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용만”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4)

  • 이근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딸이다. ()의 문하에서 수학, 이정규(李鼎揆)와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하였다. 1789년(정조 13)에 진사가 되었고, 이듬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791년에 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그뒤 봉상시참봉(奉常寺參奉), 성균관ㆍ교서관 박사, 성균관전...
    이칭별칭 성응(聖應)| 죽오(竹塢)
  • 노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도서‧상수‧율려‧산법 등에 대한 견해를 밝힌 것이다. 선천도(先天圖)에는 팔괘원도(八卦圓圖)와 중괘원도(重卦圓圖)가 갖추어져 있으나 후천도(後天圖)에는 없으므로, 「후천괘도(後天卦圖)」를 완성해 그려놓고 각 괘를 배열한 차서(次序)에 대해 설명하였다. ...
  • 정간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의 문신 허후(許詡)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890년(고종 27) 후손 종두(宗斗)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미(李瀰)의 서문이, 권말에 이헌락(李憲洛)‧()‧종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
  • 남구명(南九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仁載)의 처 (2녀) 임일현(任一鉉)의 처 (손자) () (5대손) 남유구(南有龜) <우암집(寓庵集)> [총론] [1661년(현종 2)∼1717년(숙종 45) = 57세.] 조선 후기 숙종 때의 문신. 행직(行職)은 순천부...

고서·고문서(5)

  • 奉常奉事, 權星彦·具昌瑞爲典籍, 安錫銓爲莊陵參奉, 爲禧陵參奉, 申光權爲禮賓參奉, 李基讓爲寧陵參奉, 任希問爲穆陵參奉, 宋煥程爲惠陵參奉, 林枝秀爲淑陵參奉, 柳煥德爲刑曹佐郞, 金健修爲大靜縣監, 洪明浩爲副校理, 李儒慶爲修撰, 鄭志儉爲副修撰, 柳誨爲永祐園守奉官, 金載道爲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乾隆 2년 丁巳 9월 1일에 南國耆의 처 柳氏가 작성한 許與文記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매에게 재산을 분금하기 위해 작성된 許與文記이다. 5촌 조카 (1694-1745)이 작성하고 시동생인 南國藎(1673-1753)이 증명한 것으로 되어 있다. 당시 재산 분금의 방법과 재산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활산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活山先生文集序 (序1) 1790. 丁範祖(1723∼1801)가 지은 序로, 序를 쓰게 된 동기를 언급하는 동시에 의 건장한 용모와 경사에 관통한 글, 그리고 막을 수 없는 기질과 徵士로서의 품격을 언급했다. 活山先生文集序 (序7) 1793. 洪良浩(172...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화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암자를 짓고 記文을 부탁한 경위와 孝悌와 思睦의 근본을 아는 것이라고 칭송하는 내용. 詠歸亭記 (11) 오래 전에 허물어진 汶上의 정자를 李德綠, 孫景杰 등의 주관으로 重建하고 의 의견에 따라 옛 이름인 詠歸亭을 다시 쓰기로 했다는 내용. 盤龜菴記 (12)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해좌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소개장을 외면할 수 없었던 점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活山遺集序 (17) 1793. (1709∼1784)의 문집인 『活山遺集』의 서문이다. 그의 아들 南景羲,(1748∼1812)의 부탁을 받고 썼다. 嶺南의 인물들을 경시하는 당시의 풍조를 언급하며 과...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9∼1784). 사마시에 합격한 뒤 과거에 뜻을 버리고 오직 학문에 전념하여《대학장구난의》를 저술하였다. 조정에서 여러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거절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썼다. 문집으로 <활산선생문집>이 있다.

  • 활산집 / 活山集 [종교·철학/유학]

    의 시문집, 본집 7권, 어록 1권, 부록 1권, 합 9권 5책, 1793, <규 6141>. 권1에는 부 1편과 고시 18수와 율시 104수가, 권2에는 율시 189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소 1편, 서 25편, 권4에는 잡저 12편, 설 11편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