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낭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0)
사전(145)
- 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에 소속된 정3품 이하의 관원에 대한 총칭. [개설] 중서문하성의 명칭 변경에 따라 성종 때에는 내사문하성낭사(內史門下省郎舍), 문종 때에는 중서문하성낭사, 1369년(공민왕 18) 이후에는 문하부낭사(門下府郎舍)로 불...이칭별칭내사문하성낭사|중서문하성낭사|문하부낭사|성랑|간관
- 낭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간관(諫官).정의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간관(諫官).[두산백과] | 문광부표기nangsa | MR표기nang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郞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540 郞舍 관직 詞臣, 敎令, 獻可替否, 麗制, 諫官, 門下府, 左右散騎, 左右諫議, 補闕, 拾遺, 內史舍人 本史, 徐居正諫院記 D_16_06_35 대동운부군옥 16권 6장 3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6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간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낭사(郎舍)와 조선시대 사간원‧사헌부의 합칭, 또는 두 관서 관원의 총칭. [내용] 간(諫)이라 함은 선‧악을 분별하여 국왕에게 진술함을 뜻하는 것으로, 이를 맡은 관서 또는 관원을 간관이라 하였는데 고려시대에는 문하부(門下府)...
- 근대신어 : 프랑수아 1세(佛郞士苐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63040 프랑수아 1세 파항 佛郞士苐一 國王佛郞士苐一 국왕 프랑수아 1세 法國誌畧續稿 漢城旬報 17 博文局 1884 3 11 24 정치주체 인명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주체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409)
- 漢尙符璽郞謝詔增秩二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870 漢尙符璽郞謝詔增秩二等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張一魁自殺判詞 妒影浪死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60 欽欽新書 卷二 ITKC_MP_0597A_1360_020_0120 張一魁自殺判詞 妒影浪死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欽欽新書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劉沛引浪死申詳 煙酒醉死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60 欽欽新書 卷二 ITKC_MP_0597A_1360_030_0210 劉沛引浪死申詳 煙酒醉死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欽欽新書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路遇聖節使書狀官丁佐郞士推 【好恕】 爲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810 與猶堂全書補遺○家乘外編 ITKC_MP_0597A_1810_000_0140 路遇聖節使書狀官丁佐郞士推 【好恕】 爲別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家乘外編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초계집_苕溪集53 望明河 贈路侍郞使高麗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661 중국 문집 초계집 011 기타 苕溪集53 望明河 贈路侍郞使高麗 華旌耀日 報天上使星 初辭金闕 許國精忠 試此日傅巖 濟川舟楫 向來鷄林外 况傳詠篇章雄絶 問人地 眞是唐朝第一 未論勲業 鯨液霽雲千疊 望仙馭縹緲 神山明滅 萬里勤勞 也等是壮年 繡衣持節...국가중국 | 서명초계집 | 왕대기타
신문·잡지(20)
- 可謂浪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징상참령 김연시씨의뎨 무독로 집이간란 화류잡기에츄츅야그집문권을젼집고 갑흘길이업스 시하인에엇지쥴몰나 일젼에아편을먹고 쥭은지라 김연시씨 셩광즁이라더라게재일1907년 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是何浪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관립소학교교원 김창윤씨 년젼에 도젹에게 경겁 이후에 풍화증으로 오신고더니 손락을 으면 즉차다고 오른 기손가락을 엇다니 낭 일이더라게재일1903년 5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兩書記郞辞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셔긔랑 구연흠 김찬졔 량씨 무삼건을 인인지 일졔히 쳥원 직얏 비록 봉환이 되더도 긔어히 면기로 결심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대묘동사 죠상인집낭사 황소가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대묘동사 죠상인집낭사 황소가 십삼세된녀가잇더니 그쥬인의 빙모명 졍소가 다리고 나가셔 업시지라 심방 차에 됴샹인이 황소를불너 닐너왈 들은즉 남촌아모 김씨집에셔 하교사 변셕홍과 박쥬란 사이 모여안져 네을 다리고 됴룡것을 그 쥬인집에셔 거리지...게재일1900년 9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愛髮如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단발죠칙이 나리신 후로 경셩에 공연히 두류 시골사들이 장을려 나려가쟈 만커니와 각쳐에셔 물깃 물장와 낭리군들이 머리일에 겁을여 고향으로 나려가쟈이 만흔고로 장 물장가업셔 물도엇어 먹을슈 업다고들 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6)
- 신라가 후당에 입조사 장분(張芬) 등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삼았다. (五代會要 30 新羅) 【원문】 (天成二年三月)庚午 以新羅國入朝使中散大夫兵部侍郞賜紫金魚袋張芬 可檢較工部尙書 副史兵部郎中賜緋魚袋朴術洪 可兼御史中丞 判官倉部員外郞賜緋魚袋李忠式 可兼侍御史 (冊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3) 【원문】 (天成二年...대표표제어신라가 후당에 입조사 장분(張芬) 등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7년(丁亥/신라 경애왕 4, 경순왕 1/후백제 견훤 28/고려 태조 10 天授 10/後唐 天成 2/日本 延長 5)
- 신라가 후당에 입조사 장분(張芬) 등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다. (『五代會要』 30 新羅) 【원문】 (天成二年三月)庚午 以新羅國入朝使中散大夫兵部侍郞賜紫金魚袋張芬 可檢較工部尙書 副史兵部郎中賜緋魚袋朴術洪 可兼御史中丞 判官倉部員外郞賜緋魚袋李忠式 可兼侍御史 (『冊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3) 【원문】 (天成二年三月)其月...대표표제어신라가 후당에 입조사 장분(張芬) 등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27년(丁亥/신라 경애왕 4, 경순왕 1/후백제 견훤 28/고려 태조 10 天授 10/後唐 天成 2/日本 延長 5)
- 신라가 보낸 사신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76 外臣部 21 褒異 3) 【원문】 (同光)二年四月戊寅 新羅朝貢使授朝散大夫守倉部侍郞賜紫金魚袋金岳爲朝議大夫試衛尉卿 (冊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80) 三國史記 등에는 6월로 되어 있다.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사신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4년(甲申/신라 경명왕 8, 경애왕 1/발해 애왕 24/후백제 견훤 25/고려 태조 7 天授 7/後唐 同光 2/日本 延長 2)
- 신라가 보낸 사신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3) 【원문】 (同光)二年四月戊寅 新羅朝貢使授朝散大夫守倉部侍郞賜紫金魚袋金岳爲朝議大夫試衛尉卿 (『冊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641) 『三國史記』 등에는 6월로 되어 있다.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사신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23년(癸未/신라 경명왕 7/발해 애왕 23/후백제 견훤 24/고려 태조 6 天授 6/後梁 龍德 3, 後唐 同光 1/日本 延喜 23, 延長 1)
- 신라가 후당에 김악(金岳)을 보내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夫試衛尉卿 (三國史記 12 新羅本紀 12 景明王 8年) 冊府元龜 褒異에는 4월10일(戊寅)로 되어 있다. 【원문】 (同光)二年六月 又遣使朝散大夫倉部侍郞賜紫金岳來朝貢 授金岳朝議大夫 試衛尉卿 (五代會要 30 新羅) 【원문】 (同光二年)六月 新羅遣使...대표표제어신라가 후당에 김악(金岳)을 보내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4년(甲申/신라 경명왕 8, 경애왕 1/발해 애왕 24/후백제 견훤 25/고려 태조 7 天授 7/後唐 同光 2/日本 延長 2)
주제어사전(16)
-
낭사 / 郎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에 소속된 정3품 이하의 관원에 대한 총칭. 중서문하성의 명칭 변경에 따라 성종 때에는 내사문하성낭사, 문종 때에는 중서문하성낭사, 1369년(공민왕 18) 이후에는 문하부낭사로 불렀다. 낭사는 내사문하성이 발족된 982년(성종 1)에 처음 설치되
-
경주 삼랑사지 당간지주 / 慶州三郎寺址幢竿支柱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깃대기둥.당간지주. 보물. 보물 제127호. 높이 3.66m. 현재 당간을 놓았던 기대(基臺)라든가 두 지주(支柱)의 기단석 등의 부재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으며, 지주 아래쪽 일부분이 노출되어 다듬지 않은 자연석면이 그대로
-
기거랑 / 起居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낭사의 종5품 관직. ≪고려사≫ 백관지에 문하부(중서문하성)는 백규(百揆)의 서무를 관장하고 그 낭사는 간쟁과 봉박을 관장하였다고 보이듯이, 중서문하성은 크게 2품 이상의 성재(省宰)와 3품 이하의 낭사로 구분된다.
-
대간 / 臺諫 [정치·법제/법제·행정]
감찰의 임무를 맡은 대관과 국왕에 대한 간쟁의 임무를 맡은 간관의 합칭. 고려시대는 어사대·중서문하성의 낭사(郎舍)에, 조선시대는 사헌부·사간원에 소속되었다. 그들은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고, 군주·백관의 과실을 간쟁, 탄핵하며, 관리의 인사에 서경권(署經權)을
-
사간원 / 司諫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간쟁·논박을 관장하던 관서. 1392년(태조 1) 7월의 신반관제에서는 고려 말의 문하부낭사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러나 1401년(태종 1)에 문하부를 혁파하고 의정부를 설치할 때 문하부낭사는 독립되어 사간원이 되었다. 그 후 1401년에 독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