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극관”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7)

  • 몽예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서문‧발문‧부록이 없어 편자와 간행 연대를 알 수 없다. 권두에 저자 자신이 쓴 소서(小序)가 있는데, 저자가 사망하기 바로 1년 전인 1713년(숙종 39)에 쓴 것으로
  • 심상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대여(大汝). 평(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후준(厚俊)이고, 아버지는 해(澥)이며, 어머니는 ()의 딸이다. 진현(晉賢)의 형이다. 성...
    이칭별칭 대여(大汝)
  • 삼호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辨) 2편, 의(議) 1편, 상량문 2편, 잡저 1편, 기(記) 5편, 제문 8편, 묘표 3편, 묘지(墓誌)ㆍ추지(追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변의 「요동백설변(遼東伯說辨)」은 광해군 때의 무장 김응하(金應河)가 요동에 출병했다가 전사하자...
  • 석문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청절(淸絶)하고 격조가 있다는 평을 받았다. 또한, 당대에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도 그의 시에 대해 체기(體氣)가 고묘(高妙)하고 흥기(興寄)가 심원하다고 평가하였다. 시 가운데에서도 특히 오언절구에 뛰어났으며, 당체(唐體)를 본받았다.
  • 임하총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롯해 <여현석서 與玄石書>‧<여김생창협서 與金甥昌協書>‧<문곡여자창업서 文谷與子昌業書> 등이 있다. <남몽예만필>은 ()의 ≪몽예집 夢囈集≫에서, <논이회사>는 박태한(朴泰漢)의 ≪박정자유고 朴正字遺稿≫에서 송시열과 그의 제자 윤증잿離艀杻夊1에셍汻퓟렴...

고서·고문서(6)

  • 22201 B022201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1年 10月 5日_025 ○吳載紹, 以刑曹言啓曰, 因義禁府啓辭, 大逆不道罪人孝任同生之子天峻咸鏡道茂山府流三千里安置, 勝快慶源府流三千里安置, 孝任同生娚克泰全羅道康津縣古今島爲奴, 而旣已出繼, 依散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珍島郡金甲島爲奴, 克泰康 津島古今島爲奴。 大逆不道罪人介連, 子大同, 子者斤同, 子婦二愛, 以孝任緣坐擧行, 而母時化年六十九, 依律免坐, 同生娚介同興陽縣呂島爲奴, 窮凶極惡萬剮猶輕大逆不道罪人甘丁夫尹得臣興陽縣鹿島爲奴, 舅光澤慶尙道河東府爲奴, 姑今禮年六十, 依律免坐,...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4489 B034489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年 10月 5日_025 ○吳載紹, 以刑曹言啓曰, 因義禁府啓辭, 大逆不道罪人孝任同生之子天峻咸鏡道茂山府流三千里安置, 勝快慶源府流三千里安置, 孝任同生娚克泰全羅道康津縣古今島爲奴, 而旣已出繼, 依散配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회은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버지 南九萬의 일화를 기록한 글이다. 부친이 태어날 대부터 어린 시절, 과거시험, 관료생활 등 전 생애에서 특기할 만한 일들을 기록하여 빼어난 자질과 신중하고 온화한 풍모에 대해 기술하였다. 書亡兒幼時事 (38) 26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한 아들 이 어렸을 때...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도 기록되어 있다. “出南夢囈克寬 蓄德集”이라고 출전을 밝히고 있는데, (1689~1714)의 문집으로는 夢囈集이 알려졌을 뿐이며, 蓄德集 은 어떤 자료인지 확인되지 않는다. 雙節碑銘 11 鄭經世가 찬한 碑銘이다. 정영후의 처 청주한씨와 여동생에 대한 글로써,...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1)

  • 조선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몽예 - 소론 지식인의 지적 산물, 「謝施子」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은정, 게재일 : 2014
    47466 박은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온지학회 2014 조선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몽예 - 소론 지식인의 지적 산물, 「謝施子」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1714년(숙종 40).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부는 남일성, 조부는 남구만, 부친은 남학명이다. 서문유 딸과 혼인했다. 1708년(숙종 34)에 무자식년사마시에 생원 2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다음해 괴질에 걸려 이후 6년 간 병고에

  • 남학명 / 南鶴鳴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654∼1722). 소론의 영수로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의 아들이다. 천거로 주부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했다. 문집으로《회은집》·《회은잡지》, 편저로《와유록》 등이 있다. 자녀로는《몽예집》을 남긴 이 있다.

  • 몽예집 / 夢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간행연도 미상. 서문·발문·부록이 없어 편자와 간행 연대를 알 수 없다. 권두에 저자 자신이 쓴 소서가 있는데, 저자가 사망하기 바로 1년 전인 1713년(숙종 39)에 쓴 것으로 보아 생전에 이미 자기의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