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5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133)
사전(6,306)
- 내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왕궁에 직속되어 왕실재정을 담당하던 창고 관청의 하나. [개설] 인종대를 전후한 시기에는 대영창(大盈倉)‧대영고(大盈庫)라고도 불렸다. ‘내고’가 관청명이기는 하나, 그곳에 부속되어 있던 물품보관소도 내고라 칭하였다. 내...이칭별칭대영창|대영고
- 取來鼓角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G0_D_0051 取來鼓角 외교(기타) 國業, 鼓, 使臣, 王禮, 他國所藏, 揚名, 遣使 扶餘, 遼左 朱蒙, 扶芬奴, 沸流, 松讓 東明王篇註 D_18_03_02 대동운부군옥 18권 3장 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3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내고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49년 북한의 국립영화촬영소가 제작한 최초의 극영화.정의1949년 북한의 국립영화촬영소가 제작한 최초의 극영화.[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ae gohyang | MR표기Nae kohy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천내고니살이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천내고니는 금호수역과 염전리 일대에 매년 10월 하순부터 날아와 서식하다가 물이 얼기 시작하면 얕은 바닷가로 나간다. 다시 얼음이 녹기 시작하는 3월 초순부터 4월 초순까지 돌아와서 이곳에서 겨울을 보낸다.
- 동사구문사전 : 성내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2681 성내다 성내다I 성-내다1 성내, 성내니, 성내고 일반동사 vi (사람이나 동물이) 기분이 몹시 언짢아 불쾌한 감정을 드러내다. (Of a person or an animal) Show unpleasant emotion af...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단행본(2)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해제 18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권진호(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욱(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이상호(한국국학진흥... | 출판사 : 성심출판사 | 출판일 : 2010.0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別洞集 尤溪逸稿 梅塢逸稿 木齋集 能皐集 荷叟集 放汕遺稿 龍岡遺稿 竹田遺稿
- 폴란드인을 위한 한국어 1 [폴란드 한국학 전공 학부 대학원생용 교육과정 및 교육자료 개발 | 서울대학교]저자 : 장소원(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김성규(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영철(서... | 출판사 : 박이정 | 출판일 : 2011.01.15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12과 한국어 시험을 봤습니다 13과 다른 약속이 없으니까 같이 갑시다 14과 폴란드에서 잘 지내고 있어요 15과 우리 같이 차를 마실까요?
고서·고문서(5,994)
- 내고향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977 창가 소년소녀교육유행창가집 22095 1927년 庾錫祚 廣學書舖 庾錫祚 金重煥 八十錢 내고향 〈mn〉오선보 있음〈/mn〉 〈#25〉 [ 一, ] 내 고향을 리별하고 타관에 와서 젹젹한 방 홀노 안저셔, 생각을 하니 답...구분창가 | 편저자庾錫祚
- 國內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470 我邦疆域考 其三 ITKC_MP_0597A_1470_000_0020 國內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我邦疆域考 其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내고향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내고향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반금시(盘锦市) 반산현(盘山县) 오가향 단결촌 3 3 내고향, 락화삼천, 고향설, 남...대표표제어내고향 | 성씨김
- 내고향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내고향 이 남자 경상북도 영덕군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교구(郊区) 고점자향 3 1 내고향, 경상북...대표표제어내고향 | 성씨이
- 내고향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내고향 김 흑룡강성(黑龙江省) 녕안현(宁安县) 알수없음 늑난진진영촌(?????村) 2 1 내고향, 배, 내형제, 내혈육,...대표표제어내고향 | 성씨김
구술자료(359)
- 기운 내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할머니들에게 해달라고 하자 서로 미루고 있다가 제보자가 구술해 주었다. 활달한 성격의 제보자를 중심으로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이 노래는 이곳에 와서 배운 것 같다고 하였다. *조사일시1982-01-13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쌍웅리 | 제보자심복순
- 사천냥 내고 친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야기를 하다가 보니 점심 때가 되었다. 제보자 김원락씨가 자기 집으로 가자고 해서 가서 점심 대접까지 받았다. 점심 먹은 후에 다시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이제 아주 장편이 나은다. *조사일시1979-02-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현곡면 가정1리 | 제보자김원락
- 배내고개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덕진당 유래에 이어서 이번에도 역시 임진강 근처의 지명과 관련된 ‘배내고개’ 유래담을 이야기 해주었다.조사일시2010. 1. 21(목) | 조사장소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2리 노인회관 | 제보자목창균
- 동제 지내고 말들이 많은 동네 아낙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동제를 잘못 지내서 동티가 난 일이 없었냐는 조사자의 질문에 응하여 들려준 이야기다.조사일시2010. 6. 25(금) | 조사장소경상북도 포항시 송라면 조사리 마을회관 | 제보자윤동철
- 당나무를 베어내고 동티 난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깨비한테 홀린 이야기2’ 이후에 구연된 것으로, 5분 가량 냉수리 동제에 관한 대화가 오가다 자연스럽게 당나무 이야기로 이어졌다. 이야기가 끝난 후에 최근에 자신의 목장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기도 했다.조사일시2010. 6. 26(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포항시 신광면 냉수리 식당 | 제보자김대근
신문·잡지(2,601)
- 竹內高(吉原藥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竹內高(吉原藥局) 부산 竹內高 吉原藥局 大倉町4-31 - - 약종(藥種) - 27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竹內高(吉原藥局)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약종(藥種)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무본 보험회샤 샤쟝 민병한씨가 무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무본 보험회샤 샤쟝 민병한씨가 무삼 닭인지 그 회샤 장뎡과 도쟝을 모다 그 회샤로 보내고 시무지 아니다더라게재일1900년 4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함남로동신문_1949_1215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7 강길모 함흥시 함남로동신문사 강홍식, 고형구, 최순홍, 윤상열, 윤경애, 심영, 문예봉, 태을민, 류현, 류원준, 문정복 영화연출 2등 강홍식 내고향 기타 성과에 대하여 국립영화촬영소 연출가 촬영 2등 고형구 영원한 친선 내고향 기타 성과...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15_04 | 책임주필강길모
- 정책계보_1967_02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시의 의의와 그 단계적 실시방안 박충훈 68 특집 선량들의 내고장 지상캠페인(경기도편)-내고장 김포 강화의 오늘과 내일 김재소 75 특집 선량들...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비셕부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관왕묘 비셕을 츙쳥도 남포군에 가셔 오 그 부비가 당오젼 이십 오만량 으로 지츌이 되고 이만 오쳔량은 탁지에셔부내고 이십이만 오쳔량은 남포 보령 셔쳔 흥산 비인 다골의 공젼즁으로 획하 엿다 더라게재일1899년 4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66)
- 같은 사건 등을 설정하고, 이들 키워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문학 작품을 감상한다. 이를 통해 문학이 한국의 과거 역사를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1주차. 불교와 문학 2주차. 성리학과 문학 3주차. 실학과 문학 4주차. 한글과 문학 5주차강의자차충환 | 주차불교와 문학_1주차
- 같은 사건 등을 설정하고, 이들 키워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문학 작품을 감상한다. 이를 통해 문학이 한국의 과거 역사를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1주차. 불교와 문학 2주차. 성리학과 문학 3주차. 실학과 문학 4주차. 한글과 문학 5주차강의자차충환 | 주차불교와 문학_1주차
- 같은 사건 등을 설정하고, 이들 키워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문학 작품을 감상한다. 이를 통해 문학이 한국의 과거 역사를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1주차. 불교와 문학 2주차. 성리학과 문학 3주차. 실학과 문학 4주차. 한글과 문학 5주차강의자차충환 | 주차불교와 문학_1주차
- 같은 사건 등을 설정하고, 이들 키워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문학 작품을 감상한다. 이를 통해 문학이 한국의 과거 역사를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1주차. 불교와 문학 2주차. 성리학과 문학 3주차. 실학과 문학 4주차. 한글과 문학 5주차강의자차충환 | 주차불교와 문학_1주차
- 같은 사건 등을 설정하고, 이들 키워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문학 작품을 감상한다. 이를 통해 문학이 한국의 과거 역사를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1주차. 불교와 문학 2주차. 성리학과 문학 3주차. 실학과 문학 4주차. 한글과 문학 5주차강의자차충환 | 주차불교와 문학_1주차
기타자료(1,705)
- 편집을 끝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편집을 끝내고 편집을 끝내고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잡지 편집...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부 | 사료철명교육경남
- 편집을 끝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편집을 끝내고 편집을 끝내고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잡지 편집...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부 | 사료철명교육경남
- 편집을 끝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편집을 끝내고 편집을 끝내고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경남
- 편집을 끝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편집을 끝내고 편집을 끝내고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경남
- 편집을 끝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편집을 끝내고 편집을 끝내고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잡지 편집...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부 | 사료철명교육경남
연구과제(48)
-
명청대 문헌에 보이는 한국미술사 자료 집성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김홍대 | 河南理工大學 (Henan polytechnic university) | 2013 | 국외 | 해외
-
냉전식민주의 체제의 탄생과 균열 - 식민주의 청산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세계 -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신철 |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 2022 | 국내 | 서울
-
순수 언어학과 응용 언어학 관점에서 본 세계어로서의 한국어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Sungdai Cho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 2022 | 국외 | 해외
-
다산 정약용 시집
한국 학술 번역사업 | 이주행 | 다산학술문화재단 | 2014 | 국내 | 서울
-
잡지를 통해 본 1990년대 한국사상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여일 | 제주대학교 | 2019 | 국내 | 제주
주제어사전(349)
-
내고 / 內庫 [정치·법제/법제·행정]
반해, 내고는 금·은 등의 보물과 포백(布帛)을 주로 보관하였다.
-
능고집 / 能皐集 [종교·철학/유학]
능고 박신경의 문집. 석인본, 발:박주대(1909)‧박만진(1910). 6권3책. 권1는 시 54제 77수, 권2에는 서 11편과 서 3편, 기 5편, 발 3편이 실려 있다. 권3,4는 잡저로 <주서강록간보차의상>과 <주서강록간보차의하>가 수록, 권5는 <서론어문의통고
-
동래고지도 / 東萊古地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동래부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고지도. 세로 132.5㎝, 가로 78.5㎝ 크기의 한지에 수묵담채로 그린 조감도 형태의 지도로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동래·부산 고지도』와 1872년(고종 9) 경에 제작된 규장각 소장의 『동래군현지도』와 같은 형식이다
-
관 / 關 [정치·법제/법제·행정]
품급이 같은 아문 사이에 서로 보내고 받는 문서 . 또는 높은 아문에서 낮은 아문에 보내는 공문서를 관 또는 관문이라고 한다.
-
유비고 / 有備庫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기 군수물자의 보급을 담당하던 관서. 1397년(태조 6) 중국 송대의 내고(內庫)를 본떠서 설치한 것이다. 태조는 이를 설치하면서 “오직 군수(軍需)에 쓰이는 전(錢)·포(布)·곡(穀)·화(貨)를 관리하게 한다.”고 하여 이 관청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