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원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1)
사전(196)
- 남원시(전라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고 있다. 면적은 752.60㎢이고 인구는 8만 8,356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5개 면, 7개 동, 334개 리가 있다. 시청은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에 있다. [자연환경] 시의 동쪽‧북동쪽‧남동쪽이 소백산맥에 속하는 높...
- 운봉현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편찬연대 미상의 전라도 운봉현(지금의 남원시 운봉읍) 읍지. [내용]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ㆍ도로(道路)ㆍ건치연혁(建置沿革)ㆍ군명(郡名)ㆍ형승(形勝)ㆍ관직(官職)ㆍ산천(山川)ㆍ성씨(姓氏)ㆍ풍...
- 실상사일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에 있는 실상사와 백장암(百丈庵)‧약수암(藥水庵)을 포함한 일대. [내용] 지정면적 278,989㎡. 사적 제309호로 지정되어 있다. →실상사 남원 실상사 일...연계항목실상사일원(實相寺一圓)
- 비홍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과 대강면 사이에 있는 고개. [내용] 높이 260m. 이 고개는 남원시 대산면과 순창군 동계면, 그리고 주생면과 대강면의 경계를 이루는 노적봉(露積峰)‧풍악산(楓岳山)‧응봉(鷹峰)‧문덕봉(文德峰)을
- 남원관왕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건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중국 삼국시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배향한 곳이다. 이 묘는 원래 임진왜란때 이 곳에 주둔하였던...연계항목남원관왕묘(南原關王廟)
고서·고문서(253)
- 남원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남원시 이 남자 경기도 양평군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조선족중학교 1 1 남원시, 용남시장, 대경상회,대표표제어남원시 | 성씨이
- 1868년 윤병오(尹秉澳) 등 상서(上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8년 3월 진사 윤병오 등 23명의 전라도 유림이 예조판서에게 올린 상서이다. 박중묵이 살았던 견소곡방은 오늘날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평촌리에 해당하는 곳이다.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 금산(錦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十 南原十五 南原咸陽二十谷城 南原十 求禮三十 順天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03년 윤치임(尹致任)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03년 11월 6일에 남원 지당(池塘)(전북 남원시 주생면 지당리)에 사는 윤치임(尹致任)이 곡성 석곡에 사는 유복삼(柳復三)에게 보낸 편지이다. 서울을 갈 시기가 임박했는데, 여러 가지 도구가 아무것도 없어서 답답하다는 말과 함께 순천 사람 김우(金友)가 과연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곡성 선산유씨 연운당
- 중공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중공 한 남자 전라북도 남원시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장백공사(長白公社) 동신 5대 1 1 중공, 조...대표표제어중공 | 성씨한
구술자료(101)
- 전라북도 남원시_싸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91 전북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북도 남원시_싸오 싸오 쌈싸기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신파리 하신 1986.8.18 素86-8-18②B 김철수 김철수(1927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싸호 류 멕받형 에이 싸오 (받): 미라도 라 미라 (받): 3소박녹음지역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신파리 하신 | 녹음날짜1986.8.18 | 가창방식멕받형
- 전라북도 남원시_방게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75 전북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북도 남원시_방게소리 방게소리 흥게노라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제천리 서만 1986.5.2 素86-5-1-3②A (메): 윤동현 (받): 김고막, 장남식 윤동현(1923년생.남.6대째 거주 토민.파평 윤씨), 김고막(192녹음지역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제천리 서만 | 녹음날짜1986.5.2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전라북도 남원시_쌈싸기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76 전북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북도 남원시_쌈싸기 쌈싸기 싸세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제천리 서만 1986.5.2 素86-5-1-3②A (메): 윤동현 (받): 김고막,장남식 윤동현(1923년생.남.6대째 거주 토민.파평 윤씨), 김고막(1922년생.남.녹음지역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제천리 서만 | 녹음날짜1986.5.2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전라북도 남원시_방게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77 전북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북도 남원시_방게소리 방게소리 송기리 만두리소리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송기리 1986.8.18 素86-8-18①B (메): 이무영 (받): 강맹구, 강덕암, 이강순, 이상근, 조동석, 이정환. 이무영(1910년생.남.토민.녹음지역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송기리 | 녹음날짜1986.8.18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전라북도 남원시_에이여루 사월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078 전북 전라북도 남원시 전라북도 남원시_에이여루 사월 에이여루 사월 송기리 초벌 논매기소리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송기리 1986.8.18 素86-8-18①B (메): 이무영 (받): 강맹구, 강덕암, 이강순, 이상근, 조동석, 이정환 이무영(1910녹음지역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송기리 | 녹음날짜1986.8.18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기초학문(3)
- 남원시의 거주환경과 소리환경에 대한 통시적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명호, 게재일 : 201352614 한명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건축학회 2013 남원시의 거주환경과 소리환경에 대한 통시적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남원시와 목포시의 거주환경과 소리환경에 대한 의식 변화와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명호, 게재일 : 201352665 한명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건축학회 2013 남원시와 목포시의 거주환경과 소리환경에 대한 의식 변화와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마을숲 보전 사업에 대한 마을 주민의 참여가능성-남원시 2개 마을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소희, 게재일 : 201340964 박소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임학회 2013 마을숲 보전 사업에 대한 마을 주민의 참여가능성-남원시 2개 마을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2)
- 투사신문_1948_1016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켜났다. 즉 전기 『면장』은 도루 배급해준다고 하면서 농민들이 피땀으로 지은 곡식을 혹독하게 모주리 공출시켜허 빼앗은 다음 백미 48가마니 남와 보리 48가마니를 남원시장에 가져가 비싼 시장가격으로 팔아서 37만6천여원을 착복해먹은 사실이 인민들 눈에 들키여 "쌀도적...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016_03 | 책임주필한효
- 청년생활_1994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1 이성세계 키스 26 부부사이 수입이 적은 남편을 어떻게 대할것인가 두공 28 지구촌뒤골목 웰남원...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4
멀티미디어(1)
- 남원 대곡리 유적 -남원시 폐기물 처리시설 조성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남원 대곡리 유적 -남원시 폐기물 처리시설 조성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cc2-0107_#1 유구 가-2 지구 유물산포지 평단면도_석관묘 2014-10-17_0.1932032_가-2 지구 유물산포지 평단면도_석관묘.jpg cc2-010제목남원 대곡리 유적 -남원시 폐기물 처리시설 조성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45)
- 양시련;梁時連;남원시련;南原時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6357 남한 경남 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2-49 졸업대장(1928-1948) n.r. 66면 양시련;梁時連;남원시련;南原時連 제13회 1941.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원시교육청조례제정동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남원시교육청조례제정동의 남원시교육청조례제정동의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원시 | 사료철명조례공포
- 남원시교육규칙(제20호)(남원시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중개정규칙)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남원시교육규칙(제20호)(남원시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중개정규칙) 남원시교육규칙(제20호)(남원시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중개정규칙)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원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규칙원본
- 남원시교육규칙(제22호)(남원시교육비특별회계보조금관리규칙)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남원시교육규칙(제22호)(남원시교육비특별회계보조금관리규칙) 남원시교육규칙(제22호)(남원시교육비특별회계보조금관리규칙)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원군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규칙원본
- 남원시교육감작무대리조례재정(안)(103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남원시교육감작무대리조례재정(안)(103호) 남원시교육감작무대리조례재정(안)(103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자치법규...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원시 | 사료철명조례공포
주제어사전(47)
-
남원시 / 南原市 [지리/인문지리]
856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5개 면, 7개 행정동(23개 법정동), 334개 행정리(157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에 있다.
-
국도21호선 / 國道21號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에서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 남원∼이천선이라고도 한다. 남원시를 기점으로 전라북도 남서부(순창, 정읍, 김제)와 북부지역(완주, 전주, 익산, 군산)을 거쳐 충청남도 남부 해안(서천, 보령) 및 서북부 지역(홍성, 예산, 아
-
김억득 / 金億得 [예술·체육/국악]
생몰년 미상. 일제강점기의 국악가.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 쌍교동(雙橋洞)에서 출생하였으며, 본명은 김사문(金士文)이다. 성품이 호협하고 생각이 진취적이며, 창의력이 뛰어나 문예활동이 왕성했다. 전국의 명창, 명기들을 모아 서울에서 협률사(協律社)를 조직하였고,
-
운봉고원 / 雲峰高原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 해당하는 분지 형태의 고원. 운봉 고원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의 행정 구역과 거의 일치된다. 운봉읍은 1995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읍 소재지는 서천리이다. 운봉 고원은 지형적인 이점 때문에, 배추, 고추, 마늘 등의 고랭지 채소와 화훼
-
황영 / 黃暎 [역사/근대사]
1848-1921. 일제강점기 의열(義烈). 남원시(南原市) 사매면(巳梅面) 출신이다. 1910년(융희 4) 한일합방(韓日合邦)이 되고, 1919년(융희 13) 고종이 승하(昇遐)하자, 나라 잃은 슬픔을 참지 못하고 비분강개(悲憤慷慨)하여 자결하였다. 그러나 가족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