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낙랑고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34)
- 낙랑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백과사전출판사) 낙랑고분의 피장자(손병헌, 한국고고학보 17‧18합집, 1985) 채협총 내부 평남와 황해도에 분포되어 있는 낙랑시대의 무덤들 중에 채협총의 내부 모습이다. 목곽묘서 목곽 한쪽에 연도...
- 평양정오동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양시 낙랑구역 정백동 에 있는 낙랑시대의 고분군. [개설] 대동강 남안(南岸)에서 남쪽으로 약 2.5㎞ 거리에 있는 오봉산(五峰山)의 동편으로는 이 산에서 동북쪽으로 뻗은 2개의 구릉이 거의 평행을...
- 평양토성리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남도 평양시 토성리(현재 북한의 평양시 낙랑구역 토성동)에 있는 낙랑시대의 고분군. [개설] 대동강 남안(南岸)의 낙랑군 치지(樂浪郡治址)로 알려진 토성(土城)과 연결된 남쪽 구릉에 분포하고 있다. [내용] ...
- 평양정백동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평양시 낙랑구역 정백동에 있는 낙랑시대의 고분군. [개설] 대동강 남안(南岸)의 오봉산에서부터 동북방향으로 길게 뻗은 구릉을 중심으로 정오동고분군과 마주보며 분포한다. 고분군이 있는 정백동은 낙랑군 치지(樂浪郡治址)로 알려진 대동강...
- 봉산양동리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황해도 봉산군 초와면 양동리 일대에 있는 낙랑고분군(樂浪古墳群). [내용] 양동리고분군 전체 가운데 1917년도에 조사된 양동리 제3‧5‧9호분 등 일부가 알려져 있다. 양동리 3‧5호분은 방대형(方臺形) 분구를 가진...
고서·고문서(1)
- 수백의 고분이 이어진 낙랑 고분지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MANY OLD TOMBS, HEIJO 대동강의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수백 기의 낙랑고분이 있는 지역의 모습 봉투 없음. 세트불명. 1매. 사제엽서 역사 유적 근대 한국 사진그림엽서 大正寫眞工藝所 大正寫眞工藝所 미상 다이쇼사진공...자료명수백의 고분이 이어진 낙랑 고분지대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10)
- 帝室博物館で樂浪古墳を發掘 (제실박물관서 낙랑고분 발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낙랑고분기사명_원문帝室博物館で樂浪古墳を發掘 | 기사명_한글제실박물관서 낙랑고분 발굴 | 게재일19300415 | 게재판무 | 게재면04 | 게재단3-4
- 조선_1931_19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彙報-滿洲軍交代兵の通過, 133. 彙報-平壤府外南井里樂浪古墳の發掘, 134. 彙報-京城, 春川間にトラック營業開始, 135. 彙報-李鍵公同妃兩殿下御歸鮮, 135. 彙報-昭和五年度中の地方土木費, 136. 日誌 13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조선_1925_12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樂浪古墳の發堀 129 朝鮮神宮鎭座祭奉祝詩 130 江原道地方改良講習會 13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5
- 조선_1933_21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彙報-第五回消防講習會 140 세부기사 분절 彙報-朝鮮簡易保險積立金貸付, 141. 彙報-新發見の樂浪古墳遺物, 143. 彙報-咸南山林帶の亞麻栽培, 145. 彙報-北鮮開拓事業實行打合會, 146. 彙報-昭和七年の...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 조선_1931_19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41 세부기사 분절 彙報-南原, 全州間に鐵道開通, 142. 彙報-農村の更生を期する指導學校, 142. 彙報-殉職警察官招魂祭, 143. 彙報-京畿道內工産品評會, 143. 彙報-名勝史蹟圖案入の通信日附印使用開始, 144. 彙報-樂浪古墳から出た珍しい遺物...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연구과제(1)
-
한국의 고대 고분과 유라시아 네트워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권오영 | 서울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
-
낙랑고분 / 樂浪古墳 [역사/선사시대사]
제로 구성된다. 평양 근교 토성리(土城里)에는 남북 10여 리, 동서 수십 리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1,300여 개의 낙랑고분이 산재해 있고, 황해도에도 무수히 분포되어 있다. 낙랑고분으로는 널무덤〔木棺墓〕와 덧널무덤〔木槨墓〕그리고 벽돌방무덤〔塼室墓〕이 가장 일반적이지
-
봉산양동리고분군 / 鳳山養洞里古墳群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봉산군 초와면 양동리 일대에 있는 낙랑고분군(樂浪古墳群). 양동리고분군 전체 가운데 1917년도에 조사된 양동리 제3·5·9호분 등 일부가 알려져 있다. 양동리 3·5호분은 방대형(方臺形) 분구를 가진 전형적인 전실묘이다. 묘실은 장방형 벽돌을 쌓아서 만든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