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병영” 에 대한 검색결과 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0)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통칭되었고 주장(主將)을 남병사라 불렀는데, 수군절도사를 겸하였다. 함경도는 지역이 넓고 험하며 여진족과의 충돌이 잦아 3개소의 병영을 두었던바, 하나는 감영에서 겸하고 또 하나(북병영)는 경성(鏡城)에 두었다. 의 관할구역은 갑산ㆍ...
    이칭별칭남도병영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도남도병마절도사영(咸鏡道南道兵馬節度使營) 남병사(南兵使), 북병사(北兵使), 북병영(北兵營), 친기위(親騎衛)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허태구 14...
    동의어함경도남도병마절도사영(咸鏡道南道兵馬節度使營) | 관련어남병사(南兵使), 북병사(北兵使), 북병영(北兵營), 친기위(親騎衛)
  • 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주로 병마절도사가 주둔하고 있던 관서. [내용] 병마절도사 외에 넒은 의미로 그의 지휘‧감독을 받는 절제사(節制使)‧첨절제사(僉節制使)‧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만호(萬戶)‧도위(都尉)가 있던 곳을 포함하기도 한다. 병마절도...
    이칭별칭주진(主鎭)
  • 북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설치되면서 북도병마절도영으로 개칭되고 관할구역을 과 분담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종2품 병마절도사 1인, 종3품 병마우후(兵馬虞候) 1인, 정6품 병마평사(兵馬評事) 1인이 파견되어 함경북도 지역의 방위를 담당하였다. 이 곳 는 1400년...
  • 화약합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7년(숙종 43)에 화약 만드는 방법을 기술하여 함경도에 있던 병영인 ()에서 간행한 책. [내용] 1책 15장. 목판본. 저자 및 언해자는 미상이다. ‘康熙五十六年八月日白等開刊(강희오십육년팔월일백등개간)’ 이...

고서·고문서(65)

  • 의 련병에 통령이 없으니 장관을 보내어 관속하게 하며, 주향의 방도를 강구하니 남아있는 대약전과 둔미를 봉류하고 성책하여 보고하며, 관찰사가 복정전을 핑계로 책납한다 하니 사실인지 아닌지 조사하여 보고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갑산부에 관찰부를 설치하고 군부에서 북청에 진대 1백명을 이주하는데 일단 지방과 량료 비용을 편의상 이획하며, 관찰사가 지금 함흥에 머무르고 있으니 전 이 쓰던 바를 헤아려 갑산관찰부에 접제하며 월별표 1지를 첨부하여 내려 보내고 관찰사는 왕복하여 머무르며 시행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10127 B01012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4年 2月 14日_030 因本曹發文, 本營歲抄, 亦爲革罷云。 故更考其當初疏請措語, 則果陳關北歲抄之爲弊, 而朝家定奪, 亦依所請而許施。 則歲抄, 固不入於疏請革罷之中, 而有此革罷矣。 當初疏請中, 歲抄...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1829 B01182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4年 2月 14日_030 因本曹發文, 本營歲抄, 亦爲革罷云。 故更考其當初疏請措語, 則果陳關北歲抄之爲弊, 而朝家定奪, 亦依所請而許施。 則歲抄, 固不入於疏請革罷之中, 而有此革罷矣。 當初疏請中, 歲抄...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335 B07533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18年 4月 8日_020 ... 手金永學, 慶尙右兵營馬兵金致行, 火砲沈銀永, 平安兵營別武士林學埈·金圭淳·咸基鼎·金昌洙·朴泓鎰·朴利化, 火砲李益禎·朴承禧, 親騎衛金大KC10965·鄭鉉綺·金兌說·高益斗,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함경도 북청에 설치되었던 병마절도사영. 1466년(세조 12)에 처음 병마절도부사(兵馬節度副使)를 두었다가, 이듬해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겪은 뒤 병영으로 승격되었다. 남도 병영 혹은 으로 통칭되었고 주장(主將)을 남병사라 불렀는데, 수군절도사를 겸

  • 화약합제식 / 火藥合劑式 [언어/언어/문자]

    1717년(숙종 43)에 화약 만드는 방법을 기술하여 함경도에 있던 병영인 ()에서 간행한 책. ‘康熙五十六年八月日白等開刊(강희오십육년팔월일백등개간)’ 이라는 간기가 있다. 내용은 화약합제식과 대포시방식(大砲試方式)으로 되어 있다. 한문에 한글

  • 북병영 / 北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함경도 경성에 설치되었던 병마절도사의 진영. 1400년(정종 2)에 함경도병마절도영으로 개설되었다가, 1467년(세조 13) 북청(北靑)에 이 설치되면서 북도병마절도영으로 개칭되고 관할구역을 과 분담하게 되었다. 북병영은 조선 초기 6진개척의 보

  • 지구관 / 知彀官 [정치·법제/국방]

    우병영에 32인, 강원도 순영에 8인, 황해도 순영에 8인, 병영에 8인, 평안도 순영에 40인, 병영에 4인, 함경도 순영에 5인, 북병영에 4인, 에 5인이었다.

  • 관북영지 / 關北營誌 [지리/인문지리]

    1883년(고종 20)~1907년(융희 1)에 의정부에서 편찬한 함경도 지리지. 『관북영지』은 제1책 『함산지통기』와 제2책 『함경영지』로 구성된 함경도 영지(營誌)로, 제1책 『함산지통기』는 4권과 「함경감영신정사례(咸鏡監營新定事例)」로 이루어졌다. 권1은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