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해안별신굿”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7)
사전(12)
- 남해안별신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왼손에 신대(손대)와 방울(요령)을 들고 오른손에 부채를 든다. ⑨ 대굿(대잡이굿) : 남해안별신굿의 사제무(司祭巫)는 가계(家系)에 의한 세습무로서 빙신현상(憑神現象;신이 붙은 현상)이 없기 때문에 굿 과정의 대잡이굿에서 마을의 강신자(降神者)인 굿장모가 무녀 대...연계항목남해안별신굿(南海岸別神굿)
- 남해안별신굿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남해안 지역에서 벌이는 마을 풍어제의 하나.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남해안 지역에서 벌이는 마을 풍어제의 하나.[두산백과] | 문광부표기Namhaean Byeolsin Gut | MR표기Namhaean Pyŏlsin Kut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고주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0∼1990. 무녀(巫女). [개설]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풍어제 중 남해안별신굿(제82-라호)의 기예능보유자. 보유 종목은 무녀이다. 경상남도 거제 출생. 아버지는 고정운, 어머니는 이팔월이며 남편은 정봉호로 모두 세습무(世襲巫...
- 중광대놀이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무당굿놀이 자 중광대놀이 【정의 및 이칭】 중광대놀이는 경상남도 거제․통영을 기반으로 남해안별신굿의 산이(악사)가 연행하는 무당굿놀이 중 하나이다. 중광대와 소모(소무)가 등장하여 해미광대놀이를 마친 후 잡색놀음인 판놀음을 한 다음 중광대놀이를 한다. 【내용대분류무당굿놀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적덕이놀이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무당굿놀이 자 적덕이놀이 【정의 및 이칭】 적덕이놀이는 남해안별신굿에서 마지막 굿거리인 시석 전에 연행하는 무당굿놀이이다. 두 명의 산이(악사)가 인형인 ‘적덕이’를 가지고 노는 놀이여서 적덕이놀이라고 한다. 이 무당굿놀이는 적덕이, 적귀, 천하궁도시, 지하궁도시...대분류무당굿놀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구술자료(132)
-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지동궤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00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지동궤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2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지동궤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2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002.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지동궤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3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지동궤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3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003.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지동궤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4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지동궤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4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004.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지동궤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5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지동궤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사진005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남해안별신굿 지동궤_005.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지동궤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멀티미디어(53)
- 무형문화재 제82-호 동해안별신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무형문화재 제82-호 동해안별신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무형문화재 제82-호 동해안별신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무형문화재 제82-호 동해안별신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 무형문화재 제82-호 동해안별신굿 전승교육사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반혜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연구교수 -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정은주 - (사)국가무형문화재남해안별신굿보존회 사무국장/이수자 - 전북대학교 무형강좌제목음악과 몸짓으로 만나는 한국 무속 II | 강의자이용식 교수, 김미영 교수, 손정진 교수, 반혜성 교수, 정은주 교수, 한진오 교수
주제어사전(1)
-
남해안별신굿 / 南海岸別神─ [종교·철학/민간신앙]
남해안지역에 전승되는 마을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한산도·사량도·갈도 등의 남해안지역에서 행하여지는 마을굿이다. 어민들의 풍어(豐漁)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의로, 보통 3년에 한번씩 굿을 벌인다. 별신굿의 ‘별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