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산” 에 대한 검색결과 6,4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39)

사전(1,27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終)‧인경산(仁慶山 또는 引慶山)‧열경산(列慶山)‧마뫼 등으로도 불렸으나, 주로 목멱산이라 하였다. 조선 태조가 한양(漢陽)을 도읍으로 정하였을 때 은 풍수지리설상으로 안산(案山) 겸 주작(朱雀)에 해당되는 중요한 산이었다. 도성(都城)도 북악산‧낙산...
    이칭별칭목멱산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C6_D_0068 산림 松都, , 鵠嶺, 龍峀, 新京 李奎報 D_04_05_22 대동운부군옥 4권 5장 2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5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C6_D_0380 산림 沙積, 松根, 積雪, 山色, 如雪 三角山 朝鮮賦 D_20_01_70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7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7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창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에 있었던 절. [내용]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원나라 조자앙(趙子昻)의 「창림사비발(昌林寺碑跋)」에서 신라 김생(金生)이 창림사비를 쓴 것을 찬양하고 있...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4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저자 : 김인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장원태, 정원재... | 출판사 : 민창사 | 출판일 : 2013.10.31.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蘿山集 蘿雲未定草 洛下生稿 蘭菊齋集 蘭史集 蘭石集 蘭坡詩抄 集 南厓文集

고서·고문서(3,738)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60 詩經講義 卷二 ITKC_MP_0597A_0460_010_005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詩經講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4494 P-SDK-04494-P-E-16-16 P-SDK-04494-P-E-16-16-1 P-SDK-04494-P-E-16-16-2 에서 바라보는 시가 전경. 조선 경성 회엽서 봉투 있음. 16매 세트. 사제엽서 사회 ...
    자료명남산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오상현(五常县) 성자촌 1 1 , 공원, 식당, 다정, 이야...
    대표표제어남산 | 성씨
  • 33986 B033986 산악 輿地圖書 咸鏡道 咸鏡南道北靑府邑誌 烽燧 十里泥穀社北應馬底烽南應厚峙烽) 厚峙烽(在府北一百里泥穀社北應虛火烽南應新設烽) 新設烽(在府北七十里泥穀社北應厚峙烽南應沙乙耳烽) 沙乙耳烽(在府北五十里聖代社北應新設烽南應者羅耳烽) 者羅耳烽(在府北十...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3987 B033987 산악 輿地圖書 咸鏡道 咸鏡北道慶源府邑誌 烽燧 烽燧白顔烽(在府東九十里南應慶興阿吾城烽北報件加退烽) 件加退烽(在府東七十里南應白顔烽北報水汀烽) 水汀烽(在府東四十五里南應件加退烽北報東林烽) 東林烽(在府南四十里南應水汀烽北報烽) 烽(在府南...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90)

  • 성(城)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5-15 | 조사장소충청북도 충주시 안림동 | 제보자전종흠
  • 의 무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떡대산에 관한 앞의 이야기 끝에, 또 부근의 산에 무슨 전설이 없느냐고 묻자, 이것을 이야기했다. 역시 별것 아니라는 투로 짤막하게 이야기했다. *
    조사일시1981-01-14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남면 | 제보자조규엽
  • 봉이 채금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서방과 도깨비’가 너무 짧아서 미안하다는 말을 하다가 이것을 시작했다. 중간중간에 기억이 불확실한 것이 있을 때는 옆의 청중들이 적극적으로 거들어 주었다. 이 이야기는 상당히 보편화된 이야기로서 청중들 대부분이 잘 알고 있었다.*
    조사일시1979-07-3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장목면 | 제보자강삼련
  • 댁과 수영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남산댁이 수영대 이야기를 기억하느냐고 묻자, 제보자가 옛날에는 기억력이 참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는데, 몇 년 전 아프고 난 이후 기억력이 영 떨어졌다고 했다. 그래도 들려 달라고 요청을 하자, 그러면 중간에 기억 못하는 부분이 좀 있더라도 한번 해 ...
    조사일시2011. 1. 23(일)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동대리 동대마을 동대리마을회관 | 제보자박경선
  • 밑에 남도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 | 제보자박옥천

기초학문(8)

  • 변화와 변용으로 본 근대기 서울 의 공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희성, 게재일 : 2015
    17688 박희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조경학회 2015 변화와 변용으로 본 근대기 서울 의 공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조선시대 「詩」 차운시의 양상과 문학적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국진, 게재일 : 2014
    59179 이국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어문학회 2014 조선시대 「詩」 차운시의 양상과 문학적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长安终金可记磨崖碑及其在道敎史上的涵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성환, 게재일 : 2017
    63000 김성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陕西省社会科学院 2017 长安终金可记磨崖碑及其在道敎史上的涵意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연구] 의 근,현대 수난사 : 종교적 상징의 이식과 ‘空間化’ 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기쁨, 게재일 : 2013
    54247 유기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3 [연구] 의 근,현대 수난사 : 종교적 상징의 이식과 ‘空間化’ 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1930-40년대 소재 경성호국신사의 건립, 활용, 그리고 해방 후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4017 한국연구재단 서울학연구소 2011 1930-40년대 소재 경성호국신사의 건립, 활용, 그리고 해방 후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717)

  • 火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오젼 륙시오십분에 골 일인 요리집 국루에셔 실화야 화셰가 심히 렬 경죵 치 소를 듯고궁부와 경시쳥과 일쳥량국소방부와 일본슈비병 오십일연 병뎡이모혀와셔 화셰를 박멸코져나 그근쳐에 우물이 업슴으로 심히 불편야 십사호가 몰소고 팔시사십분에
    게재일1907년 10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公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판을일본 리사쳥에셔 쥬관야 공원디으로마련단 말은 이왕긔 얏거니와 일본리사가 한셩부로죠회기를 당장에 나무도젹쟈 엄금즙려니와 한국장츙단 일본쳬신셩 군사령부통감부의소속디계와일본공원디와 민유디 졔외에 일반부분은 경셩공원으로 작졍야 외국인이 유...
    게재일1906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公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셩에 죵은 근년에 일본인이 그밋헤 거졉며 공관후원이라 군령부 동산이라 졔반슈용으로 긔지를 부지즁 일을거시만코  외국인은 에 가가도짓고 노리터도만들되 본국인은 임의로 올나가 구경지도못더니 근일에 가신만말을거즉 죵외 일툥을 다 피변에셔 일대...
    게재일1906년 4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雨の (비의 )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雨の南山 | 기사명_한글비의 남산 | 게재일19180720 | 게재판 | 게재면01 | 게재단3-4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鄭(商店) 서울 鄭 商店 南米倉町市辰 1 식료품 - 야채 소매 27.9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鄭南山(南山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야채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21)

  • 에 케이블카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서울 명물의 하나로 에 케이블카가 등장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5월 26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에 지하터널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터널 공사 관련 영상이다. 먼저 김현옥 서울시장과 정주영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터널 1호 기공식이 열렸다. 이 터널은 삼일로와 보광동을 잇게 되고 곧이어 공사가 진행될 터널 2호의 경우 장충체육관과 용산 군인아파트를 잇게 된다. 내레이션에는 이 터널공사가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9년 3월 22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화순 고성지 유적 yy3-0312_#1 유구 사진 6. 트렌치 1 기저부석렬 축조상태 2014-03-08_0.6496393_사진 6. 트렌치 1 기저부석렬 축조상태.JPG yy3-0312_#2 유구 사진 7. 트렌치 1 토루부
    제목화순 남산 고성지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천안 리 고려묘 c4-0081_#1 유구 도2.유구배치도 2013-05-12_0.6043817_도2.유구배치도.jpg c4-0081_#2 유구 도판6.1호묘 전경(동에서) 2013-05-12_0.5511591_도판6.1호묘 전
    제목천안 남산리 고려묘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고창 리유적 - 분묘 - cc2-0043_#1 유구 원색사진 2. 리 5구역(1;원경, 2;전경) 2014-11-27_0.7550012_원색사진 2. 리 5구역(1;원경, 2;전경).JPG cc2-0043_#2 유구 사진
    제목고창 남산리유적 - 분묘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490)

  • ;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997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16-1935) n.r. 27면 임;林 경기 6회 1918.3.18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3128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1939년 1939―09―30 351면 이;李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3173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1940년 1940―09―30 353면 이;李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5322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4年 1939―09―30 351면 이;李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5358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15年 1940―09―30 353면 이;李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99)

  • /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 경계에 있는 산. 높이 265.2m. 대부분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의 북악산, 동쪽의 낙산(駱山), 서쪽의 인왕산(仁旺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다. 목멱산(木覓山)·종(終)·인경산(仁慶山 또는 引慶山)·열경산(列慶

  • 맥 / 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북부에 서남쪽으로 뻗어 있는 산맥. 낭림산맥의 아득령(牙得嶺)에서 분기하여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달리며 압록강의 남사면을 이룬다. 이 산맥의 북사면은 단층애(斷層崖)로서 급경사를 이루며 압록강의 지류인 자성강(慈城江)·위원강(渭原江)·충만강(忠滿江)·독로강(禿

  • 서원 / 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 시사동에 있는 서원. 574년(선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지화(柳志和)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순조 때에 남궁 제(南宮濟)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 요 / [문학/구비문학]

    숨을 잃게 되었다. 왕권계승을 둘러싸고 이러한 사건이 있기 전에 「요」는 정도전과 남은이 죽을 것을 예언한 참요라 한다. 「요」의 내용은 ‘피왕벌석 정무여(彼往伐石釘無餘)’, 즉 ‘저 에 가 돌을 깨니 정이 남음이 없네.’라는 뜻이다. 이 노래에는 정

  • 정 / [예술·체육/건축]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에 있는 조선시대 군청의 누정.누각. 송학루(松鶴樓)라고도 하는데, 노송이 울창한 에 수많은 학들이 날아와 서식하였던데서 유래한 것이다. 본래 군청의 2층 문루였다.1928년에 헐기가 아까워 이 지방 유생들과 유지들이 성금을 모아 지금 자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