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2)
- 미조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에 있는 상록수림. [내용] 천연기념물 제29호. 면적 1,732㎡. 이 숲은 미조리 바닷가 언덕의 사면에 위치하며 마을 바로 앞에 있다. 처음에는 풍수설에 따라서 지형의 결점을 보완하기연계항목미조리의상록수림(彌助里의常綠樹林)
- 남해군(경상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미조리의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29호)을 비롯해 삼동면 물건리의 물건방조어부림(勿巾防潮魚付林, 천연기념물 제150호), 고현면 대곡리의 남해산닥나무자생지(천연기념물 제152호), 남해고현면의 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276호), 창선면 대벽리의 남해창선면의 왕후박나무(천연...
주제어사전(3)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南海 彌助里 常綠樹林 [과학/식물]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29호. 면적 1,732㎡. 이 숲은 미조리 바닷가 언덕의 사면에 위치하며 마을 바로 앞에 있다. 처음에는 풍수설에 따라서 지형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호하기 시작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방풍림과 어부림(
-
때죽나무 / Styrax japonicus Sieb. et Zucc. [과학/식물]
념물 제136호),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 제239호),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29호),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53호) 등 상록수림에도 자생한다.
-
무룬나무 / Euonymus japonica var. macrophylla Regel [과학/식물]
노박덩굴과 사철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 천연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는 광나무, 돈나무, 사스레피나무, 이대, 자금우, 조릿대, 팔손이 등 40여 종의 식물과 함께 무룬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사철나무는 잎의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