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난삼” 에 대한 검색결과 3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7)

사전(8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검은 선을 두른 옷으로, 그 형태는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으며 옆과 아래는 선을 둘렀다. 입을 때는 복두(幞頭)를 쓰고 검은띠[皁帶]를 둘렀다. 은 중국 고대복식의 기본인 심의에 난(襴)과 거(祛)를 붙여서 만든 것으로, 당나라ㆍ송나라ㆍ명나라 3대에 걸쳐서...
  • TD_N1_S_0007 옷 冠禮, 胡服, 橫幅, 公裳, 深衣, 幅巾, 儒巾, 青衫, 笠子, 道服 後魏, 戎狄, 東方, 燕市 朱先生 家禮, 宛委餘編 S_06_01_41 성호사설 6권 1장 41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6권 1장 4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緋), 비수(緋繡), 황(黃) 비수(緋繡), 악공(樂工), 흑개책(黑介幘)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 세종 이민주 [정의] 조회...
    하위어비난삼(緋鸞衫), 비수난삼(緋繡鸞衫), 황난삼(黃鸞衫) | 관련어비수난삼(緋繡鸞衫), 악공(樂工), 흑개책(黑介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복(禮服) 앵삼(鶯衫)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 이민주 [정의] 생원(生員)·진사(進士)·유생(儒生)의 관복으로 옥색에 흑연을 두른 포. [내용]
    상위어예복(禮服) | 관련어앵삼(鶯衫)
  • TD_N3_S_0011 進士 복식제도 團領, 緣, 平頂蓋 國初 契丹 安東權氏, 明太祖, 阿保機 詩, 五代史 S_15_01_04 성호사설 15권 1장 4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5권 1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11)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작아 남 남자 전라북도 익산시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연수현(延寿县) 평안향 3 2 작...
    대표표제어작난삼아 | 성씨
  • 萬物門3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 非古也. 《家禮》用於冠禮, 蓋從俗也. 《宛委餘編》云: “後魏胡服便於鞍馬, 遂施裙於衣, 爲橫幅而綴於下, 謂之‘襴’, 今之公裳, 是也. 戎狄之服, 學士大夫皆安之而莫革, 同俗故也.” 東方旣無此制, 而猶遵《家禮》之文文: 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文’ 뒤에 字’가...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9_進士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進士 國初, 進士服, 其制留於安東 權氏之家. 以靑絹爲之, 團領廣, 緣皁, 其帽圓筩, 如今胥吏所戴者, 而形短, 上有平頂蓋, 前與筩連, 甚無威儀. 帶以黑絲爲之, 兩端合而固結, 簁簌垂絲, 左右爲彄. 其帶之也, 人以頭貫穿, 下至於腰, 其左右兩彄, 則圍繞兩臂, 而垂紳在...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篇八]服食門_進士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進士 進士: 연세대본(가)에는 ‘進士’으로 되어 있다. 國初, 進士服幱 幱: 연세대본(가)에는 ‘爛’으로 되어 있다.衫, 其制留 留: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에는 ‘由’로 되어 있다.於安東 權氏之家. 以絹 絹: 규장각본에는 ‘綃’로 되어 있다.爲之,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무열사 추배 낙참장일 치제문(武烈祠追配將日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구술자료(2)

  • 주는 그런 거울이 있었어요. 그래서 그 거울을 이제 꺼내들면서 이제 서왕모가 장아 “야 이 거울한테 물어봐라.” 이렇게 얘기한 거예요. 그래서 이제 작은 딸이 딱 건네받아가지고 수줍게 거울을 슥 보고 자기 얼굴 보고 작은 딸이 수줍게 웃으면서 언니한테 거울을 넘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이화 [중국(한국계),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그냥 장아 했는가. 생각할 때. 장아.] [조사자 : 똑같아요. 4월 23일부터 7월 15일, 9월 10일 , 10월 23일. 닥 4~5개 정도 공비출현 이야기가.] [채홍연 : 그래 장아 자기네 가 고만 어디 지내다가.] [조사자 : 헌데 이 동네하고 아무
    조사지역경북 문경 | 조사일2012년 3월 10일

신문·잡지(4)

  • 請禁濫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쥬군 마산 진황쳐를 간기로 일진회에셔 농상공부에 인허를 엇엇다고 간로 삼림을 작벌 그부근에 분묘잇난쟈 농부에호소고 분묘자우보에잇림은 범작지말게 신칙야달나고 군인민이 쳥원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德帝와米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국 황뎨셔월 팔일에 미국공와 문학 렴씨를 쳥야 연고 즐길 덕국 황뎨셔 고담응변으로 젼쟝의도락을말난지라 학가한 미국뎨일셰 대통령 화셩돈씨의 유훈을 말야왈 영구히 셰계에 평화를 보젼코져면 반다시 먼져 군병을 쥰비것이라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學訓各校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혹 슈당금긔하를 일일 보뎡사와 각 학교쟝은 쇼속 직원의게 사립학교 교사나 강사 될자를 인허 의일 의 학부신의게 보고사와 현금 다른 사립학교의 교사와 강사로 쵹탁을 밧은쟈도 젼항의 졍규측을 일졀 쥰 사라 얏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억울한 벌금 154 白萬人의 靑春讀本-장아 한 편지가 약혼까지, 다시 한번 신중히 생각하기를 金衡翼 155 유모어 俱樂部-나 참 기가 막...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기타자료(4)

  • 신라가 김단갈단(金端竭丹)을 당에 하정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신라→당, 당→신라 【번역】 개원(開元)22년 정월 임자(20)에 신라왕 흥광(興光)의 대신 김단갈단(金端竭丹)이 와서 하정(賀正)하였다. 황제가 내전(內殿)에서 연회를 베풀고 위위소경원외(衛尉少卿員外)를 제수하며, 비색 난포(緋襴袍) 난포(襴袍) : ‘’...
    대표표제어신라가 김단갈단(金端竭丹)을 당에 하정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4년(甲戌/신라 성덕왕 33/발해 무왕 16 仁安 16/唐 開元 22/日本 天平 6)
  • 당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선덕왕에게 목단화도(牡丹花圖)와 화자(花子)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畫又無蜂蝶 是必無香花 種植之 果如所言 其先識如此 (󰡔三國史記󰡕 5 新羅本紀 5 善德王 1年) 【원문】 第二十七徳曼[一作万] 謚善徳女大王 姓金氏 父真平王 以貞觀六年壬辰即位 御國十六年凡知㡬有三事 初唐太宗送畫牧色紅紫白 以其實三升 王見畫花曰 此花定無香 仍命種於庭 待...
    대표표제어당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선덕왕에게 목단화도(牡丹花圖)와 화자(花子)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32년(壬辰/신라 진평왕 54, 선덕왕 1 建福 49/고구려 영류왕 15/백제 무왕 33/唐 貞觀 6/倭 舒明 4)
  • 당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선덕왕에게 목단화도(牡丹花圖)와 화자(花子)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種植之 果如所言 其先識如此 (『三國史記』 5 新羅本紀 5 善德王 1年) 【원문】 第二十七徳曼[一作万] 謚善徳女大王 姓金氏 父真平王 以貞觀六年壬辰即位 御國十六年凡知㡬有三事 初唐太宗送畫牧色紅紫白 以其實三升 王見畫花曰 此花定無香 仍命種於庭 待其開落 果如其言 二於霊廟寺玉...
    대표표제어당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선덕왕에게 목단화도(牡丹花圖)와 화자(花子)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32년(壬辰/신라 진평왕 54, 선덕왕 1 建福 49/고구려 영류왕 15/백제 무왕 33/唐 貞觀 6/倭 舒明 4)
  • 48. 대한제국에서의 이토 후작의 임무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나갔을 때 벌어진 사소한 사건에 대해 다소 법석을 떨었습니다. 이토 후작이 있는 객실 유리창이 돌멩이에 깨졌고, 이토 후작은 얼굴에 경미한 부상을 입었습니다. 조사에 의해 밝혀졌듯이, 이 사건은 어떤 취객이 다른 의도 없이 장아 한 행동일 뿐 전혀 테러가 아니었습니...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작성연도1909년 | 작성월일12월 08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수신자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4)

  • / 襴(幱)衫 [생활/의생활]

    조선시대에 유생·생원·진사 등이 입던 예복. 은 고려 광종 때 과거제도와 함께 전래되어 과거에 급제한 선비들에게 입게 한 것으로, 조선 초기에 와서야 정착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청색 바탕에 검은 선을 둘렀고, 세종 때에는 옥색 바탕에 청색 선을 둘렀고, 선조 때

  • 앵삼 / 鶯衫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유생이 생원시나 진사시에 합격하였을 때, 또는 신래(新來 : 과거에 새로 급제한 사람)가 착용하던 예복(禮服). 유생복은 『경국대전』 예전 의장조에 규제된 바로는 치포건(緇布巾)·청삼(靑衫)·조아(條兒)로서, 치포건은 복건(幅巾)이었고 청삼은 ()이었

  • 유복 / 儒服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유생들이 착용하던 의복. ≪태종실록≫ 11년(1411) 6월조에 의하면, 성균관 및 5부 유생은 조정의 제도에 의해 비로소 청금(靑衿)을 착용하도록 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중국 명나라 제도를 따른 것이었다. 홍무(洪武) 24년제를 보면, 생원은 (

  • 나장복 / 羅將服 [생활/의생활]

    옷인 조단령(皁團領)을 입고, 사간원의 나장은 누른 빛의 토황단령(土黃領)을 입으며, 왕자를 수행하는 나장은 자색 인 자란(紫襴)에 놋쇠로 만든 패인 두석패(豆錫牌)를 차고, 의정부·승정원·경연의 나장은 납패(鑞牌 :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만든 패)를 찬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