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낙남정맥”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은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산맥을 기본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은 낙동강 남쪽에 위치한 정맥으로,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白頭大幹)이 끝나는 지리산의 영신봉에서 동남쪽으로 흘...
  • 해동산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경표』에서는 우리 나라의 산맥을 대간(大幹)ㆍ정간(正幹)ㆍ정맥(正脈)으로 나누고 있으나, 이 책에서는 정간의 표시가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즉, 이 책에서는 우리 나라의 산맥을 백두대간과 장백으로 나누고, 다시 ()ㆍ청북정맥(淸北正脈)ㆍ청남정맥...
  • 산경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幹)은 황토령(단천)에서 시작하여 함경도 지역의 산계들을 포함한다. ()은 지리산 취령(鷲嶺)으로부터 경상도 서남부 일대를, 청북정맥(淸北正脈)은 낭림산(강계)으로부터 평안북도 일원을, 청남정맥(淸南正脈)은 백운산 (개천)으로부터 평안남도와 황해도...
  • 호남정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하동의 섬진강 하구까지 해안선을 따라 이어진 산줄기는 지리산에서 김해의 낙동강 하구까지 이어진 ()과 함께 우리 나라 남부 해안 지방의 동일한 생활 문화권역을 형성하게 하였다. 현대 지도에서의 산 이름으로 찾아보면, 곰재‧만덕산‧경각산(鯨角...
  • 백두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錦北正脈)ㆍ금북정맥(錦北正脈)ㆍ금남정맥(錦南正脈)ㆍ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ㆍ호남정맥(湖南正脈)ㆍ낙동정맥(洛東正脈)ㆍ()과 연결되고 있다. 이들 산줄기의 이름은 강줄기의 이름에서 얻어진 것이다. 산과 물이 하나로 자연을 이루고, 언어ㆍ습관ㆍ풍속 등...

주제어사전(1)

  • / [지리/자연지리]

    지리산의 영신봉에서 김해 분성산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들 맥