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납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4)
사전(72)
- 납징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혼에서 왕비 또는 왕세자빈으로 간택된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어 혼사가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 납징은 의례儀禮에 나오는 혼례의 육례(六禮)[납채(納采), 문명(問名), 납길(納吉), 납징(納徵), 청기(請期), 친영(親迎)] 중 하나인데 주자가례朱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납징(納徵)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납징 납징 納徵 납비의(納妃儀), 왕세자납빈의(王世子納嬪儀) 납폐(納幣) 왕실왕실의례/가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박현숙 가례도감(嘉禮都監) [정의] 왕이 왕비를 맞이하는상위어납비의(納妃儀), 왕세자납빈의(王世子納嬪儀) | 동의어납폐(納幣)
- 납징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혼에서 왕비 또는 왕세자빈으로 간택된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어 혼사가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 납징과 같은 말이다. 납징은 의례儀禮에 나오는 혼례의 육례(六禮)[납채(納采), 문명(問名), 납길(納吉),납징(納徵), 청기(請期), 친영(親迎)] 중 하...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납징예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납징 때 사용하는 예물. 납징 때 예물은 검은색과 홍색의 폐백을 예물로 사용하였는데 왕비의 경우 현색모단(玄色冒緞) 6필과 훈색광적 4필을 사용하였다. 嬪父母前輸送禮物納徵禮物各日感架子, (가례1819/142ㄱ02~03)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납징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혼에서 납징 예물을 사신에 전하는 의식. 납징은 왕비 또는 왕세자빈으로 간택된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어 혼사가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으로 예물을 사신에 전하는 「납징의納徵儀」와 사신이 가져온 예물을 신부가에서 받는 비씨제수납징의(妃氏第受納徵儀)로 이루어졌...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단행본(1)
- (조선왕실의 행사 2) 왕실의 혼례식 풍경 [왕실의 행사 | 단국대학교]저자 : 신병주(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박례경(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송지...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1.14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장엄함과 위엄 (2) 세 번의 간택 절차와 처녀들의 복식 (3) 납채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4) 납징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5) 고기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
고서·고문서(38)
- 李太王實錄資料 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納徵儀注 1부와 왕비씨 댁에서 납징을 받는 의주 1부를 들인다는 내용을 『日省錄』(36)에서 채록하였다. 이왕무 2015. 01. 12 實錄編修用紙 사용, 본문 중에 4줄 위에 붉은 선이 그어져 있다.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明倫 昏姻之禮, 必先使媒氏往來傳通, 然後始有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LL_2:3:1 昏姻之禮, 必先使媒氏往來傳通, 然後始有六禮. 六禮者, 先納采、次問名、次納吉、次納徵、次請期、次親迎. 旣納采擇之禮, 又問名而加諸卜, 則雖有行媒, 名不可遽相知也. 旣納幣, 又請期親迎, 而禮畢, 則雖受幣, 不可遽相交親也. 意者, 言“行媒”, 則凡媒价往來...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殤女服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是也. 今皆不行, 而其嫁也必於是日納幣, 則未成昏之前, 未有許嫁之例也. 案, 《喪服》: “女子子爲祖父母.” 《疏》云: “雖十五許嫁, 始行納采、問名、納吉、納徵四禮, 卽著笄爲成人, 得降旁親. 要至二十, 乃行請期親迎之禮.” 納徵者, 今之納幣也. 旣受其幣, 則當以成人之禮處之....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李太王實錄資料 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납징 전에 本房에 들여놓을 예물을 별단으로 써서 들이며, 도감 낭청이 들여놓게 하겠다는 내용을 『日省錄』(36)에서 채록하였다. 이왕무 2015. 01. 12 實錄編修用紙 사용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1002282014100228_003 李太王實錄資料 1 자료 제59호 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23 0016 89 문서 궁내성 1866년 3월 11일(음력) 인정전에서 거행한 納徵禮...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3)
- 嘉禮節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번황 가례시 륙례일시와 습의날과진하에 죵친 문무관이 례일로 쟝례원에셔 상쥬하얏데 일은 음력십일월이십일손시(진간)에 랍고 문명은 동월이십칠일손시오 랍길은 동월이십팔일손시오 납징은 십이월쵸십일 뎡시오 고긔 동월십일일 병시오 비봉영는날에 죵...게재일1907년 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_1930_18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21 國勢調査談 大內澄 136 東海の勝地玉溪 140 卷頭の昔賢筆蹟 (4) 學鷗漁父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 조선지방행정_1930_09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朝鮮現下の失業問題 (2) 朝倉昇 29 國勢調査に就て 大内澄 36 道路維持修善と夫役とに就て 佐藤顯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주제어사전(14)
-
납징 / 納徵 [정치·법제]
국혼에서 왕비 또는 왕세자빈으로 간택된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어 혼사가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 납징은 <의례> 에 나오는 혼례의 육례(납채, 문명, 납길, 납징, 청기, 친영) 중 하나인데 <주자가례>에서는 납채라 하였다. 국혼에서는 <의례>를 따라 납
-
육례 / 六禮 [정치·법제]
왕실 혼례의 주요 절차인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동뢰연의 여섯 가지 의식. 왕실 혼례는 육례로 구성되어 있다. 납채는 국왕이 혼인을 청하는 것, 납징은 성혼의 징표로 예물을 보내는 것, 고기는 혼인의 날짜를 정하는 것이다. 책비는 왕비로 책봉하는 의식,
-
납길 / 納吉 [사회/가족]
주대(周代) 여섯 가지 혼례의식[六禮] 중의 하나. 육례란 납채(納采)·문명(問名)·납길·납징(納徵)·청기(請期)·친영(親迎)을 말하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주자의 『가례』에 따라서 의혼(議婚)·납채·납폐(納幣)·친영의 사례(四禮)를 통용하여 왔다. 납길은 가묘에서 점
-
교서 / 敎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국왕이 내리는 일반적인 명령을 성문화한 문서. 교서에는 즉위교서·문묘종사교서·반사교서·권농교서 등이 있고 사명훈유·봉작·책봉·가례·납징·포장·유교 등의 경우에도 교서가 내려졌다. 이처럼 교서는 왕이 통치자로서 발하는 일반적인 명령을 성문화한 것이다.
-
왕후간택초기 / 王后揀擇抄記 [정치·법제]
인조의 계비인 장렬왕후부터 순종의 비 순명비까지의 출생일과 금혼, 초간택, 재간택, 삼간택, 납채, 납징 등 혼례 과정과 날짜를 기록한 문서. 각각 친영의 아래에 대리월, 방매씨 등 여성의 생년을 기준으로 혼인하기 좋은 달을 가취월에 첨지를 부착하여 기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