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당집”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학술회의논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0) / 한원진 / 한원진 조선 후기의 학자 한원진의...
  • 오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田渡碑)의 비문을 비롯한 수많은 공사(公私)의 비명을 썼다. 특히 왕희지체(王羲之體)를 따라 단아한 모양의 해서를 잘 썼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죽』이 있다. 글씨로는 아산의 「충무공이순신비(忠武公李舜臣碑)」, 구례의 「화엄사벽암대사비(華嚴寺碧巖大師碑)」,...
    이칭별칭 여완(汝完)| 죽남(竹南)
  • 한원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로는 『』이 있으며, 편저로는 『임시취고(臨時取考)』‧『경의기문록(經義記聞錄)』‧『퇴계집소석(退溪集疏釋)』‧『의례경전통해보(儀禮經傳通解補)』‧『장자변해(莊子辨解)』‧『선학통변(禪學通辨)』‧『왕양명집변(王陽明集辨)』‧『거관록』‧『심경부주차기(心經附註箚記)』‧『춘추...
    이칭별칭 덕소(德昭)| 남당(南塘)| 문순(文純)
  • 권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격이 장대하고 문장이 뛰어났다.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조선사(朝鮮史)...
    이칭별칭 자고(子高)| 우곡(愚谷)
  • 김정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므로 끝내 사퇴하였다. 그는 경전 외에도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성학집요(聖學輯要)』를 강론하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그는 성리학과 예설(禮說)에 밝았다. 『()』 중 심성(心性)ㆍ이기(理氣)ㆍ예설 등에 관한 한원진(韓元震)...
    이칭별칭 이운(而運)| 과재(過齋)|두묵(斗默)

고서·고문서(4)

  • 풍악록(楓嶽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썼으며, 특히 왕희지체(王羲之體)를 따라 단아한 모양의 해서를 잘 썼다. 저술로 시문집인 『죽』이 있다.이 글씨를 썼다. 하나는 풍담(楓潭) 의심(義諶) 의심(義諶) : 1592-1665. 성은 유씨(柳氏), 호는 풍담, 이름은 의심, 경기도 통진(通津)출신이다....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심육(沈錥)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동유록(東遊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여완(汝完), 호는 죽남(竹南), 본관은 동복이다. 어려서부터 한호(韓濩)의 필법을 익혀 명필로 불렸다. 청과 왜의 사신들이 조선 명필의 글씨를 원할 때 그의 글씨를 주었다. 저술로 󰡔죽󰡕이 있다.이 글씨를 썼으며, 그 나머지는 우리 집안 3세의 작품이었다....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길보(李喆輔)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동유일기(東遊日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시호는 문순(文純), 본관은 청주이다.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저술로 󰡔󰡕이 있다.・병계(屛溪) 병계(屛溪) : 윤봉구(尹鳳九, 1683-1767)의 호이다. 자는 서응(瑞膺), 시호는 문헌(文獻),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사헌부 집의・찬선 등을 지냈으며...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송환기(宋煥箕)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풍악록(楓樂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신들이 조선 명필의 글씨를 원할 때 그의 글씨를 주었다. 저술로 󰡔죽󰡕이 있다.,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 이우(李俁) : 1637-1693. 자는 석경(碩卿), 호는 관란정(觀瀾亭)이며, 선조의 열두 째 아들인 인흥군 영(仁興君瑛)의 큰아들로 낭성군에 봉...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윤휴(尹鑴)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한원진의 시문집. 본집 38권 19책, 습유·부록 6권 3책, 합 44권 22책. 목판본. 『남당선생문집습유』·『남당선생연보』·『남당경의록』 등 각기 별행본으로 유포되었던 것을 합해 출간한 것이다. 본집 38권은 1769년에 간행된『누판고』와 178

  • 한원진 / 韓元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682∼1751). 호락논쟁에서 인물성이론을 주장하였다. 이이·송시열·권상하로 이어지는 학통을 계승하여 기발이승일도설을 지지하였고, 《주역》을 중심으로 하는 역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저서에 《》《주자언론동이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