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한조” 에 대한 검색결과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4(영조 20)∼1809(순조 9).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의령(宜寧). 경상북도 상주 출생. 자는 종백(宗伯), 호는 손재(損齋). 아버지는 필용(必容)이다. 9세에 고아가 되어 외삼촌인 김진동(金鎭東)으로부터 글을 ...
    이칭별칭 종백(宗伯)| 손재(損齋)
  • 이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일을 몸소 실천하였다. 그의 학문적 흐름은 동생 광정(光靖)과 ()를 통해 유치명(柳致明)으로 이어지고, 이진상(李震相)에 이르러 유리론(唯理論)으로 전개되었으며,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곽종석(郭鍾錫)으로 계승되었다. 그는 학문에 크게 힘...
    이칭별칭 경문(景文)| 대산(大山)| 문경(文敬)
  • 손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15권 8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연대는 자세하지 않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11은 시 161수, 서(書) 358편, 권12∼15는...
  •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작품이다. 증각은 일명 홍척국사(洪陟國師)‧사(師)로 헌강왕 때에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826년(흥덕왕 1)에 귀국한 뒤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실상사파를 일으켜 세운 고승이다. 대사의 묘탑인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은 탑비의 뒤편 언덕에 있다. ...
    연계항목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비(實相寺證覺大師凝蓼塔碑)
  • 정헌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편찬할 것을 의논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부록에 수록된 스승인 ()가 보낸 서(書)의 별지에는 학문에 관한 내용이 조목별로 실려 있다. 첫째 심학도구방심(心學圖求放心)이라 하여 심학을 하는 것은 결국 방심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라 하고, 둘째 치노거욕(...

단행본(1)

  • 저자 : 양일모, 김재현, 이봉규, 강중기, 엄연석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면서 서양보다 동양의 목소리가 강하게 들리기 시작했다. 유럽에서는 근대적 이성과 주체적 인간을 전제하는 사유 방식이 위기를 노정하기 시작했고, 동아시아에서는 자신의 지적 전통과 자원을 호의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중국은 세계정치의 중심에 진입하면서 ...

고서·고문서(24)

  • 1798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01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 1794년 이우(李㙖)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94년 11월 6일, 가 여행 중의 안부를 묻고 상소와 관련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기 위해 이우에게 보낸 편지이다. 쇠한 몸으로 장시간의 길에 지쳤을 줄로 생각되는데, 언제 여행에서 돌아오며 건강은 나빠지지 않았는지 안부를 물었다. 당내의 극심한 우환거리로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97년 이우(李㙖)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97년 12월 11일, 이우가 경에 대해 사유한 내용을 피력하기 위해 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우는 어제 서재에 앉아서, 경 한 글자는 진실로 이 마음의 主宰이고 진실로 모든 성인의 단전이니 이 한 글자를 얻어서 의거하여 자신의 것으로 삼는다면 그것으로써 자신...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31734 B031734 급수선 汲水船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38年 2月 10日_024 稟定矣。 南漢山城春等操鍊, 今方當次, 而上年秋操, 旣已設行。 春秋操中一次, 則自前或有停止之例, 卽今則農節將迫, 事多難便, 今姑停止, 待秋爲之, 何如? 上曰, 鍊, 去秋旣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44∼1809). 어려서 부모를 잃고 외삼촌인 김진동에게 글을 배웠다. 이상정에게 학문하는 방법을 배운 뒤 거경궁리에 힘썼다. 초야에 은둔하며 후진양성하였고, 여러 번 도백과 암행어사의 천거를 받았지만 끝내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저서로는 <손재

  • 남한호 / 南漢皜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21년(순조 21).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남도훤, 조부는 남정구, 생부는 남필석이다. 남필관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손재 에게 수학하였다. 1778년(정조 2) 퇴계학의 맥을 잇는 입재 정종로를 찾아가 공부하였다. 순암 안정복에

  • 황원선 / 黃源善 [종교·철학/유학]

    1798년(정조 22)∼1873년(고종 10).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황석로, 외조부는 정종로이다. 처조부는 이다. 남한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교유한 인물로는 재종 동생 황난선 등이 있다. 만년에는 옥동서원·백화서당 등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유고로

  • 강엄 / 康儼 [종교·철학/유학]

    1766년(영조 42)∼1833년(순조 33). 조선 후기 성리학자. 강인석의 후손으로, 부친은 강윤조, 동생은 강검이다. 손재 ·입재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며, 제자백가의 서적 및 경전을 두루 익혔다. 1807년(순조 7) 식년시 생원 3등 24위로 합격하였

  • 권택모 / 權宅模 [종교·철학/유학]

    1774년(영조 50)∼1829년(순조 29). 조선 후기 성리학자. 조부는 권성익이다. 부친 권세언과 모친 통덕랑 유익춘의 딸 풍산유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조학수의 딸 풍양조씨이다. 손재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주기설의 병통을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