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납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2)
사전(121)
- 납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동지로부터 세 번째의 미일(未日). [내용] 중국에서는 세 번째 술일(戌日) 또는 진일(辰日) 등으로 시대마다 달랐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 때에는 12월 인일(寅日)이었다. 그러나 고려 문종 때는 술일로 납일을 정했지만 대체로 대한...
- 臘日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B2_D_0084 臘日 세시의례 得辰爲臘, 太史局, 曆法, 戌日, 大寒, 有司 己卯年, 大寒 大宋, 我國 文宗 陰陽書, 麗本史 D_20_05_21 대동운부군옥 20권 5장 2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5장 2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납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동지로부터 세 번째의 미일(未日).정의동지로부터 세 번째의 미일(未日).[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abil | MR표기Nabi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납일(臘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납일 납일 臘日 관상감(觀象監), 납평(臘平), 목묘일(木墓日), 미일(未日), 복일(伏日), 술일(戌日), 합제(合祭) 문화과학/천문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안정윤 [정의] 동지(冬至)...관련어관상감(觀象監), 납평(臘平), 목묘일(木墓日), 미일(未日), 복일(伏日), 술일(戌日), 합제(合祭)
- 참새잡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납일(臘日:동지 뒤의 셋째 戌日) 전후에 참새를 잡는 풍속. [개설] 납일에 새고기를 먹으면 좋다 하여 참새를 잡는 풍속이 있다. 이때의 참새고기는 맛이 있어서 참새가 소 등에 올라가서 ‘네 고기 열 점과 내 고기 한 점을 바꾸지 않는다...
논문(1)
- 삼한의 납일제사와 부뚜막 신앙 [한국 상고시대의 신앙과 제사 | 고려대학교]저자 : 박대재 | 게재정보 : 한국사학보 37권, 게재일 : 2009.11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고서·고문서(773)
- 美(미)선박 亞洲(아주)서의 被拉日誌(피랍일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美(미)선박 亞洲(아주)서의 被拉日誌(피랍일지)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피...대표표제어美(미)선박 亞洲(아주)서의 被拉日誌(피랍일지)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피랍, 선박, 푸에블로, 납치
- 外務部(외무부),被拉一周(피랍일주)맞아聲明(성명) "KAL機(기) 送還(송환)하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外務部(외무부),被拉一周(피랍일주)맞아聲明(성명) "KAL機(기) 送還(송환)하라"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대표표제어外務部(외무부),被拉一周(피랍일주)맞아聲明(성명) "KAL機(기) 送還(송환)하라"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피랍, 송환, 납치, 북괴, 불법, 억류
- 分命和仲,宅西,【《史》云:“居西土。”】 曰昧谷。寅餞納日,平秩西成。宵中,星虛,以殷仲秋。厥民夷,鳥獸毛毨。【今文,宅爲度。朱子云:“宅ㆍ度古相通。” 案,度,測驗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00 尙書古訓 卷一 ITKC_MP_0597A_0500_010_0070 分命和仲,宅西,【《史》云:“居西土。”】 曰昧谷。寅餞納日,平秩西成。宵中,星虛,以殷仲秋。厥民夷,鳥獸毛毨。【今文,宅爲度。朱子云:“宅ㆍ度古相通。” 案,度,測驗也】 ...권차명尙書古訓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淑寧翁主房(1703)_전라도 고부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52095 20364_0167 奎20364 淑寧翁主房(1703) 전라도 고부군 東部面 전라도 고부군 東部面 27 27결 내일(內日) 내일(內日)자료번호20364_0167 [奎20364]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淑寧翁主房(1703)_전라도 고부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52096 20364_0168 奎20364 淑寧翁主房(1703) 전라도 고부군 東部面 전라도 고부군 東部面 97 97결 내일(內日) 내일(內日)자료번호20364_0168 [奎20364]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33)
- 闕內日兵撤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대신 박영효씨가 신병이잇셔 여러날 신음더니 국셰가 간우를 당야 편안히 됴리것이 불가다야 삼작일 오젼구시경에 예궐야 슈칙얏 기시 텬폐지쳑지디에 립일본 병뎡슌검을 교셥야 쳘거케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경상북도 상납건톄로 츙쥬관찰 죠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상북도 상납건톄로 츙쥬관찰 죠한국씨가 평리원에 취슈엿더니 죠관찰이 갓치기젼에 상납을 필납 엿다고 방송 엿고 젼 평산군슈 윤흥씨와 젼 금쳔군슈 임영호씨도 상납건톄로 취슈되엿더니 갑오 을미년분 란리에 상납일에 겨를치 못고 갈넛다 고로 방송엿더라게재일1900년 5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藉勢入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얏스나 그 상납일관은 알것업고 겸야 가 외국에 입젹사인즉 나 구류다은 공법이아니라고 일쟝힐란다가 필경 령방에 구류얏다 씨 이젼 아국공관 통변던쟈이라더라게재일1906년 1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문교조선_193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母から聞いた話-鄕土の民俗 秋葉隆 23 海東歌謠を讀む 多田正知 30 體育に對する觀念の變遷 竹內一 4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 문교조선_1933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57 新らしき體育の使命と基の適應性 竹內一 161 第 10回 國際オリンピツク大會視察記 梅澤慶三郞 17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기타자료(4)
- 횡내일남;橫內一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3504 남한 경성 경성공립농업학교 1-07 京農(제8호) 校友會會則會員名簿 1932―03―20 244면 ㅁ1. 교우회회원명부;ㅁ1) 통상회원;ㅁ(1) 농업과 제5학년 횡내일남;橫內一男 경성부...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재섭;曺在燮;강야재섭;岡野在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539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138면 조재섭;曺在燮;강야재섭;岡野在燮 전북 완주군 飛鳳面 內日里 73 제22회 (5년제, 125명) 194...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손기철;孫基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5013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95면 1. 卒業生;23) 23회(68명: 1932년 3월 졸업) 손기철;孫基喆 경남 密陽邑內一洞 134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28. Report on repatriated South Korean fishing boats(Myong Kyu Ho) : 기록자료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류선원, 피납일자, 피납장소, 피납경위 등 명규호 피남과 송환 관련에 대한 자세한 정보 포함. Repatriated, Fishing Boats, Myonggyu-ho, ROKN Information Report, South Korean, Fishing B...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HUN UK HYON, LCDR, ROK Navy, Head of Intelligence Branch Office of Naval Intelligence
연구과제(1)
-
서울시 귀속재산불하문서 DB화를 통한 활용도 제고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염복규 | 서울시립대학교 | 202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1)
-
납일 / 臘日 [정치·법제/법제·행정]
매 연말에 신에게 제사하는 날. 납(臘)은 접(接)과 같은 뜻으로 신·구년이 교접하는 즈음에 대제(大祭)를 올려 그 공에 보답하는 것이다. 납(臘)은 그 엽(獵)과 통하는 것으로 사냥에서 얻은 금수로 선조에게 제사함을 뜻한다.
-
납향 / 臘享 [정치·법제]
섣달 납일에 지내는 제향. 납일은 시대와 나라에 따라 차이가 있다. 고려 시대에는 대한 전후로 가까운 진일(辰日)을 납일로 하였다가 고려 중기에는 동지 후 세 번째 술일(戌日)로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동지 후 세 번째 미일(未日)을 납일로 하였다. 국가 사전에서
-
참새잡이 / [생활/민속]
납일(臘日:동지 뒤의 셋째 戌日) 전후에 참새를 잡는 풍속. 납일에 새고기를 먹으면 좋다 하여 참새를 잡는 풍속이 있다. 이때의 참새고기는 맛이 있어서 참새가 소 등에 올라가서 ‘네 고기 열 점과 내 고기 한 점을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전한다. 『동국세시기』에도
-
종묘제례 / 宗廟祭禮 [종교·철학/유학]
종묘의 제향의식. 조선시대의 종묘대제에는 정시제와 임시제가 있었다. 정시제는 사계절의 첫 달과 납일에 지냈다. 그후 납일제향은 폐지되고 1, 4, 7, 10월의 상순에 지내는 춘하추동 제향만 시행되었다. 임시제는 나라에 흉사나 길사가 있을때 올린 고유제과 햇과일과 햇
-
오향대제 / 五享大祭 [역사/조선시대사]
종묘에서 매년 사계절의 첫 달과 납일에 지내는 가장 큰 제사. 오향대제(五享大祭)는 종묘에서 매년 지내는 사시제와 납일의 제향을 말한다. 이는 종묘에서 가장 큰 제사이기 때문에, ‘대제(大祭)’라 칭하였다. 사시제의 날짜는 사계절 첫 달의 상순으로 길일을 점쳐서 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