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납향” 에 대한 검색결과 2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1)

사전(13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로 하였다. 국가 사전(祀典)에서 제는 사직와 종묘, 영희전, 경모궁에서 거행하였다. 종묘에서 은 사시제(四時祭)와 함께 대향(大享)으로 간주되었다. 상기(喪期) 동안에 혼전(魂殿)에서도 을 거행하였다. 납제(臘祭), 제(祭), 대제(大祭)라고...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대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동지 후 셋째 미일(未日)인 납일(臘日)에 한 해 동안 일어난 모든 일이나 농사(農事) 결과를 하늘에 보고하고 감사하는 제사. 납일은 ()을 지내는 날로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에서 대제(大祭)를 지냈다. 이때 고기로는 멧돼지와 산토끼를 주로 사용했으며 경기...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내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향 내향 외향(外鄕), 처향(妻鄕) 사회친족 개념용어 김현영 [정의] 고려·조선시대에 부친의 출신 고을을 가리킬 때 사용하던 용어. [개설] 어떤 사람의 출신지를 가리는...
    관련어외향(外鄕), 처향(妻鄕)
  • 가노 고자에몬(加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5 인물 가노 고자에몬(加左衛門) 가노 고자에몬 加左衛門 ? ?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가좌위문(加左衛門). 『변례집요(邊例集要)』와 『순조실록(純祖實錄)』에는 등격(藤格)으로 되어 있다. 1805...
    유형분류인물
  • 사신급외관영내향의(使臣及外官迎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신급외관영내향의 사신급외관영내향의 使臣及外官迎儀 향(香) 왕실왕실의례/가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강문식 [정의] 지방에 나가 있는 사신이나 수령(守令)·진장(鎭將...
    관련어향(香)

고서·고문서(120)

  • 1790년 김낙일(金洛一) 차첩(差帖) 6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790년 12월에 이조에서 김낙일을 사직 대제에 재랑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재랑은 제향 때 향로를 반들어 가는 제관이다. 이 문서에는 재랑의 임명과 함께 제향 전에 지켜야 할 사항도 함께 적고 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해남 김해김씨 노송사
  • 16394 B01639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12月 12日_021 ○以江華府留守長寧殿祭獻官, 以預差陞實待罪狀啓, 傳于李宜老曰, 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480 B016480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12月 12日_021 ○以江華府留守長寧殿祭獻官, 以預差陞實待罪狀啓, 傳于李宜老曰, 勿待罪事, 回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542 B039542 달산 達山 산악 高麗史 권58 志12 地理3 西海道 儒州 儒州 本高勾麗闕口高麗初改今名 顯宗九年來屬睿宗元年置監務高宗四十六年以衛社功臣成均大司成柳璥陞爲文化縣令官別號始寧[成廟所定] 有九月山[世傳阿斯達山]莊莊坪[世傳檀君所都卽唐莊京之訛]三聖祠[有檀因...
    출처전거高麗史 권58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791 B039791 당금귤 唐金橘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肅宗 13年 12月 14日_011 ○李思永, 以禮曹言啓曰, 濟州牧使所封去十月令宗廟·永昭殿薦新唐金橘·柑子等, 今始上來, 唐金橘則明日大祭兼薦, 而柑子則昨因司饔院啓辭, 以進上所封, 旣已薦新, 令該院捧入, 何如?...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

  • 臘獵廢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년년죵에 강원도등디에 산양 던일이 민폐가 심지라 금이후로 산양은 폐지고 산 도야지 집도야지로 용고 곰은 소로용고 사슴은 양으로 용고 토와 노루 셔울셔 사쓰게얏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검찰요보_1944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표지 및 목차 調査-刑事上告事件の趨勢について, 昭和十八年中に於ける學生生徒の特殊治安 維持法違反事件 1 資料-滿支より鮮資金流入狀況と特異の...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 188.7-タ49 無 表紙裏面朱書: 昭和五年八月三日李聖儀ヨリ購求 鄭君の日藏本らし鄭君に購呈スル事 合綴: 看堂論 - 版心題ㆍ卷尾題: 作法龜鑑 下 6張(半郭 24.3x19.0, 有界, 半葉 11行22字, 2葉花紋魚尾) 海外典籍文化財調査目錄 : 日本 天理大學...
    대표표제어선문수경(禪文手鏡) 11 | 대표서명禪文手鏡 | 한글서명선문수경 | 서지형태형태서지
  •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2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 半郭, 19.0x13.7, 無界, 9行17字, 黑魚尾, 29.1x18.0, 印: 修然室, 聾山 고서해제7(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p.49.
    대표표제어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20 | 대표서명看話決疑論 | 한글서명간화결의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大學」 H7, p.634.; X63, p.737. 天理大學今西龍文庫 188.7-タ37 無 合綴: 法華靈驗傅 卷上下 了圓(高麗)錄, 四周單邊, 半郭, 18.2x13.8, 無界, 半葉 11行10字, 註雙行, 黑魚尾, 楮紙(세로발끈폭 1.3) 海外...
    대표표제어선가귀감(禪家龜鑑) 62 | 대표서명禪家龜鑑 | 한글서명선가귀감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2)

  • 수나라 양제가 고구려를 친히 정벌하면서 내린 조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迴首面內 󰡔북사󰡕에는 回面으로 나온다. 各懷性命之圖 黃髮稚齒 咸興酷毒之歎 省俗觀風 爰屆幽朔 弔人問罪 無俟再駕 於是 󰡔북사󰡕에는 於是가 결락되어 있다. 親總六師 用申九伐 拯厥阽危 協從天意 殄茲逋穢 克嗣先謨 今宜授律啓行 分麾屆路 掩勃澥而雷震 歷 󰡔북사󰡕에는...
    대표표제어수나라 양제가 고구려를 친히 정벌하면서 내린 조서 | 주제분류외교문서
  • 정월 수양제가 고구려 정벌 조서를 내려 수의 사신을 고구려가 막았음을 밝히고 있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且法令苛酷 賦斂煩重 強臣豪族 咸執國均 朋黨比周 以之成 俗 賄貨如市 寃枉莫申 重以仍歲災凶 比屋飢饉 兵戈不息 徭役無期 力竭轉 輸 身填溝壑 百姓愁苦 爰誰適從 境內哀惶 不勝其弊 回面 各懷性命之 圖 黃髮稚齒 咸興酷毒之歎 省俗觀風 爰屆幽朔 弔人問罪 無俟再駕 親總六師 用申九伐...
    대표표제어정월 수양제가 고구려 정벌 조서를 내려 수의 사신을 고구려가 막았음을 밝히고 있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12년(壬申/신라 진평왕 34 建福 29/고구려 영양왕 23/백제 무왕 13/隋 大業 8/倭 推古 20)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

    제는 사직와 종묘, 영희전, 경모궁에서 거행하였다. 종묘에서 은 사시제와 함께 대향으로 간주되었다.

  • 친예종묘대제성생기의 / 親詣宗廟大祭省牲器儀 [정치·법제]

    길례의 하나로 국왕이 종묘에서 대제에 참여할 때 제사에 쓰는 희생과 제기를 살피는 의식절차를 기록한 문서. 1751년(영조 27)에 간행된《국조속오례의보》에 종묘 친향 때 생기를 살피는 의식이 실려 있다. 이 문서는 1751년 이후에 작성되었다.

  • 국조상례보편 / 國朝喪禮補編 [종교·철학/유학]

    에게 시책문을 올리는 의식, 권2는 계빈으로부터 담제 전까지와 사시 및 에 관한 의식, 권3은 명절 때의 종묘제례, 권4는 초상 때부터 시책까지의 예식 절차와 상계, 권5는 계빈 때 받는 수교한 내용과 이 책의 편집 시말, 권6은 의소세손의 상 때 수교한 내용을 기

  • 문의 / 文義 [지리/인문지리]

    박희실(朴希實)의 내향()이라 하여 문의현으로 승격시키고 현령을 두었다. 충렬왕 때 가림(嘉林)에 병합하였다가 곧 복구하였다. 임진왜란 때 청주에 속하였다가 1597년(선조 30) 현으로 복구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으로 승격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