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지기로회도”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이 그림을 보고 기문을 지었다는 것이다. 한편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의 <>는 계축(契軸) 형식으로 화면 우측 하단에 ‘李起龍寫(이기룡사)’라고 쓰여 있어서 이를 통해 그림의 원작자를 알 수 있다.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와 비교해 보...
    연계항목남지기로회도(南池耆老會圖)
  • 이기룡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韓國繪畵의 傳統(安輝濬, 文藝出版社, 1988) 高麗 및 朝鮮王朝의 文人契會와 契會圖(安輝濬, 古文化 20, 韓國大學博物館協會, 1982. 6. ) 이기룡 필 조선 중기의 도화서 화가 이...
    이칭별칭남지기로회도 | 연계항목이기룡필남지기로회도(李起龍筆南池耆老會圖)
  • 이기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機自在).”라는 화제(畫題)를 썼다고 한다. 그의 작품으로 1629년에 그린 「()」가 전해올 뿐 현존하는 유작이 드물어 화풍을 잘 파악할 수 없다. 「」는 기로연(耆老宴)을 그린 기념화(記念畫)로서 성루(城樓)와 성곽 너...
    이칭별칭 군서(君瑞)| 궤은(?隱), 동비야인(東鄙野人)
  • 이기룡(李起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우도(松巖飛羽圖)>를 그렸으며, 사자관(寫字官) 김의신(金義信)이 그 그림에 “한 마리는 날고 한 마리는 서서 천기(天機)가 자재(自在)하다(一飛一立天機自在).”라는 화제(畫題)를 썼다고 한다. 그 밖의 작품으로 1629년에 그린 <()>가 전해지...
    유형분류인물
  • 기로연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논문, 2008. 임미선, 《조선후기 공연문화와 음악》, 민속원, 2012. 【사진 및 도판】 도판 1. 《()》, 조선후기,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 도판 1. 《》, 조선 후기, 서울대 박물관 소장..jpg
    대분류일반용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주제어사전(1)

  • / [예술·체육/회화]

    문 앞의 남지(南池)에서 연꽃을 감상하고자 나이 많은 전·현직 관료들이 모임을 가진 뒤, 이를 기념하여 그린 것이 「」이다. 이 「」는 도화서(圖畵署) 화원(畵員) 이기룡(李起龍)이 그렸으며,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본이 당시에 그린 원본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