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반” 에 대한 검색결과 3,8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82)

사전(1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궁중의 숙직, 국왕의 시종‧호종‧경비, 왕명의 전달, 의장(儀仗)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내관직. [개설] 이 제도는 중국에 기원을 둔 것으로, 근시(近侍)들을 당나라와 송나라에서는 횡반(橫班), 요나라에서는 또는 횡반이라
    이칭별칭내관|근시|횡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중의 숙직, 국왕의 시종‧호종‧경비, 왕명의 전달, 의장(儀仗)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내관직
    정의궁중의 숙직, 국왕의 시종‧호종‧경비, 왕명의 전달, 의장(儀仗)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내관직 | 문광부표기namban | MR표기namb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C1_D_0011 지도 一脉縱橫 長白山, 東海, 大關嶺 勝覽 D_04_04_64 대동운부군옥 4권 4장 6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4장 6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D_0085 관직 高宗, 金仁宣, 崔竩 麗史 D_04_05_11 대동운부군옥 4권 5장 1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5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3_D_1319 시 陶山雜詠, 本集 D_15_05_72 대동운부군옥 15권 5장 7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5장 7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33)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에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돈화시(敦化市) 관지진 류목촌 3 3 부에, 둘째큰아버지, 계시고, 있따는, 소식,...
    대표표제어남반부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 리 남자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清县) 대흥구진 2 1 부, 서울, 사회교육방송국, 북가녿, 동포, 담당자,...
    대표표제어남반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에 강 여자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县) 왕청진(汪清镇) 하북2대 1 1 부에, 계시는, 저의, 외사촌형...
    대표표제어남반부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 송 남자 대전광역시 유성구 길림성(吉林省) 쌍양현(双阳县) 쌍양하공사 상가 11대 3 3 부, 이모...
    대표표제어남반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 남 여자 충청북도 영동군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왕청현(汪清县) 림주건창 4 1...
    대표표제어남반부 | 성씨

구술자료(2)

  • 을 그 래 인제 그 소문을 들어 보니까 그 날 저녁에 내가 들어가던 날 이 저기... 그 저기서 인제 부 라 그러잖아요 부. 부는, 부에 모든 저 그 저 반역자들 전부 다 석방시키라고 김일성 이가 방송을 했다고 해요. 그래 그 인제 그 방송에 내가 산 사
    조사지역경북 김천 | 조사일2013년 3월 24일
  • 산가족들 만나러 갔는데 전부 잡어가고 무슨 얘기하나 감시원들이. 심지어 자기 아버지보고 만나 서 아들이 조국을 배신하고 부로 갔다고 어쩌고 저쩌고 하다가 손 붙잡고 손바닥을 뽁뽁 뽑 고. 왜냐면은 끝나고 난 뒤로 걔덜한테 구속당하지 않을라고 그러는 거일테지. 그래
    조사지역충남 태안 | 조사일2014년 3월 30일

신문·잡지(2,695)

  • 란사건의 전모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2)국회 프락치 사건 전란사건의 전모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8년 12월 현윤삼 신천지(pp.527-530) 기사/사설 4 1948년 10월 19일의 여수 순천 사건 발발 이래, 약 2개월 후 현지를 취재 조사한 기사....
    대표표제어전남반란사건의 전모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현윤삼 | 출처신천지(pp.527-530) | 키워드현윤삼, 계급의식, 반도, 혁명, 민족의 이익, 정권욕
  • 란사건의 전모: 여수순천지구반란사건의 진상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2)국회 프락치 사건 전란사건의 전모: 여수순천지구반란사건의 진상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8년 12월 홍한균 신천지 제3권 제10호(pp.158-166) 기사/사설 9 당시 세칭 “전남사건” 발발 이래 한 달여의 시점에서...
    대표표제어전남반란사건의 전모: 여수순천지구반란사건의 진상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홍한균 | 출처신천지 제3권 제10호(pp.158-166) | 키워드홍한균, 여순사건, 전남사건, 유언비어, 역량여하, 복수, 사감
  • 21 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김일성 , 리승만 조선민주주의 전체의 애국자이시 민족적 영웅이신 공화국 내각수상 김일성장군이시여! 오늘 공화국 부 연백군 전체 19만 농민을 대표하 급수에 감격한 부 연백농민대회는 우리 조선인민의...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23_01_01 | 책임주필한효
  • 210 오기찬 공화국 부 지역에 농업현물세제를 실시함에 관한 내각 결정은 땅의 주인이 된 부 농민들에게 다시 농촌경리의 진정한 향상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제부터 우리 부 농민들도 자기의 행복과 조국의 번영을 위하여 기운차게 일하는 농민으로...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830_03 | 책임주필오기찬
  • 35 렴상준 함남시 중앙리3구37번지 함남인민보사 리영일 북청군, 미국 대건직물공장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결성을 북청군 기업가 상인들은 무한한 감격과 환희로 지지찬동하고 있다. 북청시내 대건직물공장장 리전형씨는 『공화국부로부터 미국군대...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609_01 | 책임주필렴상준

기타자료(13)

  • 남훈;南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723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50면 남훈;南塤; 橫濱 硝子區 中根岸 일본적십자지부병원 제14회 1936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말복;金末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3372 일본 일본 駒澤大學 駒澤大學一同窓會員名簿 1940―11 39면 김말복;金末福 조선 경남 양산군 通度寺 1939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駒澤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차상연;車相然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3373 일본 일본 駒澤大學 駒澤大學一同窓會員名簿 1940―11 58면 차상연;車相然 조선 평북 滿浦線 普賢寺 1937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駒澤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원규;張元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3374 일본 일본 駒澤大學 駒澤大學一同窓會員名簿 1940―11 74면 장원규;張元圭 경성부 梨花町 14 1940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駒澤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종운;朴鐘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3375 일본 일본 駒澤大學 駒澤大學一同窓會員名簿 1940―11 102면 박종운;朴鐘雲 조선 전북 김제군 竹山面 西浦里 1937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駒澤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17)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궁중의 숙직, 국왕의 시종·호종·경비, 왕명의 전달, 의장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내관직. 직은 양반 및 천민과는 유를 달리하는 양민이나 가문에 결함이 있는 양반 자제들에게 관계진출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만든 제도의 하나이다. 특히, 잡로인의 입사를

  • 내알자 / 內謁者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종8품 관직. 액정국은 궁중에서 왕명을 전달하거나 궁문의 자물쇠를 관리하는 등 여러 가지 잡일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7품 이하의 () 관직이 설치되어 내료(內僚)들이 속해 있었는데, 내알자는 관직은 아니었다. 문종 때 품계가 정해졌으며

  • 내반종사 / 內班從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내알사의 종9품 관직. 정원은 4인. 직의 하나이며, 1308년(충렬왕 34) 6월에 충선왕이 액정서(掖庭署)를 내알사로 고치고 그 기능을 강화하면서 전전승지(殿前承旨)를 내반종사로 고치고, 정원도 8인에서 4인으로 줄였다.

  • 내시부 / 內侍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시의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고려 초기 내시직은 () 7품에 한정되어 있었다. 1356년(공민왕 5)에는 전문 관청인 내시부가 성립되었다. 이 때 관원은 정2품 판사 1인에서, 종9품 통사(通事) 1인에 이르기까지 101인에 달하였다

  • 삼반차사 / 三班差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초입사직. 문종 관제에서의 상승내승지를 1116년(예종 11)에 개칭한 것이다. 이 개칭의 이유는 동반이나 서반에 비해 천시되던 의 관직에 승지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308년(충선왕 복위년) 액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