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학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2)
- 회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남학명(南鶴鳴)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5권 2책. 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연도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103수, 부(賦) 1...
- 소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유산(流産). 第聞嫂氏又小産 驚愕 吾輩行年三十 今雖得男 及其冠 將迫五十 況又遷延無期者耶, 남학명(南鶴鳴), 21(禮)-27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풍색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분위기. 형편. 正言兄主一起. 朝廷空虛 近間風色極不佳 可笑可歎, 남학명(南鶴鳴), 21(禮)-27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행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현재의 나이. 第聞嫂氏又小産 驚愕 吾輩行年三十 今雖得男 及其冠 將迫五十 況又遷延無期者耶 思之悽然, 남학명(南鶴鳴), 21(禮)-27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恭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S_0133 恭靖 인물 太祖七年戊寅, 庚辰 南鶴鳴 恭靖大王, 太宗, 安宗, 定宗 晦隱集 S_18_01_61 성호사설 18권 1장 61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8권 1장 6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
- 임술년 남학명(南鶴鳴)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회은집(晦隱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經史門1_恭靖權署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恭靖權署 昔我恭靖大王, 於太祖七年戊寅受禪, 庚辰封太宗爲世子. 太宗之於恭靖, 昆弟也. 當封世弟, 而謂之世子, 蓋恭靖雖曰受禪, 其實權署而已故然也. 今《列聖誌狀》中云“權署國事”, 子孫屬籍亦止止: 와세다대본에는 ‘上’으로 되어 있다. 三世, 可以見矣. 南鶴鳴《晦隱集》云: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景福假衛將, 李泰壽爲翊贊, 林光弼爲洗馬, 李萬錀·李泳爲五衛將。 副司直尹宗臣, 副司果南鶴鳴, 副護軍尹鳴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景福假衛將, 李泰壽爲翊贊, 林光弼爲洗馬, 李萬錀·李泳爲五衛將。 副司直尹宗臣, 副司果南鶴鳴, 副護軍尹鳴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남학명 / 南鶴鳴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654∼1722). 소론의 영수로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의 아들이다. 천거로 주부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했다. 문집으로《회은집》·《회은잡지》, 편저로《와유록》 등이 있다. 자녀로는《몽예집》을 남긴 남극관이 있다.
-
구천유고 / 龜川遺稿 [종교·철학/유학]
여 최석정(崔錫鼎)·이희조(李喜朝)·김간(金幹)·김창흡(金昌翕)·박필주(朴弼周)·남학명(南鶴鳴) 등과 『대학』·『예기유편(禮記類編)』 등의 의문점을 토론하거나 선인들의 학설에 대하여 치밀한 분석과 해설을 시도한 내용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
회은집 / 晦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남학명의 시문집. 5권 2책. 활자본. 간행연도 미상. 서문과 발문이 없다. 권1에 시 103수, 부 1편, 권2에 기 17편, 서 2편, 제발 3편, 제문 4편, 권3에 서 17편, 잡문 3편, 권4에 행장 1편, 유사 8편, 묘문 5편, 권5에
-
예기대문언두 / 禮記大文諺讀 [언어/언어/문자]
를 위하여 교서관에서 활자로 정해년에 간행하였다고 한다. 이 정해년은 『고선책보(古鮮冊譜)』와 국내의 고도서목록에서 1767년(영조 43)으로 비정하고 있으나, 『고친 한글갈』과 『청분실서목(淸芬室書目)』에 따라서 1707년(숙종 33)으로 생각된다. 남학명(南鶴鳴)의
-
남극관 / 南克寬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1714년(숙종 40).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부는 남일성, 조부는 남구만, 부친은 남학명이다. 서문유 딸과 혼인했다. 1708년(숙종 34)에 무자식년사마시에 생원 2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다음해 괴질에 걸려 이후 6년 간 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