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한강” 에 대한 검색결과 3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3)

사전(228)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87년에 간행된 신경림(申庚林, 1936- )의 연작 장시집.
    정의1987년에 간행된 신경림(申庚林, 1936- )의 연작 장시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Namhan-gang | MR표기Namhan’g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평창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의 계방산(桂芳山, 1,577m)에서 발원하여 평창군과 영월군을 남류하여 으로 흘러드는 강. [개설] 길이는 220㎞이다. 태백산맥의 준령인 계방산에서 발원하여 평창군 용평면을 지나 봉평면에서 흘러오...
  • 양평병산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 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적. [개설] 1992년과 1993∼1994년에 걸쳐 각각 한 차례씩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유적의 앞쪽, 곧 북쪽으로는 ...
  • 충주지동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지동리 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개설] 제천천(堤川川)이 하천리에서 흘러오다가 지동리 입구인 서북쪽에서 동남으로 바뀌어 본류 쪽으로 흘러가는 곳으로 지동리에서 강...
    이칭별칭중원지동리유적
  • 양평양근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에 있는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에 걸친 시기의 유적. [개설] 의 중류지역으로 강굽이에 의한 퇴적현상이 심해 여러 겹의 고운 모래로 넓게 덮여 있다. 이 유적은

고서·고문서(39)

  • 奉審時, 有駕馬行處乎? 命均曰, 三田渡有大路矣。 上曰, 頃者處分, 意有在焉。 都, 豈可使無御路乎? 上曰, 南漢亦由廣津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917 B013917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十三年(1687) 四月 숙종실록_11304014_001 ... 有中罹大難, 匪欲瓦全之語, 瓦全旣不如玉碎, 則卽此祭文褒貶, 亦自可見, 何可謂前後之言相戾也? 且其所謂都一也之說, 亦必有所指斥, 而又引金尙憲、鄭蘊事,...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審時, 有駕馬行處乎? 命均曰, 三田渡有大路矣。 上曰, 頃者處分, 意有在焉。 都, 豈可使無御路乎? 上曰, 南漢亦由廣津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頃者處分, 意有在焉。 都, 豈可使無御路乎? 上曰, 南漢亦由廣津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亦不知自何處渡水矣。 上曰, 必自廣津矣。 淳曰, 常時大路通處, 路亦大矣。 廣津則本非大路, 故只於陵幸時修之, 而英陵行幸, 已多年所, 御路及晝停所, 何以知之乎? 上曰, 卿等奉審時, 有駕馬行處乎? 命均曰, 三田渡有大路矣。 上曰, 頃者處分, 意有在焉。 都, 豈可使無御路...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4)

  • 의 축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준기, 게재일 : 2004
    10592 김준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4 의 축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과 문학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배규범, 게재일 : 2004
    08365 배규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4 과 문학1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과 박물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재, 게재일 : 2004
    08366 이정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4 과 박물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의 문학적 변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배규범, 게재일 : 2004
    11599 배규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4 의 문학적 변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한성백제의 수로 개척과 경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영일, 게재일 : 2003
    37063 서영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사학회 2003 한성백제의 수로 개척과 경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3)

  • 地方情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얏난 피에 사상이 잇다얏다더라 일본등소가 려쥬 남강 안에셔 젼투보를 거즉 일병가 거월삼십일 오젼에 츙쥬에셔 발야 안으로 애 인민삼명이 급히 을보고 영쥭으로 나아가 인민들의 산곡즁으로 가산집물을 옴김을본후 앙암면에셔 자 의병 륙명즁...
    게재일1907년 10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소야강 북 등 여러개 강의 많은 강줄기를 도하하여야 하였다. 이와 같은 지형은 공부구분대원들의 더욱 많은 활약을 요구하였다. 도기소리도 들어볼적 없는 험악하고 깊은 산속을 계속 진군하게 되는 동구분대는 현대식이며 우수한 우리인민군대 공병기재까지도 운반할 수 없...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807_02 | 책임주필오기찬
  • 3 오기찬 춘천 가평을 해방시키고 남진 중이던 공화국 인민군 부대들은 패주하는 적에게 심대한 타격을 가하면서 진격을 계속하여 7월 1일에 이르러 38 이남 근 60키로 지점인 북한강과 분기점에서 한강을 도하하여 동 일 □□시에 상기 도하점에서 1...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03_01 | 책임주필오기찬
  • 2 장성복 【□기에서교특파기자 장성복 발】충주 북쪽을 흐르는 줄기는 아군이 충주를 해방시키는 작전에 있어서 커다란 장애물로 나타났었다. 이 장애물을 극복하는데는 영웅적 공병들의 과감한 활동이 요구되였다. 7월 7일 김형기 공병전투원들에게는 8일...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802_02
  • 52 김명덕 장성복 장성복, 김형기 조선인민군 김형기 공병구분대는 부대의 맹진격을 항상 성과있게 보장하고 있다. 동 구분대가 전진하는 방향은 태백산을 타고 내려와 소백산맥을 넘어야 하였고 도중에는 림진강 소야강 북 등 많은 강들을 도하하여야...
    대표표제어승리를위하여_1950_0801_02 | 책임주필김명덕

기타자료(19)

  • (문화 유적 탐방) 의 요충, 여주의 환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문화 유적 탐방) 의 요충, 여주의 환희 (문화 유적 탐방) 의 요충, 여주의 환희 (문화 유적 탐방) 의 요충, 驪州의 환희 교육 문헌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영훈,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 (강원의 명소) 의 발원지 검용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강원의 명소) 의 발원지 검용소 (강원의 명소) 의 발원지 검용소 (강원의 명소) 의 발원지 儉龍沼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은숙 | 사료철명강원교육
  • 83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약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규횡,김원용,김기웅,최영희,김정기,황수영,진홍섭,이용조 충북대학교박물관 충북 제원 중원 충청북도 제천시 ㎡ 정부에서 한강개발의 일환으로 의 중류인 충주에 댐을 건설하게 되어 여기에 수몰되는 지역이 매우 광범하다. 특히 의 중,상륙지...
    발행연도1983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종합보고서-불적분야-단양 일명사지 발굴조사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밝힐 수 있는 탑지를 조사하게 되었다. 전축조의 유구는 낙동강의 상류인 안동을 중심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과 한강에 연곳에서도 전탑이 분포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이곳 죽령 밑 상류인 단양천에 연한 중방리 사지에서 전축기단이 출현하였다는 것은 매우 주목...
    발행연도1984 | 발굴기관충북대학교 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충주 가흥리유적 - 충주 가흥리 전원주택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으로 보아 의 범람 등으로 인해 유실된 채 ㅇ리부 구간만 잔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충주 가흥리유적에서는 청자편, 백자편, 분청사기편 등 다양한 자기편 72점과 함께 적갈색 연질토기, 경질도기 등 토기편 51점, 무문, 어골문, 청해파상문 등 기와편 84...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46)

  • /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오대산(五臺山, 1,563m)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북동부와 경기도 남동부를 흘러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는 375㎞이며, 유역 면적은 1만 2577㎢이다. 의 발원지로는 일반적으로 강원도 오대산에서 출발하는

  • 달천 / 疸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俗離山, 1,058) 부근에서 발원하여 괴산군을 지나 충주시 서쪽에서 에 합류되는 하천. 수계의 최남부에 있는 지류로, 길이는 약 116㎞. 괴산군 칠성면의 쌍천(雙川)과의 합류지점까지 40.2㎞는 지방하천이다. 충주에서 서북쪽으로

  • 목계진 / 牧溪津 [지리/인문지리]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의 가에 있는 조선시대의 나루. 강의 진도(津渡)는 그 당시 사람과 말의 왕래나 물자의 운송로로서 그 구실이 매우 컸으며, 특히 목계진은 강 건너 가금면 가흥리에 있었던 가흥창(加興倉)으로부터 원주ㆍ제천ㆍ청풍 등지로 통하는 중요한 나루였다.

  • 양수리 / 兩水里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의 북한강과 이 합류하는 곳. 양수리는 북한강과 이 합류해 한강을 이루는 곳이다. 북한강은 금강산에서 발원해 남쪽으로 흐르면서 강원도 철원에서 금성천을 합한다. 이후 화천군 화천읍을 지나 남쪽으로 흐르다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서

  • 박지산 / 博芝山 [지리/자연지리]

    수계는 상류인 오대천(五臺川)으로 흘러들어 하안에 좁은 충적평야를 형성하고 이곳을 중심으로 신기리·마평리 등의 취락이 발달하였다. 오대천은 다시 수항리·화의리·숙암리 등을 지나 나전리에 이르러 상류에 해당하는 조양강으로 흘러든다. 동쪽 사면으로 흐르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