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동건 | 게재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고서·고문서(761)
- 東萊郡民葬(동래군민장)엄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東萊郡民葬(동래군민장)엄수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무장간첩 1960년대...대표표제어東萊郡民葬(동래군민장)엄수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간첩
- 검지와 분가관습(이・완) : 장야현상수내군영촌의 사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민사 | 소장처CiNii論文PDF(원문) | 출판사社会経済史学会
- 검지와 분가관습(일) : 장야현상수내군영촌의 사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민사 | 소장처CiNii論文PDF(원문) | 출판사社会経済史学会
- 동래군 동래면 제23회 협의회 회의록(東萊郡 東萊面第二十三回協議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평북) 동래면소화3년도세입출예산에관한건(동래면)(회의록첨부) 국가기록원 동래 동래군 동래면 제23회 협의회 회의록(東萊郡 東萊面第二十三回協議會會議錄) 회의록 1928년 02월 29일 秋鳳璨(면장) 廣中重之進(1),김병규(金秉圭)(2),윤...대표표제어동래군 동래면 제23회 협의회 회의록(東萊郡 東萊面第二十三回協議會會議錄) | 건명동래면소화3년도세입출예산에관한건(동래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28년 02월 | 회의일29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동래군 동래면 제23회 협의회 회의록(東萊郡 東萊面第二十三回協議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평북) 동래면소화3년도세입출예산에관한건(동래면)(회의록첨부) 국가기록원 동래 동래군 동래면 제23회 협의회 회의록(東萊郡 東萊面第二十三回協議會會議錄) 회의록 1928년 03월 01일 秋鳳璨(면장) 廣中重之進(1), 윤세병(尹世炳(3),...대표표제어동래군 동래면 제23회 협의회 회의록(東萊郡 東萊面第二十三回協議會會議錄) | 건명동래면소화3년도세입출예산에관한건(동래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28년 03월 | 회의일01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신문·잡지(31)
- 內軍相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대신 리지용씨와 군부대신 리근씨 무삼불협건이잇던지 일젼에 호상갈등야 시비가되엿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寺內軍相의献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륙군대신 씨를 위야 일본군령부안에 원유회를 셜다 말은별항에 긔얏거니와 동씨가 도한 에우리 대황뎨폐하 봉뎡로 속포「速射砲」몃병을 가지고 건너왓 금일졍부원유회에 진참고 명일하오에 폐현을 후 그속포를 헌상터이라더라게재일1907년 6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任侍從 秘書丞沈選澤 任秘書丞 正三品李필柱 裕康園叅奉 吳煕淳 箕子陵叅奉晉在鐸 依願免本官 解東萊郡牧場査整官 從二品洪在祺 解東萊郡牧場査整委員 六品李相華 九品 金淑鎭 仝成壽永 仝尹錫一 仝李在寅 解 享祀經費査整委員 九品金顯模 崔 완 朴泰欽 陳相烈 命 享祀經費査整委員 任裕康園叅奉...게재일1907년 7월 7일 | 기사분류관보
- 정석내 군에게 축하하여 지어 준 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정석내 군에게 축하하여 지어 준 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25호 賀贈鄭錫迺君韻 1908.08.24. 詞藻 701~702 941~942 김원극(金源極) 대한제국 정석...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2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조선출판경찰월보 101호 동래군지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01호 동래군지 동래군지(東萊郡誌) 상(上) 전1책 미기재 문기주(文錡周) 경남(慶南) 동래군(東萊郡) 동래읍(東萊邑) 오륜리(五倫里) 287 조선_1937년 1월 8일 삭제...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1호 동래군지 | 출판물명동래군지(東萊郡誌) 상(上) 전1책
기타자료(7)
- 조이연;趙怡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637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46면 조이연;趙怡淵 평북 정주군 신안면 태양동;東萊郡廳 제4회 1922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순녀;蔣順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407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5면 (2) 졸업생일람 장순녀;蔣順女 大阪府 北河內郡 殿山町 大阪女子高等醫專 기숙사 고보15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준택;鄭準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兵庫縣 朝來郡 生野町 生野廣山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단마국이 발해 사신의 도착을 알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마국(但馬國)은 조래군(朝来郡)・양부군(養父郡)・출석군(出石郡)・기다군(気多郡)・성기군(城埼郡)・미함군(美含郡)・이방군(二方郡)・칠미군(七美郡)의 8개 군으로 구성되었다(加藤謙吉 외, 2007, 『日本古代史地名事典』, 雄山閣, 540~541쪽).이 역마를 달려 말을 올...대표표제어단마국이 발해 사신의 도착을 알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28년(戊申/신라 흥덕왕 3/발해 宣王 建興 11/唐 文宗 太和 2/日本 淳和天皇 天長 5)
- 곡성 당동리산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배경 1.고고학적 배경 2.역사적 배경 / Ⅳ.당동리산성 1.위치 및 연혁 2.조사현황 1)전체현황 2)체성 3)부속시설 4)출토유물 3.주변 유적 1)傳 욕내군 치소 2)불교유적 3)기타 유적 / Ⅴ.곡성군의 성곽 1.죽림리산성 2.설산산성 3.옥출산성 4.당산산성...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전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10)
-
내군 / 內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의장과 병기류를 관장하던 관서. 918년(태조 1)에 내군경(內軍卿)을 두었다. 태조 때의 내군은 태조가 즉위한 직후의 인사내용에 내군의 차관직인 경으로 능혜(能惠)와 희필(羲弼)이 기재되어 있다. 이 때의 군사 및 감찰관부에 순군부(徇軍部)·병부·의형대(義
-
낭주 / 朗州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영암 지역의 옛 지명. 백제의 월내군(月奈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영암군으로 고쳤고, 영현으로 고안현(固安縣)이 있었으며 무주(武州)에 속하였다. 995년(성종 14) 낭주안남도호부(朗州安南都護府)로 하였고, 1018년(현종 9) 영암지군사(靈巖
-
덕지강 / 德池江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수동구(水洞區)와 평안남도 양덕군과의 경계에 있는 재령산(1,217m)에서 발원하여 금야군 해중리와 강원도 천내군 염전리 사이에서 동해의 송전만으로 유입되는 강. 길이 101.5㎞, 유역면적 1,176.8㎢, 유역의 평균너비 11.6㎞, 하
-
동평 / 東平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부산진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대증현(大甑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동평현으로 고쳐 양주(良州) 영역의 동래군(東萊郡) 영현이 되었다. 1018년(현종 9 )양주(梁州)의 임내로 하였다가, 1405년(태종 5) 동래현에 이속시켰다. 140
-
사위시 / 司衛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에 의장에 관한 일과 예기 및 무기를 관장하던 관청. 918년(태조 원년)에 설치하여 내군경이라 하였다가 960년(광종 11)에 장위부로 고치고 후에 사위시라 칭하였다가 995년(성종 14)에 위위시로 바꾸었다. 사위시와 관련되는 관부로는 왕궁의 궁전을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