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계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32)
- 남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소된 뒤 복원하지 못하였다. 『남계서원중수기(南溪書院重修記)』 『태학지』(성균관, 1984) 『군위의 향맥』(군위군, 1983)연계항목남계서원(南溪書院)
- 함양남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고대방(典故大方)』 『고문서집성(古文書集成) 24-남계서원편(藍溪書院篇)-』(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태학지(太學志)』(성균관, 1984) 『천령(天嶺)의 맥((脈)』(함양군, 1983) ...이칭별칭남계서원 | 연계항목함양남계서원(咸陽남溪書院)
- 임희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植)의 문인으로, 오건(吳健)ㆍ배신침(裵愼忱)ㆍ노정(盧禎) 등과 교의가 깊었다. [내용] 1552년(명종 7) 강익(姜翼)ㆍ정복현(鄭復顯) 등과 함께 함양에 정여창(鄭汝昌)의 남계서원(藍溪書院)을 창립하였다. 1558년 문과별시에 병과로 급제...이칭별칭 언실(彦實)| 남계(?溪)
- 강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1552년에 남계서원(藍溪書院)을 건립하여 정여창을 제향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소수서원 다음으로 세워진 것이다.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부임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후학을 지도함에 있어 극기와 신독(愼獨)을...이칭별칭 중보(仲輔)| 개암(介庵), 송암(松庵)
- 표연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記)』의 서문을 쓰기도 하였다. 「논학(論學)」이라는 글에서 김종직의 문인을 중심으로 하는 초기 사림파의 학문관과 정치관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1507년(중종 2)에 신원(伸寃 :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어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 함...이칭별칭 소유(小游)| 남계(藍溪)|평석(平石)
고서·고문서(16)
- 1843년 남계서원완문(蘫溪書院完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세금-완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문 | 현소장처함양 남계서원
- 1935년 남계서원지(蘫溪書院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서원지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함양 남계서원
- 1906년 남계서원(南溪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통문은 1906년 4월 3일 남계서원에서 발문한 것으로 양천사가 충평공 정헌 홍관을 추배하면서 서원으로 승격하고자 하는데 옥산서원이 이에 동의해 줄 것을 당부하는 내용의 것이다. 이 통문에서 추배할 인물로 거론하고 있는 홍관은 고려 중기의 문신이자 서예가로 잘 알...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552~1687년 남계서원경임안(蘫溪書院經任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서원지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함양 남계서원
- 1910년(?) 남계서원전답안(蘫溪書院田畓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전답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 현소장처함양 남계서원
기타자료(2)
- (한국교육의 맥17) 일두 정여창과 남계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의 맥17) 일두 정여창과 남계서원 (한국교육의 맥17) 일두 정여창과 남계서원 (한국교육의 맥17) 一蠹 鄭汝昌과 藍溪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만조,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 (교육논단) 서원순방기(3) 함양군 남계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논단) 서원순방기(3) 함양군 남계서원 (교육논단) 서원순방기(3) 함양군 남계서원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영희 | 사료철명부산교육
주제어사전(6)
-
남계서원 / 南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두곡리에 있는 서원. 1704년(숙종 30)에 고을의 유림들이 고려 중기에 평장사를 지낸 영헌공(英憲公) 김지대(金之岱, 1190∼1266)의 충효쌍수(忠孝雙修) 정신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1996년 3월 11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
-
남계서원 / 南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에 위치한 서원. 조선 중기 군위 지방 유림들이 재사(齋舍)를 설립하여 시회(詩會) 등의 장소로 사용하여오다가, 1624년(인조 2)에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627년 유성룡(柳成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위패를 모셨으며, 1787년(정조
-
함양남계서원 / 咸陽灆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에 위치한 서원. 1552년(명종 7)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66년(명종 21)에 ‘남계(藍溪)’라고 사액되었으나,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丁酉再亂)으로 소실되었다
-
계산서원 / 溪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검산리에 있는 서원. 1704년(숙종 30)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지대(金之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군 청도면에 남계서원(南溪書院)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사우(祠宇)의 명칭을 충효사(忠孝祠)라 하고 선현배향과
-
경재일고 / 警齋逸稿 [종교·철학/유학]
, 남계서원통문(南溪書院通文), 송호서당답통(松湖書堂答通), 군위향교(軍威鄕校)에서 각 군의 향교에 보냈던 통문, 동천정사(東川精舍) 중건 때의 축문·상량문·중건기(重建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