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계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1)
- 남계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3(인조 21)∼1705(숙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자장(子長), 호는 은계옹(隱溪翁). 아버지는 진위장군(振威將軍) 문성(文星)이다. [내용] 음서로 선공감(繕工監)에 나가게...이칭별칭 자장(子長)| 은계옹(隱溪翁)
고서·고문서(7)
- 기장(機張)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都護府使三十三年辛丑(萬曆二十九年) 復置判官光海九年丁巳(萬曆四十五年) 罷兼府使及判官特置都護府使後彦陽分設 孝宗二年辛卯(順治八年) 割南界下尾面屬機張縣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十里三嘉界尺旨嶺東二十里丹城界新巨里嶺西北二十五里栗峙南十里晉州界○牛灘西三十里長善灘南二里右二處咸陽灆溪下流晉州(堤堰二)南江上流西溪源出古川嶺南流回折經縣西入于長善灘鏡湖北一里城地南山古城周一千三百四十六尺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구어(大口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其咀呪方則皆學於女盲而爲之, 若梅樹上裂鼠掛之, 闕內西墻下置白雄狗, 西墻內白紙畫猪鋪地, 補階下棄死鼠, 南窓下棄靑鞋及鼠子皮, 南階下置死猫, 五味子叢底置大鼉, 井中置乾大口魚, 東宮南墻內投死鵲、死鼠, 東宮墻貼畫猪及羽笠人, 大殿抹樓下埋鼉, 廁下斷烏兩足、兩翼置之。 右各樣咀呪所用之物...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요사_遼史50 志19 禮志2 凶儀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門入 殿上下臣僚並舉哀 至丹墀立定 西上閤門使自南階下 受祭文 上殿啟封 置於香案 哭止 祭奠禮物列殿前 引使副南階上殿 至褥位立 揖 再拜 引大使近前上香 退 再拜 大使近前跪 捧臺琖 進奠酒三 教坊奏樂 退 再拜 揖 中書二舍人跪捧祭文 引大使近前俛伏跪 讀訖 舉哀 引使副下殿立定 哭止 禮物擔...국가중국 | 서명요사 | 왕대기타
- 회은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황에서 잠시 누릴 수 있었던 즐거운 유람이었다는 소회를 밝혔다. 遊四郡記 (20) 1686. 10월 1일에 族叔 南啓夏, 李眞遇와 함께 四郡(영월, 청풍, 단양, 제천)을 유람한 기록이다. 14일간 총 860리의 여정 동안 사군을 돌아다니면서 그 전에 유람한 적이...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남계하 / 南啓夏 [종교·철학/유학]
1643(인조 21)∼1705(숙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진위장군 문성. 음서로 선공감에 나가게 되었다. 그뒤 내섬시주부·활인서별제를 거쳐, 의금부도사를 역임하고, 외직으로는 청하현감을 지냈다. 평소 학문에도 뜻이 있어 윤원거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쌓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