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한산성” 에 대한 검색결과 1,0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3)

사전(714)

  • TD_C3_D_0208 지방 地理, 移都 溫祚王十三年 百濟, 慰禮城, 南平壤, 新羅, 高山, 長山 D_07_01_102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10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10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장성(晝長城, 일명 日長城)을 쌓았는데, 둘레가 4,360보로서 현재 이 위치한 곳이라고 믿어져 내려온다. 고려시대의 기록에는 보이지 않으나 ≪세종실록≫ 지리지에 일장산성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둘레가 3,993보이고, 성안에는 군자고(軍資庫)가 있고 우...
    연계항목남한산성(南漢山城)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광주시의 남한산에 있는 산성.
    정의경기도 광주시의 남한산에 있는 산성.[고려대 한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Namhan Sanseong | MR표기Namhan San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북한산성(北漢山城), 삼전도수항단(三田渡受降壇), 수어청(守禦廳)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건축·능 원 묘 박재광 [정의] 조선시대 경기도...
    관련어북한산성(北漢山城), 삼전도수항단(三田渡受降壇), 수어청(守禦廳)
  • 국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에 있는 절. [내용] 1625년(인조 3)에 각성(覺性)을 팔도도총섭총절제중군주장(八道都摠攝總節制中軍主將)에 임명하고, 팔도의 승군을 동원하여 ...

고서·고문서(184)

  • 《寶鑑》曰:“仁祖九年,李曙爲摠戎使,築,募民屯田,穀至累萬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20 經世遺表 卷七 ITKC_MP_0597A_1120_020_0130 《寶鑑》曰:“仁祖九年,李曙爲摠戎使,築,募民屯田,穀至累萬石。”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
    권차명經世遺表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669 B003669 강도 江都 정치행정 仁祖實錄 二十五年(1647) 十一月 인조실록_12511010_003 ○命輸送甲冑五十部于, 二十部于江都, 使勿出朝報, 蓋畏淸人之知之也。
    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석지형(石之珩, 1610~?)이 병자호란 당시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郞)으로 인조(仁祖)를 호종하여 에 피신했을 때 겪은 일을 기록한 것이다. 이 일기는 금나라의 성립 역사에서부터 시작하여 1636년 12월 9일 청나라가 조선의 국경을 넘은 날과 이듬해...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474 B003474 강도 江都 정치행정 仁祖實錄 二年(1624) 三月 인조실록_10203005_005 ... 江都保障之策, 專委李聖求, 而江都一偶, 似難號令。 域中如有事變, 元子入, 則庶可居中節制。 但, 似難容易築之。 今宜以李曙定將, 專委築城之責,
    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720 B003720 강도 江都 정치행정 光海君日記 十年(1618) 六月 광해군일기_11006016_010 ○傳曰: “兩南兵入守江都,公洪之兵入守,京畿、江原之兵入守三角山城、坡州山城, 則虜兵豈可捨此各邑據險城守, 穿過其中乎? 極擇堂上武臣, 分界堅守各處山城(事, 令...
    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5)

  • 올라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 | 제보자오병순
  • 전라남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녹음한 현장 조사 자료이다. 2) 음질 하( 민요 전남 도적이 둥당애타령 1989-09-26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 20:17 15:29 녹음목록A면 1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색구
  • 김정애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김정애 송순섭 무용 굿거리 춤 부채줌 살풀이 승무 단가 민요 운담풍경 사창화류 남도민요 성주풀이 판소리 토막소리 춘향가 이별가 사랑가 흥보가 초앞 대목 옥중가 박타령 제비노정기 연극 창극 국악협회 판소리;민요;기타; 1989-05-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민요;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애
  • 하가 찬물 그거 떠 묵고 그랬으니까네, 배가 고프이 잠이 안오더라고 또 나무를 해야되이꺼네 까정 나무하러 갔다가. [조사자 : 나무도 하러 다니셨구나!]나무도 해봤다 새벽에 가가지고. [조사자 : 천호동에서 까지 걸어가셨다고요?]야, 얼마나 멀더라고 그래
    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2년 4월 19일
  • 토벌대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전투를 치르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그릏게 배가 고프면서 군대 생활을 했지] 사신 데는 어디요. 집이. [조사자 : 이 동네예요] 으? [조사자 : 이 동네예요] 이 동네.(화자 웃 음) [조사자 : 요 총각은 ] 으. . [할머니 : 우리 조카가 저렇게 비슷해요] 으. 비슷혀. 아주
    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3년 1월 23일

기초학문(6)

  • 燕行路에서 만나는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일환, 게재일 : 2014
    58787 김일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14 燕行路에서 만나는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문화재 안내시스템 디자인 개발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찬, 게재일 : 2009
    44491 이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디자인학회 2009 문화재 안내시스템 디자인 개발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조선후기 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8977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조선후기 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도립공원 등산객과 비등산객의 장소 가치인식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예은, 게재일 : 2015
    15502 김예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촌계획학회 2015 도립공원 등산객과 비등산객의 장소 가치인식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山城聚落硏究 : 廣州邑治의 形成과 衰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금수, 게재일 : 2004
    08818 홍금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역지리학회 2004 山城聚落硏究 : 廣州邑治의 形成과 衰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7)

멀티미디어(39)

  • 의 고민 -조선왕조의 국가정체성 문제_9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국제질서와 조선 2주차. 임진란 발발과 초기 전황 3주차. 전세 역전과 소강 상태 4주차. 협상 결렬_ 재침_종전 5주차. 전쟁의 여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6주차. 1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 7주차. 정묘호란 8주차. 병자호란 9주차. 의 고민 -조선왕
    강좌제목임진란_ 병자란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 강의자계승범 교수
  • 의 고민 -조선왕조의 국가정체성 문제_9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국제질서와 조선 2주차. 임진란 발발과 초기 전황 3주차. 전세 역전과 소강 상태 4주차. 협상 결렬_ 재침_종전 5주차. 전쟁의 여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6주차. 1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 7주차. 정묘호란 8주차. 병자호란 9주차. 의 고민 -조선왕
    강좌제목임진란_ 병자란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 강의자계승범 교수
  • 의 고민 -조선왕조의 국가정체성 문제_9주차_3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국제질서와 조선 2주차. 임진란 발발과 초기 전황 3주차. 전세 역전과 소강 상태 4주차. 협상 결렬_ 재침_종전 5주차. 전쟁의 여파와 동아시아 국제질서 6주차. 1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 7주차. 정묘호란 8주차. 병자호란 9주차. 의 고민 -조선왕
    강좌제목임진란_ 병자란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 강의자계승범 교수
  • 행궁지 시굴(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행궁지 시굴(발굴)조사 보고서 Y5-0083_#1 유구 Y5-0083 행궁지 시굴(발굴)조사 상궐 행각지 온돌 유구 2013-12-04_0.9482538_Y5-0083 행궁지 시굴(발굴)조사 상궐 행각지 온돌 유구.jpg
    제목남한산성 행궁지 시굴(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행궁권역 내 건축물 이축지 시‧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행궁권역 내 건축물 이축지 시‧발굴조사 보고서 b7-0007_#1 유구 도면1. 조사구역 위치도(S=5,000분의 1) 2013-07-15_0.3594324_도면1. 조사구역 위치도(S=5,000분의 1).JPG b7-0007_#2
    제목남한산성 행궁권역 내 건축물 이축지 시‧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8)

  • 행궁지 시굴(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Y5-0083 유구 2013-07-05_0.9041407_토지박물관_ 행궁지 시굴(발굴)조사 보고서_1999(표지).jpg 행궁지 시굴(발굴)조사 보고서 行宮址 試掘(發掘)調査 報告書 1999 한국토지주택공사토지주택박물관...
    발행연도1999 | 발굴기관한국토지주택공사토지주택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행궁권역 내 건축물 이축지 시‧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b7-0007 유구 2013-07-15_0.2438471_한양대학교박물관_ 행궁권역 내 건축물 이축지 시‧발굴조사 보고서_2005(표지).jpg 행궁권역 내 건축물 이축지 시‧발굴조사 보고서 行宮圈域 內 建築物 移築地 試‧發掘調...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한양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석진숙;石鎭璹;석원장기;石原壯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462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92면 석진숙;石鎭璹;석원장기;石原壯基 東京市 目黑2丁目 下墨町,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제13...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사개요 / Ⅱ. 개요 1. 개요 1) 의 건립 2) 남한행궁의 변천과 역할의 변화 3) 건물의 배치와 용도 및 규모 4) 행궁의 이용 2. 좌전 개요 1) 건립에 대한 논의 2) 건립과정 3) 배치 및 규모 4) 좌전 건립의 의미 / Ⅲ....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한국토지주택공사토지주택박물관/광주시 | 발굴지역경기도
  • 무리하였다. 정문지는 하궐의 정동편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정문지의 동쪽 부분은 수어장대로 이어지는 포장도로 개설과 호텔에서 설치한 각종 시설물로 심하게 교란되어 조선시대 문화층의 상당부분은 유실된 상태였다. 조사지역에서는 자기류가 출토되었는데 조선 초기...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박물관/경기문화재단 | 발굴지역경기도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37)

  • / [역사/조선시대사]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성. 둘레 약 8,000m. 사적 제57호. 지정면적 52만 8460㎡. 북한산성과 함께 도성을 지키던 남부의 산성이었다. 지금은 동·서·남문루와 장대·돈대·암문·우물·보·누 등의 방어시설과 관해(관청), 군사훈련시설 등

  • 행궁 / 行宮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광주시 안에 있는 조선후기 좌전과 우실을 갖춘 행궁.별궁. 사적. 경기도 기념물 제164호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역사·문화적 가치가 인정되어 2007년 6월 8일 사적 제480호로 승격 지정되었다.행궁지는 지금의 호텔 자리와 그 뒤의

  • 도립공원 / 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성남시·하남시·광주시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은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어 있고 성내의 유물·유적도 경기도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남한산은 아름다운 자연경관 이외에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과, 수어장대(守禦將臺), 북문, 남문 등과 성곽이 남아 있고,

  • 매당왕신도당굿 / 鷹堂王神都堂굿 [종교·철학/민간신앙]

    청량당에서 이회장군을 주신(主神)으로 모시고 행하는 도당굿. 은 통일신라시대에 축성된 이후 도성(都城) 인근에 위치한 요새(要塞)이며, 청량당에 모셔진 이회(李晦)장군은 ‘매당왕신[鷹堂王神]’으로 을 대표하는 수호신이다. 청량당(淸凉堂)은 수어

  • 남한치영 / 南漢緇營 [정치·법제/국방]

    경기도 광주군 안에 있었던 의승군의 군영. 은 수도의 방어를 위한 중요한 요새로, 수어청에 소속되어 있었다. 1624년(인조 2) 을 개축할 때 성 안 사찰의 의승을 모아 치영(緇營)을 설치하고, 팔도도총섭 각성(覺性)의 지휘 아래 의승군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