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한치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남한치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南漢山城) 안에 있었던 의승군(義僧軍)의 군영. [내용] 남한산성은 수도의 방어를 위한 중요한 요새로, 수어청(守禦廳)에 소속되어 있었다. 1624년(인조 2) 남한산성을 개축할 때 성 안 사찰의 의승(...
- 북한치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감독 아래 부역에 임하였으며, 성이 완공되자 나라에서는 남한치영(南漢緇營)과 같이 치영을 설치하여 의승군으로 하여금 성을 수비하도록 하였다. 승영(僧營)인 치영은 승대장(僧大將) 1인, 중군(中軍)‧좌우별장(左右別將)‧천총(千摠)‧파총(把摠)‧좌우병방(左右兵...
- 의승방번전(義僧防番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승방번전 의승방번전 義僧防番錢 남한치영(南漢緇營), 북한치영(北漢緇營), 부역(負役), 승군(僧軍), 승역(僧役), 급료병(給料兵) 문화종교/불교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 오경후관련어남한치영(南漢緇營), 북한치영(北漢緇營), 부역(負役), 승군(僧軍), 승역(僧役), 급료병(給料兵)
- 도총섭(都摠攝)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도총섭 도총섭 都摠攝 팔도선교십육종도총섭(八道禪敎十六宗都摠攝), 의승장(義僧將), 남한치영(南漢緇營), 북한치영(北漢緇營), 의승군(義僧軍), 승영(僧營) 문화종교/불교 직역 대한민국 조선 오경후 ...관련어팔도선교십육종도총섭(八道禪敎十六宗都摠攝), 의승장(義僧將), 남한치영(南漢緇營), 북한치영(北漢緇營), 의승군(義僧軍), 승영(僧營)
- 승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력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곳으로는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에 두었던 남한치영(南漢緇營)과 북한치영(北漢緇營)을 들 수 있다.각성이 감독하여 쌓은 남한산성 안의 남한치영은 각 도에서 의승을 불러서 번을 서게 하였고, 성 안의 9개 사찰 승군으로 하여금 성을 지키게 하였으며,...이칭별칭승병|치군
주제어사전(1)
-
남한치영 / 南漢緇營 [정치·법제/국방]
경기도 광주군 남한산성 안에 있었던 의승군의 군영. 남한산성은 수도의 방어를 위한 중요한 요새로, 수어청에 소속되어 있었다. 1624년(인조 2) 남한산성을 개축할 때 성 안 사찰의 의승을 모아 치영(緇營)을 설치하고, 팔도도총섭 각성(覺性)의 지휘 아래 의승군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