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낭림산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4)
사전(116)
- 낭림산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뻗어나가고 소백산에서 서쪽으로 묘향산맥(妙香山脈)이 뻗어나간다. 실제 낭림산(2,014m)은 이 묘향산맥 상에 있다. [형성 및 변천] 독일의 라우텐자흐(Lautensach)는 태백산맥과 낭림산맥을 한반도의 척량산맥으로 보고 이들이 원산호에 의해 하나로...
- 마대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함경남도 함주군 하기천면 과 장진군 장진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마대산의 높이는 1,745m로 함경남도와 평안북도의 도계를 이루는 낭림산맥의 동단부에 위치한다. 산의 서쪽으로는 1,900m 이...
- 영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영풍은 ‘큰 골짜기〔大谷〕’라는 뜻을 가지는데, 이는 이 지역의 지형이 임진강(臨津江) 상류의 계곡 분지를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낭림산맥 끝부분의 북쪽을 차지하는 북측 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이칭별칭증대이(甑大伊)
- 장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낭림산맥(狼林山脈)을 넘어 관서지방으로 넘어가는 기점이 되었다. 『고려사(高麗史)』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온화온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남도 영원군 온화면 온양리에 있는 온천. [내용] 영원온천(寧遠溫泉)ㆍ온양온천(溫陽溫泉)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평안남도 최북동단에 위치하고 묘향산맥과 낭림산맥 사이의 깊은 산골에 있으므로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다만 대...이칭별칭영원온천(寧遠溫泉)|온양온천(溫陽溫泉)
고서·고문서(2)
- 모란대에서 본 대동강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을 알 수 있다. 이 엽서는 일제강점기 평양 모란대에서 조망한 대동강의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대동강은 평안남도 낭림산맥의 서쪽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다가 황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길이는 438㎞이고, 우리나라에서 5번째로 긴 강이다. 평양, 대동강, 대동강 다리, 배...자료명모란대에서 본 대동강 | 발행처中村書店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대동강의 풍경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낭림산맥의 서쪽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다가 황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길이는 438㎞이고, 우리나라에서 5번째로 긴 강이다. 평양, 대동강, 배, 사람, 한복, 노, 전경 일본어, 영어 황진 신동규 신동규 THE VIEW OF THE RIVER TAID...자료명대동강의 풍경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6)
- 조선_1922_08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朝鮮水道水質之槪觀 朝鮮總督府技師 桶下田謙治郞 109 朝鮮部落調査の過程 小田內通敏 118 北朝鮮の橫斷植物景竝狼林山脈の森林植物...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2
- 조선_1922_08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北朝鮮の橫斷植物景竝狼林山脈森林植物帶(3) 朝鮮總督府技師 石戶谷勉 101 鳳蝶及黃鳳蝶の食草に就て 土居寬暢 109 地方長官會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2
- 함남로동신문_1949_052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철도선 시설공사는 착공 이래 성과 있게 진행되고 있다. 이 철도공사는 평원선 성내-인흥역의 중간인 산곡면 경둔지역에서부터 분기되어 랑림산맥의 준험한 산간협곡을 지나게 되므로 난관이 적지 않다. 그러나 로동자 기술자들의 기세는 드높다. 이 철도공사를 기한 단축하여...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525_03 | 책임주필강길모
- 조선급만주_1914_08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本間孝義 37 獨逸の膠洲灣占領始末 田原禎次郞 40 狼林山脈に於ける朝鮮高山植物 中井猛之進 46 50쪽 하단 기사있음. 파일분...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4
- 함남로동신문_1949_0109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7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지두영 한용봉, 박기운, 송병도, 김광섭 【장진】 랑림산맥과 개마고원에 위치하면서 방대한 자연림을 가지고 있는 장진군내에는 장진과 동문림산사업소 관하 17개소의 작업장과 1개소의 재재소가 있다...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109_04 | 책임주필강길모
주제어사전(51)
-
낭림산맥 / 狼林山脈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와 평안남북도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남북 방향의 산맥. 암석은 대체로 결정편암·화강편마암 및 화강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생대 이후 해침을 크게 받지 않은 안정된 지대로서 퇴적암의 분포는 협소하다. 식물은 한대침엽수림이며, 기후를 보면 연평균기온 5℃ 이하,
-
장진강 / 長津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의 낭림산맥에서 발원하여 북서부를 북쪽으로 흘러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강. 장진강의 길이는 261㎞이고, 유역 면적은 6,976㎢이다. 낭림산맥의 마대산(馬垈山, 1,745m)·마대령(馬垈嶺, 1,705m)·황초령(黃草嶺, 1,200m)에서 발원하여 낭림
-
관북지방 / 關北地方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아우르는 별칭. 문화적 특징으로 낭림산맥이 관북과 관서지방의 구분 경계선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함경도와 평안도의 방언 구분과 관북형·관서형의 가옥 구조 구분의 경계가 되고 있다. 따라서, 낭림산맥 동쪽의 관북 지방은 사회적·문화적 공동체를 형
-
온화온천 / 溫和溫泉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영원군 온화면 온양리에 있는 온천. 평안남도 최북동단에 위치하고 묘향산맥과 낭림산맥 사이의 깊은 산골에 있으므로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다만 대동강 상류의 지류인 온천천(溫泉川)을 따라 통한 영원과 함흥을 연락하는 국도가 통하여 유일한 교통로를 이루고 있다.
-
장주 / 長州 [지리/인문지리]
)이 되어 정평도호부에 예속되었다. 1442년(세종 4) 장곡사(長谷社)를 두었다. 이곳은 장계천(長溪川) 상류의 좁고도 긴 골짜기를 차지하였는데, 고려시대에는 국경 요지로 중요시되었고, 조선시대에는 낭림산맥(狼林山脈)을 넘어 관서지방으로 넘어가는 기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