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한호” 에 대한 검색결과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5)

  • 유휘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학문과 후진양성에 바쳤으며 ()ㆍ조승수(趙承粹)ㆍ유식(柳栻)ㆍ이병운(李秉運)ㆍ이병원(李秉遠)ㆍ유건휴(柳健休)ㆍ유정문(柳鼎文)ㆍ유치명(柳致明) 등의 학자들과 교유하였다. 고산서당(高山書堂)을 비롯하여 여강(廬江)ㆍ구계(龜溪)ㆍ황산(黃山)ㆍ고운(孤雲) 등 여...
    이칭별칭 공회(公晦)| 호고와(好古窩)
  • 사물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한조ㆍ()ㆍ권경인(權景仁)ㆍ이정국(李楨國) 등과 태극ㆍ『대학』ㆍ『중용』 등 학문과 예에 관하여 논의한 내용이다. 도설은 성리학에서의 중요한 개념인 천(天)ㆍ인(人)ㆍ성(性)ㆍ정(情) 등에 대한 선유(先儒)들의 여러 설을 모아 그림을 그리고 해설을 붙인 것이...
  • 성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南漢?)의 시문집. 11권 5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다. 권1에 시 15수, 서(書) 30편, 권2∼7에 서(書) 145편, 권8에 잡저 16편, 권9에 서(序) 3편, 발(跋) 1편, 축문 1편, 제문 16편, 유사 3편, 권10‧1...
  • 백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권1의 서(書)에는 스승 이상정(李象靖)과 이광정(李光靖)에게 보낸 편지가 있지만, 일반적인 문안의 내용이다. 학문적인 토론은 동문인 유장원(柳長源)‧김종덕(金宗德)‧정종로(鄭宗魯)‧남한조(南漢朝)‧유범휴(柳範休)‧() 등과 주고받은 편지에 포함되어...
  • 석병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을 주장하면서 승려 육허(六墟)를 장수로 천거한 내용의 「가시소(駕時疏)」가 있다. 또한, 1649년(인조 27)에 왕의 학문으로 『춘추(春秋)』를 강조하고, 시폐(時弊)를 혁파하고 의리를 분명히 할 것을 주장하면서 김자점(金自點)의 죄를 성토한 「...

고서·고문서(26)

  • 성재선생문집(誠齋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798년 이우(李㙖)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98년 12월 12일, 이우가 공부법에 대해 조언을 해 주기 위해 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우는 지난날 가 말했던 학설들은 학문을 과도하게 연구한 점이 있다고 하였다며『맹자(孟子)』의 ‘見孺子入井’과 ‘人皆有不忍人’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학술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緩急之事, 則實爲寒心矣。 江都穀數, 使戶曹打算以報, 而厥處已捧之穀, 亦豈多於? 上曰, 兵政之中, 軍糧爲重, 自今雖或年事失稔, 江都·南漢, 則莫重軍餉。 以下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緩急之事, 則實爲寒心矣。 江都穀數, 使戶曹打算以報, 而厥處已捧之穀, 亦豈多於? 上曰, 兵政之中, 軍糧爲重, 自今雖或年事失稔, 江都·南漢, 則莫重軍餉。 以下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97년 이우(李㙖)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다음으로 에게 『중용』의 不睹와 不聞에 관하여 편지로 가르침을 준 일을 언급하였는데, 그가 睹와 聞의 해석에 있어 번잡한 폐단이 있었기 때문에 대략 가르침을 주었다고 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21년(순조 21).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남도훤, 조부는 남정구, 생부는 남필석이다. 남필관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손재 남한조에게 수학하였다. 1778년(정조 2) 퇴계학의 맥을 잇는 입재 정종로를 찾아가 공부하였다. 순암 안정복에게

  • 유식 / 柳栻 [종교·철학/유학]

    나, 출세에는 뜻이 없어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성재 ·호고와 유휘문 등과 교유하였다.

  • 황원선 / 黃源善 [종교·철학/유학]

    1798년(정조 22)∼1873년(고종 10).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황석로, 외조부는 정종로이다. 처조부는 남한조이다.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교유한 인물로는 재종 동생 황난선 등이 있다. 만년에는 옥동서원·백화서당 등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유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