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양주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1)
사전(184)
- 남양주시(경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7°41′에 위치한다. 면적은 458.53㎢이고, 인구는 50만 5,867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5개 읍, 4개 면, 6개 동, 330개 리가 있다. 시청은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다. [자연환경] 광주산맥의 남단에 위치하여 전체...
- 성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 에 있는 조선 선조의 후궁 공빈김씨(恭嬪金氏)의 묘소. [내용] 사적 제365호. 지정면적 1,785㎡. 공빈김씨는 효철(孝哲)의 딸로 1551년(명종 6)에 태어나
- 영빈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에 있는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 영빈김씨(寧嬪金氏)의 묘소. [내용] 사적 제367호. 지정면적 3만6776㎡. 영빈 김씨는 성천부사 창국(昌國)의 딸로 166...연계항목영빈묘(寧嬪墓)
- 정약용선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의 유택. [내용] 경기도 기념물 제7호. 봉분은 단분이며 숙부인(淑夫人) 풍산홍씨(豐山洪氏)와의 합장묘(合葬墓)이다. 묘소에는 묘비‧상석(床石)‧향로석(香爐...연계항목정약용선생묘(丁若鏞先生墓)
- 밤섬유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는 유원지. [개설] 주금산에서 발원한 왕숙천(王宿川)이 흐르는 유역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5만8000㎡의 섬 안의 강변유원지로, 동경 127°9'47", 북위 37°41'46"에 위치한다. ...
고서·고문서(51)
- 홍릉등록(洪陵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왼쪽 언덕에 장사지내고 숙릉(肅陵)이라 하였다. 이후 1897년 경기도 양주군 남청량리에 안장하고 홍릉이라 하였다. 그후 고종이 1919년 승하하자 지금의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천장하였다.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산릉도감초등록(山陵都監草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명성(明成)’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그리고 동9릉에 있던 명성황후의 무덤을 당시 경기도 양주 남청량리(현재 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로 이장하면서 홍릉이라고 했다. 1919년 고종이 죽자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현 위치에 능을 조성하게 되는데, 이...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의효전의궤(懿孝殿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릉으로 개칭되었다. 유강원 : 순명비의 묘. 경기도 양주 용마산 내동(어린이대공원 자리)에 있다가, 순종의 훙서로 1926년에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천장되었음. 능호는 유릉.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경기도_ST2017100182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경기도_ST2017100182 ST2017100182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리 덕송리 127° 6'20.22"E 37°40'54.0...대표표제어경기도_ST2017100182 | 유적명덕송리
- 경기도_ST2017100183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역사 물품도구 선사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충북대학교 김범철 경기도_ST2017100183 ST2017100183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 49-17 덕소리 127°13'30.93"E 37...대표표제어경기도_ST2017100183 | 유적명덕소리
구술자료(1)
- 강화도, 그곳에서 전쟁을 이겨내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첫아이였던 아들을 홀로 키 우며 살아왔고, 현재는 아들부부와 함께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에서 살아가고 있다. 강화도로 인민군들이 들이닥쳤을 때, 차봉순 할머니는 첫 아들을 낳고 살아가고 있었다. 경찰이 었던 남편은 어느 날 갑자기 끌려가, 생사를 알 수 없게 되었조사지역경기 남양주 | 조사일2013년 6월 16일
기타자료(45)
- 교육비특별회계공유재산매각특례에관한조례(제94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BA0254437 경기도 남양주시 기획담당관 21-21 1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양주군교육장 이종근 | 사료철명1989 미금시조례개정공포(2)
- 교육비특별회계소관고유재산심의회설치조례(제95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BA0254437 경기도 남양주시 기획담당관 22-24 3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양주군교육장 이종근 | 사료철명1989 미금시조례개정공포(2)
- 교육비특별회계소관은닉재산신고보상금지급조례(제96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BA0254437 경기도 남양주시 기획담당관 25-29 5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양주군교육장 이종근 | 사료철명1989 미금시조례개정공포(2)
- 교육비특별회계소관중요재산에관한조례(제93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BA0254437 경기도 남양주시 기획담당관 19-20 2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양주군교육장 이종근 | 사료철명1989 미금시조례개정공포(2)
- 교육비특별회계소속회계관계공무원재정보증조례(제91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BA0254437 경기도 남양주시 기획담당관 8-16 9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남양주군교육장 이종근 | 사료철명1989 미금시조례개정공포(2)
주제어사전(26)
-
남양주시 / 南楊州市 [지리/인문지리]
.1㎢이고, 인구는 65만 3454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5개 읍, 4개 면, 7개 행정동(11개 법정동), 374개 행정리(49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다.
-
구리시 / 九里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시. 동쪽은 남양주시·광주시, 서쪽과 남쪽은 서울특별시, 북쪽은 남양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06'∼127°10', 북위 37°33'∼37°39'에 위치한다. 면적은 33.29㎢이고, 인구는 18만 6721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
-
밤섬유원지 / ─遊園地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는 유원지. 밤섬은 조선 현종시대 문신인 이단상(李端相, 1628∼1669)이 벼슬에서 물러나 학문 연구에 힘쓰던 태극정(太極亭)과 정자 내의 연못 경관이 아름답고, 수도권의 단체수련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47번
-
광주시 / 廣州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여주시, 서쪽은 성남시, 남쪽은 용인시·이천시, 북쪽은 하남시와 한강을 경계로 남양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 08′∼127° 26′, 북위 37° 15′∼37° 33′에 위치한다. 면적은 431.05㎢이고, 인구는 31만
-
국도45호선 / 國道45號線 [경제·산업/교통]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서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 서산∼가평선이라고도 한다. 충청남도 서산시를 기점으로 예산, 아산 등 충청남도 중북부 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다가 경기도 평택, 안성, 용인, 광주, 하남 등을 남북으로 관통한 다음 팔당댐∼청평댐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