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낭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72)
사전(415)
- 낭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서경(西京)의 행정을 총괄하는 사무를 맡았던 것으로 믿어지는 관청. [내용] 조설(曹設)이라고 하였다. 태조 이후 갖추어지기 시작한 분사제도(分司制度)의 일환으로, 922년(태조 5)에 아관(衙官)ㆍ병부령(兵部令)ㆍ납화부(納貨府)...이칭별칭조설
- 낭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두었는데, 이들을 합칭하여 낭관 또는 조랑(曹郎)이라 하였다. 그 수는 병조ㆍ형조에 정랑ㆍ좌랑 각 4인, 그밖에는 모두 각 3인씩 두었다. 또 이조와 병조를 전조(銓曹)라 함에 따라 이조ㆍ병조의 낭관을 전랑(銓郎)이라 하였다. 특히, 이조ㆍ병조의 문ㆍ무선...이칭별칭조랑(曹郎)
- 낭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정5품 통덕랑(通德郎) 이하의 당하관(堂下官)을 통칭하는 말. →당하관 經國大典 譯註經國大典-註釋篇-(한우근 外,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6)
- 낭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이부 낭관이다. 장오복이 등을 어루만지며 자식을 낳으려면 자신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하자 성을 내며, 오복을 파면시키려고 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낭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육조(六曹)에 설치한 각 사(司)의 실무책임을 맡은 정랑(正郎)과 좌랑(佐郎)의 통칭.정의조선시대 육조(六曹)에 설치한 각 사(司)의 실무책임을 맡은 정랑(正郎)과 좌랑(佐郎)의 통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anggwan | MR표기nang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354)
- 1719년 입직낭관(入直郎官) 생기(省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생기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생기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 六曹郞官論(沈通源)疏【丁卯】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 疏箚 一 11 六曹郞官論(沈通源)疏【丁卯】 03_078_036.jpg 六曹郞官論(沈通源)疏【丁卯 卯: 중규1에는 뒤에 “冬”이 더 있음.】 伏以通源之罪惡已極, 情狀已著, 國人一口皆曰“可竄”。 耳目論思之臣, 瀝血陳辭, 愈久愈激, 天聽邈然...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수심집_水心集22 故大宗丞兼權度支郞官高公墓誌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4466 중국 문집 수심집 001 기타 水心集22 故大宗丞兼權度支郞官高公墓誌銘 予妻諸父髙公諱子潤字畢老主烏程縣簿眞州判官孝宗知其名召使赴行在公繇遠地下幕一日天子有命晝接喜過望亟裝欲往而母楊夫人忽病謁醫久未損旣而公亦病醫無術謾云久且不治矣公驚嘆曰明主思見我而不幸...국가중국 | 서명수심집 | 왕대기타
- 漢館陶公主謝爲子求郞之日,諭以郞官上應列宿,出宰百里,苟非其人,民受其殃,賜錢十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980 漢館陶公主謝爲子求郞之日,諭以郞官上應列宿,出宰百里,苟非其人,民受其殃,賜錢十萬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광진(廣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136 B027136 광진 廣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景宗 1年 10月 7日_033 ○李喬岳, 以兵曹言啓曰, 領中樞府事李頤命, 方在廣津, 此雖楊州地, 而便同京江, 故本職下批後, 使本曹郞官持傳祿牌, 則以爲郞官之來傳鄕村, 有違規例, 不得領受云。 在外大臣祿牌, 待入京持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郎官의 屬官化를 통해 본 漢代 官僚제도의 발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민후기, 게재일 : 200822981 민후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실학회 2008 郎官의 屬官化를 통해 본 漢代 官僚제도의 발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2)
- 郎官請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번 황뎐하 가례간의 쳐단 봉입일에 야 부대신 리지용씨와 한셩부윤 박의병씨의 견된말은 임의 긔얏거니와 그건으로 한셩오셔에 봉단낭관으로 파견얏던 한셩부쥬 오인을 별반론경다더라게재일1906년 4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지실업_1906_02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和洋雜貨商 福榮商會 20 去年今年 21 似非俳人の初夢 太郞冠者 2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06
주제어사전(22)
-
낭관 / 郎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에 설치한 각 사의 실무책임을 맡은 정랑과 좌랑의 통칭. 육조에는 각각 3, 4개의 속사를 설치하고 그 실무를 책임맡은 정5품직 정랑과 그를 보좌하는 정6품직 좌랑을 두었는데, 이들을 합칭하여 낭관 또는 조랑(曹郎)이라 하였다. 그 수는 병조·형조에 정
-
박일원 / 朴一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사천이다. 음서로 관직에 나아가 아산현감·낭관을 역임하였으며 《추관지》· 《탁지지》를 편찬하였다.
-
낭청 / 郎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비변사·선혜청·준천사·오군영 등의 실무담당 종6품 관직. 관서에 따라 정규직으로 직제화되기도 하고 겸직으로 충원되기도 하였다. 본래 낭관(郎官)과 같은 뜻으로 각 관서의 당하관을 지칭했으나, 1555년(명종 10) 비변사가 상설기구로 되어 12인의 낭청을
-
내천부 / 內泉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경에 두었던 관서. 922년(태조 5)에 낭관(郎官)·아관(衙官)·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 등과 함께 설치되었다. 내천부의 관원으로는 구단(具壇) 1인, 경(卿) 2인, 대사(大舍) 2인, 사(史) 2인을 두었다. 923년 진각성에 병
-
각루원 / 刻漏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물시계의 관측을 맡아보던 관청. 931년(태조 5) 서경에 낭관과 아관을 두고 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내천부(內泉府) 등과 함께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