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남공철” 에 대한 검색결과 1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9)

사전(7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60-1840) 필적 1760(영조 36)-1840(헌종 6). 조선 후기 문신. 금석문, 비갈을 남긴 당대 제일의 문장가였다. 글씨는 ≪명가필보≫에 있다.
    이칭별칭 원평(元平)| 사영(思穎), 금릉(金陵)| 문헌(文獻)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문신 한국 조선 정조~헌종 김구진 이범직 2016 원평(元平) 금릉(金陵)⋅사영(思穎)⋅영옹(潁翁)⋅귀은당(歸恩堂)⋅영은(瀛隱)⋅의양자(宜陽...
  • 논맹인물유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준원(朴準源)‧김조순(金祖淳)‧윤행임(尹行恁)‧()‧박종보(朴宗輔)‧김근순(金近淳)의 편집, 교정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교정제신(校正諸臣)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상편은 「논어인물유취(論語人物類聚)」...
  • 이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14년 경상도관찰사 때에는 영남의 대흉년을 구제해 크게 치적을 세워 생사당(生祠堂)이 세워졌다. 1817년 선혜청 제조 때에 선혜청의 출납 업무의 폐단을 근절하였다. 이듬해 우의정 ()의 추천으로 자헌대부에 뽑혀 의정부우참찬ㆍ형조판서ㆍ...
    이칭별칭 성로(性老)| 금석(金石), 연유(蓮游)| 문익(文翼)
  • 궤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러 홍섬(洪暹)ㆍ이원익(李元翼)ㆍ임당(林塘)ㆍ이경석(李景奭)ㆍ권대운(權大運)ㆍ허목(許穆)ㆍ()ㆍ김사목(金思穆)ㆍ민치구(閔致久) 등 소수의 사람들이 이를 받았다. 궤장을 하사할 때는 아울러 잔치를 베풀어주었으므로 더욱 영광으로 생각하였다. 일설에는 고려...

고서·고문서(68)

기초학문(2)

  • 文學의 淵源에 대하여-그 家學的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순태, 게재일 : 2010
    41450 안순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10 文學의 淵源에 대하여-그 家學的 성격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18~19세기 초반 문인들의 서화감상과 비평에 관한 연구 -成海應의 「書畵雜誌」와 의 「書畵跋尾」를 中心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혜리, 게재일 : 2008
    26417 손혜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08 18~19세기 초반 문인들의 서화감상과 비평에 관한 연구 -成海應의 「書畵雜誌」와 의 「書畵跋尾」를 中心으로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

  • 경성고탑(京城古塔)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층 고탑, , 󰡔한성방리록󰡕, 󰡔코리아 리뷰󰡕, 󰡔대동금석서󰡕 서우번역문.pdf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장가·정치가(1760∼1840). 이조판서·대제학·우의정 등을 거쳐 영의정까지 올랐다. 경전에 통달하였고 구양수 문장을 본받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난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서 많은 금석문·비갈을 남겼다.《규장전운》·《정종실록》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고려명

  • 고려명신전 / 高麗名臣傳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이 고려의 명신·도학자·충신·효자·열녀·일민(逸民)의 행적을 기록한 언행록.교훈서·인명록. 12권 6책. 고활자본. 1822년(순조 22) ()이 간행 경위를 적은 서문을 붙여 편찬하였다.권1에서 권11에 걸쳐 본전(本傳) 인물 200인

  • 동성교여집 / 東省校餘集 [문학/한문학]

    조선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 교인(校印)의 일에 종사한 규장각 각신 15인의 시를 모은 책. 2권 1책. 활자본. 권두에 김조순(金祖淳)·()·김이교(金履喬) 등의 서문이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시는 고율(古律)·장단가(長短歌) 등 각체인데

  • 규장전운 / 奎章全韻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이덕무(李德懋) 등이 편찬한 한자 운서(韻書). 2권 1책. 목판본. 동음(東音 : 朝鮮의 漢字音)과 화음(華音 : 中國의 本土字音)을 함께 표시한 운서로, 이덕무가 1792년(정조 16)까지 주로 편찬하고, 윤행임(尹行恁)·서영보(徐榮輔)·()

  • 논맹인물유취 / 論孟人物類聚 [종교·철학/유학]

    金祖淳)·윤행임(尹行恁)·()·박종보(朴宗輔)·김근순(金近淳)의 편집, 교정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교정제신(校正諸臣)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