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구만” 에 대한 검색결과 5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5)

사전(25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槿域書畵徵 朝鮮金石總覽 1629(인조 7)-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문장과 서화에 뛰어났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칭별칭 운로(雲路)| 약천(藥泉), 미재(美齋)| 문충(文忠)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박태보의 외삼촌이다. 인현왕후가 폐위되려 하자 후궁에 대해 간하다가 숙종이 대로하여 강릉으로 귀양을 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강민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694년(숙종 20)에 희빈장씨(禧嬪張氏)를 옹호하던 ()을 탄핵하다가 과거에 응시할 자격을 박탈당하였고, 이듬해 다시 일파의 죄를 규탄하는 소를 올렸다가 진도에 유배되었다. 3년 만에 풀려 나온 뒤 벼슬을 단념하고 향리에서...
    이칭별칭 내숙(來叔)| 모산재(茅山齋)
  • 양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을 핑계로 갈마드는 풍조가 늘어나자 1666년(현종 7) 좌의정 홍명하(洪命夏)가 이런 풍조를 금지할 것을 주장하여 금지하도록 하였다. 1686년(숙종 12) 경상좌수사로 있다가 토질(土疾)을 얻어 죽자 좌의정 () 등이 청백리(淸白吏)...
  • 사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갈담리 파담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 [내용] 정면 2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건물. ()을 배향한 사당으로, 이 곳은 조선 중기의 정치가이며 문인‧시인이었던 이 생시에 잠시 우거하였...

고서·고문서(308)

  • 1659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59년(효종10)12월 6일에 이 안희에게 보낸 답장이다. 아버지가 진천군수(鎭川郡守)에 제수되어 새해가 되기 전에 부임하려고 한다는 내용과 함께 내년의 시험은 연해 거듭되고 있으니, 당신 아들을 위해 좋은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끝으로 길이 멀고 인편이 뜸...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 1668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68년(현종9)1월 1일에 이 안희에게 보낸 답장이다. 먼저 자신이 나포되었다가 풀려났음을 알리고 있다. 본론으로는 안희가 백선달 등의 일을 에게 부탁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에 대해 답하는 내용이다. 즉 백선달은 선전관(宣傳官)으로 천거할 수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 1668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68년(현종9)11월 28일에 이 안희에게 보낸 편지이다. 은 지금 행차 중으로, 공주에 도착해서도 이미 편지를 쓴 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행차를 계속해서 23일에 나주에 도착했는데, 26일 밤에 主人이 庶母의 상을 당해서 혼례를 치를 수 없게 되었...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 1669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69년(현종10)5월 10일에 이 안희에게 보낸 편지이다. 자제분의 장례일이 이미 지났을 것인데 잘 치렀는지 모르겠다고 하면서 다만 이치를 너그럽게 달관하여 멀리에서 비는 마음에 부응해주길 바란다고 위로하고 있다. 이 편지는 선전관이 가는 길에 전하고 있음을...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기초학문(2)

  • 朝鮮 後半期 關北名勝圖 연구 – 題 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정애, 게재일 : 2013
    56357 박정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학회 2013 朝鮮 後半期 關北名勝圖 연구 – 題 계열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약천 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3915 한국연구재단 한국국학진흥원 2011 약천 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3)

  • 민세안재홍전집 : 環東土公無儔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 , 忠武公, 李綱, 文天祥, 閑山島, 諸葛亮, 넬슨, 東鄕平八郞, 觀音浦 A19340928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삼월 이십팔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리직호 공관 셔관을 임야 일본국에 듀찰을 명고 젼위셥은 젼나 경샹 금광 감리무를 명고 김하영은 직산 광무 위원을 명고 됴윤은 평안 남도 광무 위원을 명고 지긔영은 평안 북도 광무 위원을 명고 김학유 림졍슌 오 함경 남도 광무 위원을 명다
    게재일1899년 3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 표지 및 목차 영인복 쪽수가 함께 있음. 시조 (약천선생) 1 시조해석 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4

주제어사전(26)

  • /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개국공신 재 후손, 할아버지는 식, 아버지는 현령 일성, 어머니는 권박의 딸이다. 165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가주서·전적·사서·문학을 거쳐 이듬해 정언이 되었다. 1659년 홍문록에 오르고 곧 교

  • 사당 / 祠堂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있는 조선후기 을 배향한 사당. 정면 2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건물. 공식명칭은 약천선생별묘(藥泉先生別廟)이며 경기도 용인시 향토유적 제53호로 지정되어 있다. ()을 배향한 사당이다. 이 사당은 조선 중기의 정치가이며

  • 초상 / 肖像 [예술·체육/회화]

    조선 중기 문신 의 초상화. 보물 제1484호. 은 1656년(효종 7) 문과에 급제하여 함경도관찰사를 지냈고 이후 대사성과 형조판서를 거쳤다. 이 영정에 대해서는 그의 문집인 『약천집(藥泉集)』에 아무런 언급이 없어 작품양식 외에 다른 고찰이 힘든 상황이

  • 이항 / 李杭 [종교·철학/유학]

    ?∼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인조, 아버지는 징이다. 1687년 혜민서제조가 되었고, 같은해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1689년에 주청사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다. 혜민서제조문제로 여러 차례 등의 규탄을 받았으나 그를 총

  • 남극관 / 南克寬 [종교·철학/유학]

    1689년(숙종 15)∼1714년(숙종 40).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부는 남일성, 조부는 , 부친은 남학명이다. 서문유 딸과 혼인했다. 1708년(숙종 34)에 무자식년사마시에 생원 2등으로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다음해 괴질에 걸려 이후 6년 간 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