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낙봉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7)

  • 김숙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에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선산의 ()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 『해동명신전(海東名臣傳)』 『국조방목...
    이칭별칭 자배(子培)| 강호산인(江湖散人)| 문강(文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대방(典故大方)』 『지(誌)』 『태학지(太學志)』(성균관, 1984) 『선산(善山)의 맥락(脈絡)』(선산군, 1983) 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에 있는...
    연계항목낙봉서원(洛峰書院)
  • 고응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8) 선산의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두곡집』‧『대학개정장(大學改正章)』이 있으며, 시조작품에는 「도부(道賦)」‧「탄시(嘆詩)」‧「차기음(差綦吟)」‧「두곡우음(杜谷偶吟)」‧「유감(有感)」‧「임인제야시(壬寅除夜詩)」 등이 있다. ...
    이칭별칭 숙명(叔明)| 두곡(杜谷), 취병(翠屛)
  • 진락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6수, 서(書) 3편, 잡저 6편, 권2에 잡저 1편, 부록으로 묘지‧제문‧만장‧봉안문(奉安文)‧상향문(常享文)‧서원선액시사제문(書院宣額時賜祭文) 각 1편, 제현기술(諸賢記述)...
  • 고응척(高應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때 선산의 ()에 제향되었다. 최현(崔晛)이 지은 『인재집(訒齋集)』 권12에 그에 관한 글로서 「두곡선생 고공언행록(杜谷先生高公言行錄)」이 있다. [성품과 문장] 고응척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마음이 너...

고서·고문서(1)

  • 善山院長 鄭彦儀, 松山書院院長 金夢儀 등이 永川校院에게 보낸 通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870 1613_01 善山院長 鄭彦儀, 松山書院院長 金夢儀 등이 永川校院에게 보낸 通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서간통고류, 통문 한자 고문서 HJ389.JPG 善山院長 鄭彦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1)

  • /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에 있는 서원. 1647년(인조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숙자(金叔滋)·김취성(金就成)·박운(朴雲)·김취문(金就文)·고응척(高應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87년(정조 11)에 ‘낙봉(洛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