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납폐” 에 대한 검색결과 3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2)

사전(6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에 함을 내려놓고 함부 일행을 후하게 대접하기도 한다. 대개 는 전안(奠雁) 전날에 행하는 경우가 많으나 날의 길흉과 시세에 따라서 며칠 전에 하는 수도 있고 전안 당일에 하는 수도 있다. 『한국의 민속』(김성배, 집문당, 1980) ...
    이칭별칭납징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의례
    정의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의례 | 문광부표기nappye | MR표기napp’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혼인 절차의 하나. 혼인을 정한 후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의식. 賢抱之期已過 想嘉悅倍萬矣, 권응진(權應震), 23-23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녀하가의(王女下嫁儀), 왕자혼례(王子昏禮), 육례(六禮) 부인(夫人), 주인(主人), 폐백(幣帛) 왕실왕실의례/가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박현숙 길례도감(吉禮都監) ...
    상위어왕녀하가의(王女下嫁儀), 왕자혼례(王子昏禮), 육례(六禮) | 관련어부인(夫人), 주인(主人), 폐백(幣帛)
  • TD_J2_D_0025 白馬 혼례 世子, 八十匹 忠宣王, 帝, 晉王之女, 實憐公主 本史 D_14_02_83 대동운부군옥 14권 2장 8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2장 8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41)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四也. 《雜記》云: “一束, 束五兩, 兩五尋.” 《註》: “八尺曰尋, 一兩五尋, 則每卷二丈, 合之則四十尺, 今謂之匹也.” 按, 《旣夕禮》“襲贈制幣玄纁束”, 《註》云: “丈八尺曰制, 十制五合.” 《疏》云: “丈八尺曰制者, 朝貢禮及巡狩禮, 皆有此文. 以丈八尺爲制. 昏禮...
    서명가례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조정(趙靖) 문(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조정(趙靖) 문(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신미년 박대유(朴大有) 서(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합천 용연서원
  • 계미년 박성유(朴星有) 서(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합천 용연서원

신문·잡지(2)

  • 全國民俗不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좌우에셔 신부가 고 신랑은거슬 례졀이라거니와 셔북도의혼인지모양을본즉처음즁가 통혼야 허락밧은후에 신랑집에셔 신부집으로 혼인지쟈 쳥원셔를보면 신부집에셔 그리쟈 허혼셔를 보낸후에 급기혼인날 혼셔지란거슨 혹잇스되 함이라던지 치마량단 란말은...
    게재일1906년 8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악습을곳칠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잇셔셔 기젼에 각필육과 물등쇽을 먼져 신부집으로 보즉 신부집에셔 그션를 밧아보고 마에 흡죡면 밧고 부죡면 도로퇴나니 진소위 혼인에 물을 의론거슨 오랑캐 풍속이란말을 면치못이로다 당쟝에 필육필 물낫만 만흐면 그이 시집에가셔 일평을 잘입고...
    게재일1903년 5월 13일 | 기사분류기타

주제어사전(8)

  • / [생활/의생활]

    혼인 절차의 하나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의례. 중국 주대 혼례의 육례 중에 납징에 해당한다. 혼인식 전날밤 또는 며칠 전날 밤에 신랑집에서 혼서지, 채단, 폐물 등을 넣은 혼수함을 함진아비를 시켜 신부집으로 가져간다. 혼수함에서 백지를 깔고 혼서지, 홍

  • 혼서 / 婚書 [생활]

    서간통고류(書簡通告類). 1904년(광무 8)작성. 발급자는 안변원(安變遠), 수급자는 미상이다. 크기는 49.8 × 56.8cm이다. 내용은 9월 16일에 안변원(安變遠)이 재종손인 안붕수(安朋洙)의 훈례에 ()의 의식을 행한다는 것이다.

  • 납길 / 納吉 [사회/가족]

    주대(周代) 여섯 가지 혼례의식[六禮] 중의 하나. 육례란 납채(納采)·문명(問名)·납길·납징(納徵)·청기(請期)·친영(親迎)을 말하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주자의 『가례』에 따라서 의혼(議婚)·납채·()·친영의 사례(四禮)를 통용하여 왔다. 납길은 가묘에서 점

  • 사위 / [사회/가족]

    , ④ (), ⑤ 청기(請期), ⑥ 친영(親迎)의 순이다. 아들·딸을 가진 집이면 으레 사위·며느리를 보게 된다. 아들은 딸 가진 집의 사위가 되어도 그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자기집에 와서 살게 된다.

  • 가례 / 家禮 [종교·철학/유학]

    )에 관한 것, 권2는 관례(冠禮)로 관(冠)·계(筓)에 관한 것, 권3은 혼례(婚禮)로 의혼(議昏)·납채(納采)·()·친영(親迎)·현구고(見舅姑)·현처부모(見妻父母)에 관한 것, 권4는 상례(喪禮)로 초종(初終)·습(襲)·영좌(靈座)·소렴(小斂)·성복(成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