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남경개창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남경개창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左右闕)과 함께 순어지소(巡御之所)로 삼았다가 별다른 반응이 없자 중지한 일도 있었다. 그러나 남경개창도감의 설치와 함께 활발해진 남경사업을 위하여 왕은 최사추(崔思諏)ㆍ윤관(尹瓘)ㆍ문상(文象)ㆍ음덕전(陰德全) 등을 양주에 파견하여 궁궐터로 적당한 장소를 찾아보...
- 남경개창도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남경(南京)을 건설하기 위하여 설치된 임시 관청.정의고려시대 남경(南京)을 건설하기 위하여 설치된 임시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Namgyeong Gaechang Dogam | MR표기Namgyŏng Kaech’ang T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숙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만 5천관(貫)을 만들어 문‧무 양반과 군인들에게 분배하였으며, 거리 양쪽에 점포(店鋪)를 두어 돈을 사용하는 이익을 알도록 하였다. 1099년(숙종 4)에는 김위제(金謂磾)의 주장에 따라 남경(南京)을 중시하여 친히 터를 잡고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두...이칭별칭왕희(王熙)|왕옹(王顒)|천상(天常)|계림공(鷄林公)|명효(明孝)|문혜(文惠)|강정(康正)
- 최사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郎平章事判刑部事西京留守事), 1100년에 문하시랑평장사가 되었다. 이듬 해에는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이 설치되자 윤관(尹瓘) 등과 궁궐터를 살펴 정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1103년에는 수태위 판이부사(守太尉判吏部事)에 임명되었다. 그 해 반역을 도모한 대장군...이칭별칭 가언(嘉言)| 충경(忠景)
- 남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099년 왕명으로 남경의 재설치를 논의했고, 2년 뒤 9월에는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최사추(崔思諏)‧윤관(尹瓘) 등을 양주(楊州)로 보내어 궁궐터를 살펴보게 한 뒤 역사(役事)를 시작하였다. 마침내 1104년 5월 남경궁궐을 낙성하고...이칭별칭한양|한성|서울
주제어사전(1)
-
남경개창도감 / 南京開創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남경의 창건을 관장하였던 임시관서. 남경개창도감의 설치와 함께 활발해진 남경사업을 위하여 왕은 최사추·윤관·문상·음덕전 등을 양주에 파견하여 궁궐터로 적당한 장소를 찾아보게 하였다. 이리하여 1104년 5월에 지금의 서울과 비슷한 지역에 남경궁을 낙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