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납길” 에 대한 검색결과 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주대(周代) 여섯 가지 혼례의식[六禮] 중의 하나. [내용] 육례란 납채(納采)‧문명(問名)‧‧납징(納徵)‧청기(請期)‧친영(親迎)을 말하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주자의 ≪가례≫에 따라서 의혼(議婚)‧납채‧납폐(納幣)‧친영의 사례(四...
  • 다케우치 기치베에(竹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213 인물 다케우치 기치베에(竹兵衛) 다케우치 기치베에 竹兵衛 ? ? 아즈치모모야마시대(安土桃山時代)의 무장. 죽내길병위(竹兵衛).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부하로 임진왜란에 참전했다. 「복부전우위문...
    유형분류인물
  • 납징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혼에서 왕비 또는 왕세자빈으로 간택된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어 혼사가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 납징과 같은 말이다. 납징은 의례儀禮에 나오는 혼례의 육례(六禮)[납채(納采), 문명(問名), (),납징(納徵), 청기(請期), 친영(親迎)] 중 하...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청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정혼을 한 뒤에 혼일을 가려서 보내는 절차. [내용] 혼인에는 납채(納采)‧문명(問名)‧()‧납징(納徵)‧청기(請期)‧친영(親迎)의 여섯 가지 절차가 있는데 이것을 육례라 한다. 청기는 납채‧문명‧‧납징의 절차를 거쳐 혼인이
  • 납징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혼에서 왕비 또는 왕세자빈으로 간택된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어 혼사가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 납징은 의례儀禮에 나오는 혼례의 육례(六禮)[납채(納采), 문명(問名), (), 납징(納徵), 청기(請期), 친영(親迎)] 중 하나인데 주자가례朱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36)

  • 汝則從,龜從,筮從,卿士逆,庶民逆,作,作外凶。【《史》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30 尙書古訓 卷四 ITKC_MP_0597A_0530_090_0270 汝則從,龜從,筮從,卿士逆,庶民逆,作,作外凶。【《史》同】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
    권차명尙書古訓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01년 안수록(安壽祿)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02년(순조2)11월 10일에 안수록이 동문 하백원에게 답한 서간이다. 아우의 병으로 40여 일간을 걱정 속에 살았고, 사우의 도움을 받지 못해 날로 타락한 듯 하다고 했다. 그리고 수신자의 아우가 이미 을 치렀다 하니 집안의 경사라고도 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明倫 昏姻之禮, 必先使媒氏往來傳通, 然後始有六()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LL_2:3:1 昏姻之禮, 必先使媒氏往來傳通, 然後始有六禮. 六禮者, 先納采、次問名、次、次納徵、次請期、次親迎. 旣納采擇之禮, 又問名而加諸卜, 則雖有行媒, 名不可遽相知也. 旣納幣, 又請期親迎, 而禮畢, 則雖受幣, 不可遽相交親也. 意者, 言“行媒”, 則凡媒价往來...
    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納采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nk?DCI=ITKC_MP_0597A_0240_030_0010_2014_005_XML 005 納采者,士昏六禮之第一禮也。其禮在問名ㆍㆍ請期之前。采者,采擇之意也。今以玄纁致書,名之曰納采,此古之納徵,【第五禮】 俗傳有誤也。甚則以采爲綵,以玄纁爲納綵,豈不野哉? 99쪽
    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人事門8_絶婚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絶婚 《禮》云: “逆家子, 勿娶.” 此以議娶時言, 非指旣娶而本家之亂逆也. 古人重矢盟, 大事必誓. 婚姻者, 二姓之合, “日月而告君, 齋戒而告鬼神, 爲酒食以告鄕黨僚友”, 信使往來, 納采、納徵、、問名、請期、親迎凡六禮, 而後成儀, 自有信盟, 未有若是重且大也. 此而可負,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신문·잡지(4)

  • 之介(武內製材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武之介(武內製材所) 신의주 武之介 武內製材所 綠町 1 - - 목재 - 141 제재,製函,電柱材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
    대표표제어武內吉之介(武內製材所)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목재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之介(武內製材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武之介(武內製材所) 신의주 武之介 武內製材所 綠町 1 - - 목재 - 141 제재,製函,電柱材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
    대표표제어武內吉之介(武內製材所)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목재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連日公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삼작일은 가례 문명공고오 작일은 공고인고로 의졍대신이하 일반관리가 즁화뎐에셔 례엿데 각부부원쳥에셔 연일 뎡무가되얏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嘉禮節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번황 가례시 륙례일시와 습의날과진하에 죵친 문무관이 례일로 쟝례원에셔 상쥬하얏데 일은 음력십일월이십일손시(진간)에 랍고 문명은 동월이십칠일손시오 은 동월이십팔일손시오 납징은 십이월쵸십일 뎡시오 고긔 동월십일일 병시오 비봉영는날에 죵...
    게재일1907년 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

  • / [사회/가족]

    주대(周代) 여섯 가지 혼례의식[六禮] 중의 하나. 육례란 납채(納采)·문명(問名)··납징(納徵)·청기(請期)·친영(親迎)을 말하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주자의 『가례』에 따라서 의혼(議婚)·납채·납폐(納幣)·친영의 사례(四禮)를 통용하여 왔다. 은 가묘에서 점

  • 사위 / [사회/가족]

    ≫에는 15세 이상의 남자와 12세 이상의 여자는 혼례를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중매인(중신애비·중신할미)에 의하여 혼담이 진행되고 양가의 합의가 이루어지면 육례(六禮)를 갖추어 혼례를 치르게 된다. 육례는 ① 납채(納采), ② 문명(問名), ③ ()

  • 납징 / 納徵 [정치·법제]

    국혼에서 왕비 또는 왕세자빈으로 간택된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어 혼사가 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하는 의식. 납징은 <의례> 에 나오는 혼례의 육례(납채, 문명, , 납징, 청기, 친영) 중 하나인데 <주자가례>에서는 납채라 하였다. 국혼에서는 <의례>를 따라 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