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낭림산” 에 대한 검색결과 2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3)

사전(13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평안북도 희천군 신풍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성용면‧대흥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2,014m.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도계를 이루고 있는 묘향산맥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관북지방과 관서지방의 경계가 되는 맥에 근접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뻗어나가고 소백산에서 서쪽으로 묘향산맥(妙香山脈)이 뻗어나간다. 실제 (2,014m)은 이 묘향산맥 상에 있다. [형성 및 변천] 독일의 라우텐자흐(Lautensach)는 태백산맥과 맥을 한반도의 척량산맥으로 보고 이들이 원산호에 의해 하나로...
  • 마대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함경남도 함주군 하기천면 과 장진군 장진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마대산의 높이는 1,745m로 함경남도와 평안북도의 도계를 이루는 맥의 동단부에 위치한다. 산의 서쪽으로는 1,900m 이...
  • 영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영풍은 ‘큰 골짜기〔大谷〕’라는 뜻을 가지는데, 이는 이 지역의 지형이 임진강(臨津江) 상류의 계곡 분지를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맥 끝부분의 북쪽을 차지하는 북측 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이칭별칭증대이(甑大伊)
  • 웅어수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 희천군 신풍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소백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2,019m. 묘향산맥을 이루는 산으로 동북쪽에 대남백산(大南白山), 서남쪽에 (, 2,014m) 등이 솟아 있다.

고서·고문서(15)

  • 33755 B033755 남산 南山 산악 大東地誌 권11 평안도 寧遠 山水 快山北六十里東五里卽古邑一云樂林山卽漢玄菟郡之蓋馬大山是西蓋馬縣地也北接江界長津東接咸興西接熙川延袤五百餘里幽深重阻道路不通人烟斷絶與長白相甲乙池莫只山北一百二十里廣城山一云本香山北一百十五里山中有石窟窟內有...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7510 B027510 광포 廣浦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定平 山水 臭白山北四里道成山西十里自萬年峯逶迤橫亘數三十里至于金江之東○毗沙門寺劍山西一百餘里自寧遠逶迤南走橫亘百餘里上劍山有遮日峯加莫洞中劍山有馬踰嶺下劍山有香爐峯千峯列戟萬壑爭流人跡罕到道安山東南六十里上有日迎...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7511 B027511 광포 廣浦 군사교통 大東地誌권10 함경도 定平 山水 西十里自萬年峯逶迤橫亘數三十里至于金江之東○毗沙門寺劍山西一百餘里自寧遠逶迤南走橫亘百餘里上劍山有遮日峯加莫洞中劍山有馬踰嶺下劍山有香爐峯千峯列戟萬壑爭流人跡罕到道安山東南六十里上有日迎臺崒然俯海○道安寺白...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寧遠東南流會黃草嶺水經中嶺堡右過劍山之水爲黑林川至獨山之陽爲岐川元川自東北來會由哈蘭洞至府西播爲二江一東南流經萬歲橋至本宮左過湖連川至擊毬膏南流爲微塵浦石潭入于海一西南流大野中會中川爲廣浦都連浦至石潭合入于海元川源出太白山西支樺皮 ...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接定平右三山峯巒皆若劍鋩小白山 小龍山俱南支箕隱洞 內外樂林洞俱樂倉坊嶺路馬踰嶺在下劍山之次東一百四十里通定平小路加音嶺北十里橫川嶺東北一百二十里永興孟山界桑木嶺西八十里牲川嶺北路黃處嶺北路廣城嶺北一百三十里江界熙川界(閑台嶺山倉嶺毛豆巨里嶺) 豆峴西三十里德川界門峴東五里豆老介一云逗留嶺南二...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7)

주제어사전(56)

  • /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희천군 신풍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성용면·대흥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14m.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도계를 이루고 있는 묘향산맥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관북지방과 관서지방의 경계가 되는 맥에 근접하여 있다. 북동쪽에는 웅어수산(雄魚水山, 2,099m

  • 맥 /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와 평안남북도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남북 방향의 산맥. 암석은 대체로 결정편암·화강편마암 및 화강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생대 이후 해침을 크게 받지 않은 안정된 지대로서 퇴적암의 분포는 협소하다. 식물은 한대침엽수림이며, 기후를 보면 연평균기온 5℃ 이하,

  • 용림군 / 龍林郡 [지리/인문지리]

    雲)·구룡(九龍)·남흥(南興)·광성(廣城)·남상(南上)·신흥(新興)·후지(厚地)·도양(都陽)·신창(新昌)·천산(天山)·용문(龍門)·두문(頭門) 등 12개 이로 되어 있다. 군소재지는 용림읍이다. 이 군은 맥 서쪽 비탈면에 놓인 중저산성 산지이다. 북쪽에는

  • 웅어수산 / 雄魚水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 희천군 신풍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소백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19m. 묘향산맥을 이루는 산으로 동북쪽에 대남백산(大南白山), 서남쪽에 (, 2,014m) 등이 솟아 있다. 산릉은 동북∼서남방향으로 달리고 산세는 몹시 험준하다

  • 장진강 / 長津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의 맥에서 발원하여 북서부를 북쪽으로 흘러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강. 장진강의 길이는 261㎞이고, 유역 면적은 6,976㎢이다. 맥의 마대산(馬垈山, 1,745m)·마대령(馬垈嶺, 1,705m)·황초령(黃草嶺, 1,200m)에서 발원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